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개혁개방의 물결 탄 조선족인민, 요지부동 조선족작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admin| 작성일 :11-05-12 08:52|

본문

2년 전 연변작가협회 작가회원들인 김관웅교수와 미국영주권자인 유순호씨가 인터넷을 뜨겁게 달군 사건이 있었다. 사건의 시말은 전 연변작가협회 작가회원인 유순호씨가 재미조선족들의 작품을 ‘연변문학’에 거재해 달라는 청탁과 김관웅교수가 이를 거부한 데서 인기되었다. 그러나 정작 도마에 올라야 하는 연변작가협회와 ‘연변문학’이 해외조선족작가 작품에 대한 부당한 예우와 문화대혁명시기 ‘계급투쟁’과 ‘노선투쟁’을 방불케하는 작가의 사상경향을 문제 삼는 경우에 대해서는 일언반구도 없고 작가들이 온통 간과 쓸개에 나눠 붙어서는 상대방을 공격, 비난하는 것으로 한차례 전쟁을 치른바 있다.

조선족작가들이 “해외에서 발표한 작품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 연변작가협회의 정설”이라고 한다. 즉 연변작가협회의 기관지인 ‘연변문학’에 작품을 발표한 작가만이 작가로 인정해 준다는 것이다. 물론 과거 같으면 당연한 일로 받아들여졌을 것이다. 그러나 중국사회에 남은 마지막 ‘국유기업’같이 시대에 떨어진 연변작가협회와 600명을 헤아리는 조선족작가회원을 두고도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동포사회에 동냥을 다니다가 결국 연변작가협회의 ‘내부문건’수준으로 전락된 ‘연변문학’의 권위는 물론 그들의 ‘구미’와 ‘인정기준’에 대해 문제 삼지 않을 수 없다.

개혁개방초기만 해도 ‘연변문학’은 ‘상처문학’으로 전성기를 누리면서 독자들은 잡지가 나오기를 손꼽아 기다렸고 서점 가에 새잡지가 나오기 무섭게 불티나게 팔렸고 돌려가며 보는 잡지중의 하나였다. 당시 ‘연변문학’은 조선족사회의 화젯거리로 충분했고 작가들은 조선족사회의 중심에 있었으며 연변작가협회는 조선족사회가 흠모해마지 않는 단체였다. 당시 연변작가협회와 ‘연변문학’은 후대양성에도 게으르지 않았다. ‘연변문학’은 문학청년들을 상대로 부간 ‘개간지’를 발행하고 연변작가협회 작가들은 ‘문학 강습반’을 통하여 많은 신인들을 육성해 냈다. 오늘의 연변작가협회는 ‘상처문학’을 이끌던 작가들과 그 시대가 육성해낸 신인작가들로 주류를 이룬다.

그러나 개혁개방이 신입되면서 조선족사회는 폐농현상과 함께 도시 진출, 중국내지에로의 진출과 러시아장사, 한국을 비롯한 해외노무로 이어지면서 중국의 다른 민족은 상상도 할 수없는 다원화사회로, 글로벌화 되어갔다. 조선족사회의 변화는 연변작가협회와 ‘연변문학’이 다원화, 글로벌 화된 조선족사회와 보조를 맞춰야 하는 필요성을 제시해 주었고 작가들이 그 전열에 서서 부도 쌓고 작가수업도 하면서 조선족사회를 발 빠르게 표현할 수 있는 기회도 주었다. 그러나 많은 작가들은 썰물을 탔다가도 밀물을 타가면서 직장을 잃지 않으려고 구름떼처럼 몰려다니면서 좀처럼 하해(下海)를 원치 않았다. 그런 사회주의 건설시기의 직장인들로 주류를 이루는 것도 오늘의 연변작가협회이다.

