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중국조선족 (朝鮮族) 략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 :11-09-08 03:43|

본문

중국조선족 (朝鮮族) 략사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한민족. 중국내의 55개 소수민족의 하나이다. 

길림성[吉林省]· 료녕성[遼寧省]· 흑룡강성[黑龍江省] 등 동북[東北]지구에 주로 거주한다. 

인구 220만. [吉林省(길림성)]에 약 118만 명, [黑龍江省(흑룡강성)]에 약 45만 명, [遼寧省(요녕성)]에 약 23만 명 등 동북3성에 집중되어 있다. 길림성에는 연변조선족자치주가 있고 총인구의 약 40%를 조선족이 차지하고 있다. 

일본강점기 일본의 학정을 피하여 한국에서 이곳으로 온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82∼90년까지 인구증가율은 연 1.05%로 같은 기간 중국 소수민족 평균 인구성장률 3.88% 보다 훨씬 낮으며, 반면 교육수준은 선진국수준에 가깝다. 

중국 전체의 대학교, 중·고등학교, 초등학교의 이수비율이 각각 14명, 79명, 233명에 비하여 조선족 1천명당의 비율은 각각 43명, 209명, 337명이다. 또한 중국 전체의 문맹률은 22%인데 반해 조선족 문맹률은 7%로 매우 낮다. 이와 같은 높은 학력수준 및 낮은 출산율 등은 다른 소수민족의 모범이 되고 있으며, 근면·성실한 민족성으로 중국내에서 비교적 높은 생활수준을 누리고 있다. 
 
중국조선족은 명말청초이래 조선반도로부터 선후로 중국에 들어와 정착한후 점차 중국의 한개 소수민족으로 발전하였다.

일찍 고대력사시기에 지금의 중국경내에는 고조선, 고구려 등 나라들이 있었다. 고조선과 고구려는 비록 당시의 한조나 단조에 예속되여있었지만 여전히 독립국가였다. 고구려가 멸망된후 고구려사람들은 대부분이 조선반도로 이동하였으며 료동일대에 남은 고구려유민들은 말갈족과 함께 발해국을 세웠었다. 발해가 료나라에 의해 멸망된후 그 유민들은 중국의 다른 민족들과 잡거하는 가운데서 점차 동화되였다.

그후의 료, 금, 원 왕조와 명조초기에는 지금의 료동, 료남의 일대에 수만명을 헤아리는 고려인들이 살고있었는데 {료동지}에 따르면 그들은 당지 총인구의 10분의 3이나 차지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그들은 고구려나 발해의 유민이 아니라 원조와 명조때 조선반도로부터 이주하여 온 사람들이였다. 그들도 오핸 세월을 내려오면서 중국의 다른 민족들과 잡거하여 통혼하는 과정에 점차 다른 민족에 동화되였다.

오늘의 중국조선족은 혈통면에서나 민족속성면에서 모두 중국경내에서 생존하였던 고구려, 발해 유민이나 고려인들과 직접적인 계승관계가 없다. 

근대적의미에서의 조선민족은 조선 리조중기에 와서야 비로소 형성되였다. 중국조선족은 바로 조선반도에서 이미 단일한 민족으로 형성된후 여러가지 원인으로 하여 중국에 이주하여 온 민족이다.

한말(韓末)에 외세의 침노로 한국의 국권이 흔들리면서 나라 안팎이 어지러워지자, 새로운 생활 터전을 찾아 조국을 등지고 동북지방과 러시아의 시베리아로 이주해 가는 한국교포의 수가 갑자기 늘어났다. 이 류민(流民)의 행렬은 나라가 일제에 강점되면서 더욱 늘어났다. 게다가 토지조사 등의 명목으로 일제가 한국인의 농토를 잠식하고 강제수탈하자 땅을 잃은 농민과 생업을 상실한 유랑민은 더욱 그 수효가 늘어나서 전국에서 만주(滿洲)로 흘러 들어갔다.

이 대렬에는 조국 광복과 국권회복을 다짐하며, 독립투쟁을 하기 위하여 조국으로부터 망명해 가는 독립운동가도 많았다. 

여러 경로로 만주땅에 흘러든 이들 한교(韓僑)들은, 거기에서 불모지를 개간하고 산림을 개척하여 어렵게 생활 터전을 닦아 나갔다. 그렇게 해서 마련된 한인 마을에는 독립군이 뿌리를 내리었고, 갖은 고초를 겪으면서 교민들의 개간생활과 조국광복을 위한 독립투쟁이 연계를 이루고 어울려 이어져 갔다.

