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을 지키는 자랑스런 '최씨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10-11-04 08:41본문
사진은 뜨락에서 수확한 옥수수를 손질하고있는 최명준씨. |
자기집에 이렇게 손님이 찾아오기는 처음이라며 기자에게 구들에 앉으라고 권하면서도 자기는 앉을념을 않는다. 나중에 알고보니 최명준씨는 서른살때 집수리하다가 넘어지는 기둥에 치여서 허리를 다쳤고 그 후유증으로 3년전부터는 일도 할수 없는 상황이였다. 오히려 서있는게 편하다는 최씨였다.
최명준씨는 이 마을의 유일한 조선족이였다. 린접해있는 모전자진에는 조선족촌민조가 있으나 양목천진에는 한때 이 마을에 조선족이 2호 있었던것이 고작, 그나마 다른 한호는 최명준씨의 넷째고모부네였다. 다행히 넷째고모부가 이 마을을 떠나기전 오래동안 촌당지부서기로 사업했던터라 최명준씨는 지금까지 마을사람들의 도움을 많이 받는편이다. 이 역시 채마전을 포함한 한전 3무가 유일한 수입원임에도 불구하고 최씨가 마을을 떠나지 못하는 리유중 하나다. 다른 한가지 리유는 할아버지와 부모님들이 모두 이 마을에서 돌아가셨기때문이기도 했다.
최씨는 양목천진에서 그리 멀지 않은 안평이란 곳에서 태여났다. 다섯살때 논밭이 많다는 영구의 한 조선족마을에 가서 2년간 생활하다가 부모님들이 그곳의 식수사정이 안좋아 건강이 못해지자 넷째고모부의 도움으로 현재의 양목천촌으로 돌아왔던것이다. 최씨는 열한살때 이 마을에 있는 한족학교에 입학했으나 아버지가 병환으로 돌아간후 가정생활이 곤난하여 4학년때 중퇴하고 어머니를 도와 생산대의 중로동에 뛰여들어야 했다. 17살때 생산대의 출납을 맡고 창고보관원으로 “진급”하며 로동강도가 좀 낮아졌으나 5남매가 한창 먹을 때라 가정생활은 좀처럼 펴지지 않았다. 다행히 동생들이 말썽없이 잘 자라주어 큰 도움이 되였단다.
지금 최씨에게 네 동생과 조카들은 자랑거리다. 현재 현성에서 생활하고있는 둘째동생은 딸과 아들을 두었는데 딸은 대학을 졸업하고 북경에서 출근하고 아들도 올해 대학을 졸업했단다. 셋째동생도 딸 하나를 두었는데 올해 대학에 입학했다며 제일처럼 기뻐했다. 넷째동생은 대학을 졸업하고 본계에서 사업하고 막내녀동생은 대학졸업후 단동오룡배사범학교 교원으로 있다가 현재 한국체류중이다. 최씨 자신은 딸 하나를 키우고있다. 결혼을 앞둔 딸애는 심양에서 출근하며 허리병으로 고생하는 아버지의 약값을 전부담한단다. 명절이나 휴가때 동생들이 찾아올 때면 가슴이 뿌듯하고 사는 보람을 느낀단다. 그만큼 양목천촌에서 최씨네 가족은 나름대로 성공한셈이다.
이야기도중 최씨는 방 한켠에 놓여있는 자루에서 락화생을 꺼내놓으며 맛보란다. 락화생알이 이상하게 검은색이였다. 빨간색의 락화생은 보아왔지만 검은색은 처음이였다. 최씨는 검은색의 락화생은 약으로 쓰인다며 3년전 이웃집에서 한줌 가져다 심기 시작한것이 올해는 적잖은 량을 수확했다고 소개했다. 약으로 쓰인다는 말때문인지 맛이 다른 락화생보다 더 달달하고 고소한것 같았다.
갑자기 최씨가 우리와 조선말로 이야기를 나누고있다는것이 이상스럽게 생각되였다. 어려서 한족학교에 다녔고 평생 한족들속에서 생활해온 그가 어쩜 우리 말을 이처럼 잘 할수 있을가? “할아버지와 부모님들이 조선말을 잘 하셨어요. 밖에 나가서는 어쩔수 없었지만 집에서는 언제나 조선말로 대화했지요. 제 안해와 딸도 조선말을 잘합니다.” 최씨의 해석이였다. 한족마을에서 유일한 조선족으로 생활하면서도 우리 말을 잊지 않고 고집하는 “최씨네”가 자랑스럽다는 생각이 뇌리를 쳤다.
작별을 고하자 집사람이 단동에 가고 없어 식사대접을 못해 미안하다며 앞뜨락에 있는 배나무에서 주먹만한 배 몇알을 따 맛보라며 넘겨준다. 달콤한 배맛만큼 최씨의 생활이 아름답게 피여나기를 묵묵히 기원하며 귀로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