결국 연변작가협회와 ‘연변문학’은 ‘변화하는 자만이 살아남는다'는 현대인의 생존철학을 거역하고 도전을 회피했으며 주변에 울바자를 두르기에 급급했다. 그것이 해외조선족작가와 작품에 대한 인정이 필요한 이유이다. 말하자면 전 중국이 감염된 ‘자본주의’와 ‘자유주의’의 바이러스로부터 자유로워짐으로써 상급에는 ‘말썽’을 일으키지 않고 주위로부터는 입지를 지키고 개인적으로는 직장을 잃지 않으려는 속셈이다. 그러는 사이에 연변작가협회와 ‘연변문학’은 민심을 거슬러 버렸고 작가들은 조선족사회의 변화와 보편적 가치를 읽을 수 없었으며 연변작가협회와 ‘연변문학’의 구미에 스스로를 얽매어 놓을 수밖에 없었다.

연변작가협회는 중국작가협회가 소수민족지구에 둔 분회(分會)이다. 이는 연변작가협회가 조선족사회에 뿌리를 내리고 민족문화발전에 기여해야 하는 취지를 말해주고 있다. 오늘날 조선족의 판도는 더 이상 ‘연변과 동북3성’에 국한된 민족이 아니라 ‘연변과 중국전역, 한국과 러시아, 일본, 미국 등 지구촌에 산재되어 있는 민족’이라는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이는 연변작가협회와 ‘연변문학’이 전국에 눈을 돌리고 지구촌에 눈을 돌려야 하는 시대적 요구를 제기하고 있으며 동시에 그들 지역에서 조선족신인을 발굴하고 회원을 발전시켜 연변작가협회와 ‘연변문학’을 풍요롭게 함으로써 그로부터 미래성장동력을 마련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다.

아울러 혈통의 개념으로부터 조선족범주에 대한 새로운 정리가 필요하다. 출신이 3대를 간다는 말이 있다. 즉 사람들은 ‘아무개의 아버지 혹은 어머니는 조선족이다.’ ‘아무개의 할아버지 혹은 할머니는 조선족이다.’ 하면서 출생에 선입견을 갖게 된다. 이는 해외장기거주자, 외국적 취득자, 해외영주권자들과 그들에게서 태어난 2세, 3세들도 여전히 조선족범주에 속할 수밖에 없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 주고 있다. 왜나면 그들은 ‘연변과 동북3성’의 혈통을 벗어날 수 없으며 오매불망 애향심을 느끼며 살기 때문이다. 애석하게도 국적의 외피로 고향을 떠난 조선족들을 기피하고 해외화교를 끌어안기로 유명한 ‘당과 조국’에 부질없는 결백과 효심을 보이는 사람들이 많다. 이는 인간의 천부적 권리에 대한 침해이다.

이제 조선족사회가 연변작가협회와 ‘연변문학’을 평가할 차례다. 다원화되고 글로벌 화된 조선족사회의 구미를 맞추지 못하는 연변작가협회와 ‘연변문학’은 조선족사회가 인정할 수 없다. 조선족사회는 변화하고 발전하는 민족사회와 동행하는 조선족작가들과 연변작가협회, 조선족사회의 보편적가치가 반영된 ‘연변문학’을 원할 뿐이다. 몇 년 가도 글 한 편 쓰지 못하는 자, 변화를 두려워하고 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자, 민족을 논하면 쫓아다니며 훼방을 놓는 자, 필보다 입이 발달한 자, 푼돈을 자랑하며 문단 풍기를 더럽히는 자, 동네방네 파티를 빼놓지 않고 다니는 자들은 연변작가협회를 자진 탈퇴하라. 연변작가협회는 조선족문학의 사활이 걸린 문화공간으로 회생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0