일제에 의해 만주사변과 중일전쟁이 일어나고, 만주가 더욱 개척되면서 한국인의 이주는 더더욱 활발해졌다. 한국에서 나는 쌀 약 1,500만 섬 중 1,000만 섬 이상을 일제가 수탈해 가니, 절량(絶量)에 허덕이는 한국 농민은 개간할 황무지가 있는 만주로 몰려갈 수밖에 없었다. 

이리하여 8·15광복으로 일제가 패망하였을 때에는 본국에 생활근거가 없는 조선인이, 조국 귀환을 못하고 만주에 무수히 처져 남게 되었다. 이들이 조선족의 1세대요 거기서 난 자손이 2세대들이 되었다.

게다가 조국이 3·8선 때문에 남북으로 갈리고, 이념과 체제가 다른 두 개의 정부가 들어서자, 조선족의 일부는 중국정권과 밀착된 조선으로 들어갔고, 상당수의 조선족은 그대로 동북지방을 비롯한 중국땅에 흩져서  생활해오고 있다. 

중국조선족 (中國朝鮮族)은 한국계 중국인 또는 중국적 한국인. 중국 국적이라는 점에서 볼 때 북한 국적을 가진 재중 북한인이나 재중 한국인과는 구별된다. 

1850년 무렵부터 한국인이 중국 둥베이[東北(동북)]지방에 이주하기 시작했다. 동북지방의 개발을 서두른 청(淸)나라 정부는 처음에는 환영했지만 그 뒤에는 한국인이 일본의 앞잡이가 될 것을 두려워하여 중국에의 귀화를 강요했으며 이에 따르지 않는 사람은 배척했다. 

1928년, 중국공산당 만주성위원회는 <조선인을 중국 내의 소수민족으로 간주할 것, 혁명 성공의 날에는 [延邊(연변)]에서 조선족의 자치권을 인정할 것>을 결정했다.

 1932년 당시 중국에 살고 있었던 한국인은 약 67만 명, 그 중에서 중국에 귀화한 사람은 약 8만 명이라고 한다. 8·15 해방 후 약 220만 명 중 약 100만 명이 북한으로 갔다. 

중국에 남은 이들에게는 49년 중국국적이 주어졌다. 중국조선족이라는 역사는 여기서 시작된다. 

중국의 조선족은 사회, 정치, 경제, 문화, 교육 등 면에서 중화민족의 많은 우수한 특점을 소유하고있으면서도 조선민족으로서의 기질과 민족고유의 문화전통, 풍속습관 및 심리적특점을 보존하고있다. 
중국정부는 민족교육에 대해 보호정책을 취하고 있다. 연변에는 조선족 가무단·연극단·민속박물관 등이 있으며 민족문화 활동이 성하다. 

조선말로 된 신문·잡지·TV도 상당히 활약상을 보이고 있다.  

대부분이 <조국은 중국>이라 생각하고 있다. 
때문에 중국조선족은 중국에 들어와서 새로운 민족군체를 형성한 중국의 소수민족이다.
 
