중국 조선족 유일의 청소년신문 발행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5-07-20 08:37본문
중국 조선족 유일의 청소년신문 발행
인물이름 : 김명성
"우리말과 얼 지킬 수 있도록 적자 감수하며 27년째 발행"
(하얼빈=연합뉴스) 강성철 기자 = "조선족 학생이 우리말과 얼을 익혀 정체성을 잃지 않고 살도록 돕는다는 자부심으로 신문을 만들고 있습니다."
중국 조선족 사회에서 중·고등학생 대상으로 발행하는 유일한 신문인 조선족중학생보의 김명성(50·남) 대표는 18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조선족 사회의 당면 과제로 청소년의 정체성 확립을 꼽았다.
국가기간뉴스통신사 연합뉴스와 외교부 산하기관 재외동포재단의 임원은 16일부터 18일까지 중국 동북 3성의 조선족 언론사 관계자들과 만나 현황을 듣고 지원 방안을 모색했다.
김 대표는 "40만 명에 달하던 동북 3성의 중·고등학생이 중국 내륙 도시와 한국으로 떠나 2만 3천여 명만 남았고, 신문 발행 부수도 6만 부에서 6천 부로 줄어들었다"고 어려운 상황을 전했다.
그는 전체 조선족학교의 60%가 폐교되거나 한족 학교에 통합된 상황이라고 털어놓았다.
특히 농촌 지역에는 학생이 10명 안팎에 불과한 학교도 있는 형편이어서 통폐합되는 학교가 속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1천 명이 넘던 학생이 계속 줄어들어 50∼100명만 남다 보니 한족 학생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제는 중국어로 수업하고 한국어(조선어)는 교육 과목으로만 남은 학교도 나오고 있습니다. 조선어학교에서 학생들이 우리말 수업을 못 듣는 곳일수록 신문을 더 많이 보내려고 애씁니다. 우리말을 접할 기회를 조금이라도 더 늘리는 게 중요하거든요."
1989년에 창간된 조선족중학생보는 뉴스, 독서, 학부모 자녀교육, 지식백과, 우리말 자랑, 연예·스포츠 등 학생 교양과 지식 습득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싣고 있다.
"개혁 개방 이후 돈벌이 등을 이유로 부모들이 동북 3성을 떠나면서 3대 가족이 살던 전통이 사라졌습니다. 지금의 젊은 부모들은 자녀 양육법을 잘 모르는 상황이죠. 자녀 훈육·대화법 등 고정란을 만들어 학부모도 함께 보는 신문으로 꾸미고 있습니다."
조선족중학생보는 지난해 옌볜조선족자치주가 9월 2일을 '조선어문자의 날'로 지정한 것을 기념해 9월 2일 '조선족중학교 지식 퀴즈대회'를 처음으로 연다.
그는 "글짓기 대회 등 우리말과 지식을 뽐내는 대회를 통해 학생들이 우리 문화에 더 많은 관심을 두도록 돕는 게 취지"라고 중요성을 강조했다.
옌볜대학 조선어학과를 졸업한 김 대표는 조선족중학교 교사로 5년간 학생들을 가르치다가 1990년 연변일보사에 기자로 입사했다.
정치부, 스포츠부 등 여러 부서를 거쳐 사회부장을 지낸 뒤 2011년 8월 조선족중학생보 대표로 취임했다.
"신문 구독료가 연간 50위안(9천200원)으로 장거리 지역은 발송비가 구독료보다 많이 듭니다.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지만 그래도 10년째 구독료를 올리지 않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용돈 부담 없이 구독하도록 배려하기 위해서지요. 앞으로는 인터넷 사이트도 만들어 더 많은 청소년이 우리말과 얼을 지켜나갈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인물이름 : 김명성
"우리말과 얼 지킬 수 있도록 적자 감수하며 27년째 발행"
(하얼빈=연합뉴스) 강성철 기자 = "조선족 학생이 우리말과 얼을 익혀 정체성을 잃지 않고 살도록 돕는다는 자부심으로 신문을 만들고 있습니다."
중국 조선족 사회에서 중·고등학생 대상으로 발행하는 유일한 신문인 조선족중학생보의 김명성(50·남) 대표는 18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조선족 사회의 당면 과제로 청소년의 정체성 확립을 꼽았다.
국가기간뉴스통신사 연합뉴스와 외교부 산하기관 재외동포재단의 임원은 16일부터 18일까지 중국 동북 3성의 조선족 언론사 관계자들과 만나 현황을 듣고 지원 방안을 모색했다.
김 대표는 "40만 명에 달하던 동북 3성의 중·고등학생이 중국 내륙 도시와 한국으로 떠나 2만 3천여 명만 남았고, 신문 발행 부수도 6만 부에서 6천 부로 줄어들었다"고 어려운 상황을 전했다.
그는 전체 조선족학교의 60%가 폐교되거나 한족 학교에 통합된 상황이라고 털어놓았다.
특히 농촌 지역에는 학생이 10명 안팎에 불과한 학교도 있는 형편이어서 통폐합되는 학교가 속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1천 명이 넘던 학생이 계속 줄어들어 50∼100명만 남다 보니 한족 학생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제는 중국어로 수업하고 한국어(조선어)는 교육 과목으로만 남은 학교도 나오고 있습니다. 조선어학교에서 학생들이 우리말 수업을 못 듣는 곳일수록 신문을 더 많이 보내려고 애씁니다. 우리말을 접할 기회를 조금이라도 더 늘리는 게 중요하거든요."
1989년에 창간된 조선족중학생보는 뉴스, 독서, 학부모 자녀교육, 지식백과, 우리말 자랑, 연예·스포츠 등 학생 교양과 지식 습득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싣고 있다.
"개혁 개방 이후 돈벌이 등을 이유로 부모들이 동북 3성을 떠나면서 3대 가족이 살던 전통이 사라졌습니다. 지금의 젊은 부모들은 자녀 양육법을 잘 모르는 상황이죠. 자녀 훈육·대화법 등 고정란을 만들어 학부모도 함께 보는 신문으로 꾸미고 있습니다."
조선족중학생보는 지난해 옌볜조선족자치주가 9월 2일을 '조선어문자의 날'로 지정한 것을 기념해 9월 2일 '조선족중학교 지식 퀴즈대회'를 처음으로 연다.
그는 "글짓기 대회 등 우리말과 지식을 뽐내는 대회를 통해 학생들이 우리 문화에 더 많은 관심을 두도록 돕는 게 취지"라고 중요성을 강조했다.
옌볜대학 조선어학과를 졸업한 김 대표는 조선족중학교 교사로 5년간 학생들을 가르치다가 1990년 연변일보사에 기자로 입사했다.
정치부, 스포츠부 등 여러 부서를 거쳐 사회부장을 지낸 뒤 2011년 8월 조선족중학생보 대표로 취임했다.
"신문 구독료가 연간 50위안(9천200원)으로 장거리 지역은 발송비가 구독료보다 많이 듭니다.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지만 그래도 10년째 구독료를 올리지 않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용돈 부담 없이 구독하도록 배려하기 위해서지요. 앞으로는 인터넷 사이트도 만들어 더 많은 청소년이 우리말과 얼을 지켜나갈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