글로벌한민족 목록

글로벌한민족 목록
42년의 시간을 넘어...두 ‘Mr.Hwang‘이 꽃피운… 2025년 10월의 경주, APEC 정상회의의 열기가 가을 하늘을 뜨겁게 달구었다. 핵잠수함 소식에 온 국민이 흥분에 휩싸인 가운데, 정작 나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은 21개국 정상들의 틈바구니 속에 선 한 사람, 바로 엔비디아의 젠슨 황(Jensen Huang) CEO의 존재였다. 그가 한국 정부와 기업에 GPU 26만 …(2025-11-03 20:44:13)
이창무 회장, 2026 월드컵 마케팅은 '뉴욕 코리안페스티벌… 내년 월드컵은 사상 최초로 3개국에서 동시에 개최된다. 이런 세계적인 이벤트를 활용해 뉴욕한인경제 발전은 물론 한국 기업들이 뉴욕에서 세계를 무대로 새로운 비즈니스를 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다가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 27일 인천에서 개막된 제29차 세계한인경제인대회에 참석한 뉴욕한인경제인협회 회장이자 월드옥…(2025-11-03 20:37:29)
별과 달을 넘나들다 한인사회에 상륙한, NASA 출신의 ‘김… 인기글 NASA에서 근무한 흔치않은 이력의 김봉전 콜로라도주 한인회장이 지난 10월1일 세계한인회장 대회가 열리고 있는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본지와 인터뷰를 하는 모습. [황복희 기자] ​ 현지 교민사회를 리드하는 한인회장 가운데 우주항공공학 박사로서 NASA에서 근무하며 우주왕복선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ICBM(대륙간탄도…(2025-10-17 18:39:46)
고국 찾는 재외동포,‘주로 50대 이상 남성’...“씀씀이도… 인기글 자료= 통계청 국내 체류 외국인 비중을 보면, 등록 외국인은 30대 이하 남성들이 많은데 비해 재외동포들은 50대 이상 남성들이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류자격 면에선 취업구직이 가장 많았으며, 재외동포, 결혼 이민거주 순으로 조사됐다. 국적은 중국이 가장 많았고,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미국, 몽골 등의 순이…(2025-09-25 19:57:16)
K-푸드 중국 진출에 ‘지적재산권 보호’ 필수 인기글 지적재산권 보호 및 침해대응 세미나 단체기념사진. aT 한승희 칭다오 물류유한공사 법인장(1열 좌측 7번째), 주칭다오 최강석 부총영사(1열 좌측 5번째), 한국지식재산보호원 한춘화 동북아IP센터장 (1열 좌측 8번째) K-푸드의 세계시장 진출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한국 식품기업의 수출 확대 흐름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세계…(2025-09-12 16:40:43)
재외동포 역량을 한국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 인기글 김경협 제3대 재외동포청장이 9월 10일 인천 연수구 본청 대강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인사를 하고 있는 장면 “재외동포사회가 가진 경험과 지식, 글로벌 네트워크를 모국과 연대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구축하겠다.” 김경협 재외동포청장은 9월10일 인천 연수구에 있는 본청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재외동포가 가진 자산을 모국…(2025-09-12 16:35:34)
“단군이래 이런 적은 없었다”...한류, 그리고 ‘한민족 디… 인기글 한류열풍, 얼마나 갈 것인가. 유사 이래 우리 문화가 이처럼 전세계를 휩쓴 적이 없었다는데 모두가 인식을 같이 할 정도로, K컬처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세계인을 매료시키고 있다. 덕분에 K뷰티, K푸드 등 한국상품들까지 인기를 끌면서 K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있다. 문학평론가 김종회 전 경희대 교수(한국문학관협회 회장, 황…(2025-08-27 12:59:33)