0

글로벌한민족 목록

글로벌한민족 목록
[현장르포] 거기, 한민족이 산다 인기글 한민족의 역사가 면면히 흐르고 있으되 지금은 중국의 영토로서 엄연하게 분리된 지역.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중국동포의 주요 거점지역으로서 한민족의 역사에 새겨지고 있는 바로 그 지역을 우리 청소년들과 함께 돌아보았기에 그 소㉯� 지면을 통해 간단하게 연재하고자 한다. 독립운동의 뿌리 남아 있어 백두산을 지나 용정에 도착하자 우리 전통의 기와집 형태 가옥들이 눈에 띈다. “지붕을 보면 한민족이 사는 집인지 아닌지 한 눈에 알 수 있다”는 가이드의 설명을 듣고 다시 보니 정말…(2011-09-13 11:29:57)
방문취업 체류기간 만기자에 대한 출국절차와 재입국 사증발급 … 인기글 한국 법무부는 지난 8월 17일 언론보도를 통해 방문취업동포가 체류기간 만기전에 출국할 경우 재입국을 보장한다는 기본방침을 발표한바 있다. 이와 관련해 법무부는 9일 사이트를 통해 방문취업 동포의 체류기간 만기전 출국절차와 재입국을 위한 사증발급에 대한 사항을 안내했다. 출국시기는 사증의 유효기간 또는 외국인 등록증 체류기간 만기일에 관계없이 체류기간이 만료되기전에 본인이 원하는 시기에 언제든지 출국이 가능하며 출국절차는 반드시 체류기간내에 출국하여야 하고 별도의 신고절차없이 출국시 공…(2011-09-13 11:26:19)
조선 라선경제무역지대 특수 납세혜택정책 인기글 9월 7일 조선상무의 날 라선특별시 세무국에서 납세혜택정책에 관련 소개책자를 발급했다.회의참석자들은 조선의 세금혜택정책관련 깊은 관심을 보였다.아래 조선 라선경제무역지대의 세금정책을 알아보도록 하자. 조선 라선경제무역지대는 경제무역 및 투자, 금융, 서비스 등 방면에서 혜택대우를 향수할수 있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특수경제지구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정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라선경제무역지대법’과 50여개 경제무역지대 투자법규를 제정, 공포함으로써 외국투자의 법적기초와 제…(2011-09-13 11:21:57)
중국동포의 방문취업 신규 입국절차 안내 인기글 무연고동포의 방문취업 전산추첨을 위한 한국어능력시험이 대리응시 등 부작용으로 2011년부터 폐지되고 방문취업 신규도입규모 동결로 국내 친족이 초청하는 연고동포와 비교하여 무연고동포의 입국대기 기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동포의 방문취업 신규입국자 간 공평한 입국기회를 제공하고 방문취업 체류인원 총량규모(11년 30.3만명)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중국동포의 방문취업 입국절차가 다음과 같이 개선된다.   방문취업 사전신청 제도의 도입   '방문취업 사전신청…(2011-09-13 11:15:13)
제2회 재한중국동포민속장기대회 성공적으로 개최 인기글 중국동포타운신문과 재한중국동포장기협회(회장 김정룡)가 주최하고 대한장기협회가 주관한 제2회 재한중국동포장기대회가 지난 9월 4일 서울영등포차이나타운에서 성공적으로 열렸다.이번 대회는 제1회 대회와 달리 토너먼트(도태전)가 아닌 적분순환제를 도입하여 치렀다. 토너먼트는 한 게임 두고 절반이나 도태되어 구경만하는 것이 너무 가혹하여 장기애호가들의 참여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비해 적분순환제는 실력의 여하를 막론하고 108명의 선수가 똑 같이 하루 7륜을 다 둘 수 있어 즐기는 문화행사의 …(2011-09-08 11:01:22)
동북아지역 조선족의 이동 분포와 특점 인기글 동북아지역 조선족의 이동 분포와 특점 차철구 (길림성 민족연구소) 동북아개발현장 조선민족은 동북아지역의 주요한 토착민의 하나로서 조선반도에서 발원했다. 19세기중엽부터 조선반도의 조선인들은 륙속 중국, 구쏘련, 일본 등 주변나라로 대량으로 이동하여 점차 온 동북아에 널린 위대한 민족으로 되였다. 초보적 집계에 따르면 목전 동북아지역에 있는 조선족은 약 6,780만인으로서 동북아 총인구의 24%좌우를 차지한다. 그중 조선인구가 2,250만이고 한국인구가 4,31…(2011-09-08 03:44:22)
[열람중]중국조선족 (朝鮮族) 략사 인기글 중국조선족 (朝鮮族) 략사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한민족. 중국내의 55개 소수민족의 하나이다. 길림성[吉林省]· 료녕성[遼寧省]· 흑룡강성[黑龍江省] 등 동북[東北]지구에 주로 거주한다. 인구 220만. [吉林省(길림성)]에 약 118만 명, [黑龍江省(흑룡강성)]에 약 45만 명, [遼寧省(요녕성)]에 약 23만 명 등 동북3성에 집중되어 있다. 길림성에는 연변조선족자치주가 있고 총인구의 약 40%를 조선족이 차지하고 있다. 일본강점기 일본의 학정을 피하여 한국에서 이곳으로 온 사람들이 대부분이다…(2011-09-08 03:43:27)