‘우리말사랑 한중 시낭송 예술제’ 압록강에서 유달산까지광복8… 인기글 바람을 잇다! 압록강에서 유달산까지광복80주년 기념 ​‘우리말사랑 한중 시낭송 예술제’ 목포서 열려 한국 목포교방과 추연화 문화예술교육연구소, 중국 압록강시낭송예술단 공동 주관 제3회 ‘우리말사랑 한중 시낭송 예술제’가 7월 26일 목포시 유달예술타운 공연장에서 '바람을 잇다! 압록강에서 유달산까지'라는 주제로 성황리에…(2025-08-12 17:18:37)
농부의 마음에서 시작한 ‘농심’, 세계인의 식탁으로 인기글 뉴욕한국문화원 1층에서 한강을 주제로 한 미디어월을 배경으로 현지 소비자들이 신라면을 먹고 있다. ‘한국적인 맛이 가장 세계적인 맛’ 한 그릇의 라면이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신라면 한 그릇이 ‘한국’을 떠올리게 한다. 엄밀하게 말하면 ‘매운라면’이라는 카테고리를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주류…(2025-08-12 17:13:07)
분단의 현장에서 '광복'을 되새기고 '평화'의 의미를 깨닫다 인기글 분단의 현장에서 '광복'을 되새기고 '평화'의 의미를 깨닫다세계평화청년학생연합(YSP) ‘청년 평화대사 평화탐방’ 개최전 세계 각국 청년 평화대사 1500여명이 8일 경기도 파주 임진각 바람개비 언덕에서 평화와 통일을 다짐하는 기념행사를 개최했다.전 세계 70여 개국 1,500여 명의 청년 평화대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청…(2025-08-12 17:00:09)
조선어 한국어의 순수성을 논한다는 것 인기글 한국어의 순수성을 논한다는 것 조현용(경희대 교수, 한국어교육 전공)우리는 한국어 어휘를 분류할 때 대개 세 가지로 나눕니다.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가 그것입니다. 한자어도 외래어라고 할 수 있겠지만, 한자어는 역사적으로 오래되었기에 외래어와는 분리하여 나눕니다. 한편 한자어가 우리말에서 몇 퍼센트를 차지하는지에 대해서 이야기하곤 합니다. 한자어를 70% 이상으로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지만, 자주 쓰는 우리말을 보면 한자어의 비율은 훨씬 낮아집니다. 아무래도 한자는 개념어, 문명어 등에 더 많이 …(2025-08-12 16:49:23)
韓 개미들, 中 주식 매수 열풍…한국인 보유 1위 주식은? 인기글 韓 개미들, 中 주식 매수 열풍…한국인 보유 1위 주식은?[2025-07-25, 08:13:22] [사진 출처=중국기금보(中国基金报)] 지난 1년간 한국인 투자자들이 가장 선호한 해외 시장으로 중국이 미국의 뒤를 이어 2위에 올랐다. 20일 중국기금보(中国基金报)는 한국예탁결제원(KSD) 산하 SEIBro 데이터를…(2025-07-25 19:29:56)
‘인삼 박카스’ 꿈꾸며 세계무대 도전… 서병훈 금산몰 대표의… 인기글 지난 6월 20~21일 캄보디아 프놈펜 코픽섬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Mini-KBEE 2025’에 참가한 금산몰 부스와 서병훈 금산몰 대표(가운데).[박정연 재외기자] 한국의 전통 건강식품인 홍삼이 동남아시아와 북미 시장에서 ‘에너지 음료’로 탈바꿈하며 주목받고 있다. 그 주역은 충남 금산에 본사를 둔 ㈜금산몰(대표 서…(2025-07-08 19:31:18)
[우리말로 깨닫다]자연을 닮은 말 인기글 우리말에는 닮아서 재미있는 말이 많습니다. 우선 지금 이야기하는 닮다와 담다를 들 수 있습니다. 닮다는 둘이 비슷하다는 뜻인데, 담았다는 말과 비슷한 것이 재미있습니다. 살면서 누군가의 모습을 내 눈에 담고, 누군가의 마음을 내 속에 담으면 닮아가는 것이겠죠. 그래서 자식은 부모를 닮고, 부부는 서로 닮아갈 겁니다. 상대…(2025-07-08 19:25:42)
"글로벌 한민족의 현재와 미래를 기록하겠다" 인기글 사단법인 세계한민족회의(KIC)가 국내외 25개 지역을 대표하는 기자단을 2025년 7월 1일 공식 발족했다. 이번에 출범한 ‘KIC 글로벌기자단’은 단순한 소식 전달을 넘어, 세계 각지에 흩어져 살아가는 동포들의 삶과 감정을 기록하고, 문화적 다양성과 정체성을 조명하는 ‘지구촌 소통의 창’으로 주목받고 있다.기자단은 해…(2025-07-08 19:20:32)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