동북3성 한민족 기업인 ‘만났다’ 인기글 중국 거점 한인기업인 130여명 참석 재중동포 기업인들이 거점을 이루고 있는 중국 동북3성 지역에서 한민족 기업인들이 만남을 가졌다. 주선양대한민국총영사관은 8월 26일 중국 길림성 장춘시 해항명문호텔에서 ‘동북3성 한중기업인 교류회’라는 이름으로 재중동포기업인들과 현지에 진출해 있는 한인기업인들의 교류와 친목을 위한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 12월 개최됐던 ‘동북3성 한중경제포럼’의 바통을 이어받아 또 한 번 마련된 행사로, 한국과 중국을 오가며 기업인으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는 …(2011-09-06 11:06:07)
미주총련 재판, 유진철 씨 승리 인기글 미주한인회총연합회(이하 미주총련) 차기 회장에 유진철(사진) 씨가 적법하다는 판결이 났다. 버지니아 페어팩스 순회법원은 23일 차기 총련회장 적법성과 관련한 재판에서 "유진철씨가 적법한 회장으로 인정된다"고 판결하고 "김재권씨는 미주총련 직인과 단체 관련 서류 일체를 유씨에게 인도하라"고 판시했다. 판사는 22일부터 이틀동안 계속된 김씨의 회장업무 정기 가처분 신청건과 관련해, 남문기 전 회장 등 관련 증인들의 진술과 증거 등을 종합해 볼때 유씨가 적법한 회장으로 인정된다고 판결했다. 이번 사건은…(2011-09-06 11:05:19)
재외동포 700만 시대 다시 도래 인기글 재외동포 수가 다시 700만명을 넘어섰다. 8월 29일 외교통상부가 발간한 ‘2011년 재외동포현황’ 책자에 따르면, 재외동포 수는 726만8,771명으로 2009년 682만2,606명보다 6.54% 증가했다. 각 국가별로 체류한 동포 수를 비교해 보면 중국에 가장 많은 270만4,994명의 동포가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보다 50만 이상 많은 수치. 중국 다음으로 미국 217만 6,998명, 일본 90만 4,806명, 독립국가연합 53만 5,679명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2011-09-06 11:02:53)
올해 추석기간, 중국동포위한 다양한 행사 열려 인기글 올해 추석은 9월12일, 9월10일이 토요일이기에 연휴가 13일까지 나흘이나 된다. 이에 민족의 전통 명절을 맞아 서울에서도 중국동포를 위로하는 다양한 행사가 펼쳐지게 될 전망이다. 한중교류협회와 (사)재외동포기술교육지원단에서는 그동안 국내의 선진기술을 익히기 위해 열심히 기술교육에 임하고 있는 동포들과 산업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동포근로자들을 위로하기 위한 추석 행사를 오는 9월 11일(日) 오후 1시부터 서울 장충체육관(지하철 3호선 동대입구역 5번 출구)에서 위로잔치를 개최하기로…(2011-09-06 10:58:36)
연변 발전을 조선족사회 발전에 활용해야 한다 인기글 연변은 여전히 거침없는 발전을 이어가고 있었다. 채 10개월도 지나지 않아 다시 찾았는데도 달라진 모습을 금새 알아차릴 수 있을 만큼 두드러졌다. 주도인 연길시는 물론 지방의 중소도시, 그리고 도시와 도시를 잇는 도로 및 도시 외곽의 다양한 건설현장 등 연변지역 곳곳에서 그런 모습은 쉽사리 확인할 수 있었다. 연변지역의 경제성장률을 통해서도 그곳의 발전이 다른 지역에 비해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한 보도에 따르면 연변조선족자치주의 금년 상반기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 같…(2011-09-06 10:20:47)
외교부, 가수 백청강 ‘제5회 세계한인의 날’ 홍보대사 위촉 인기글 외교통상부는 제5회 ‘세계한인의 날’ 홍보대사로 조선족동포 출신 가수 백청강씨를 위촉키로 결정하고 8월 30일 외교통상부 청사 18층 리셉션홀에서 김성환 장관이 위촉패를 수여할 예정이다. 국내외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가수 오디션 대회 ‘위대한 탄생’에서 최종 우승함으로써 재외동포사회에서 코리안 드…(2011-09-01 10:31:28)
2011 코윈 29일 울산에서 개막 인기글 전 세계에서 활약하고 있는 한민족 여성의 연대강화와 교류 활성화를 위한 ‘세계한민족여성네트워크’가 울산에서 개최된다. 여성가족부(장관 백희영)와 울산광역시(시장 박맹우)는 8월 29일부터 9월 1일까지 4일간 울산 롯데호텔과 현대호텔 등지에서 ‘2011 세계한민족여성네트워크’(KOWIN, Korean Women’s international Network)’를 공동개최한다. ‘글로벌 한민족 여성, 그린 코리아를 이끌다!’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는 경제, 사회, 문화, 예술 등 전문분야 국·내외…(2011-09-01 10:28:30)
해외 한인 TV방송인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인다 인기글 미국, 프랑스, 호주, 중국 등 9개국의 해외 동포 TV방송인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8월 26일 “24개 해외 한인 TV방송인 대표자들이 참가하는 제1차 해외한인방송인대회를 31일부터 나흘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700만 재외동포들의 눈과 귀 역할을 맡아온 해외한인방송인들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이는 이번 대회는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의 후원으로 진행된다. 대회에서 참석자들은 ‘방송시장 변화에 따른 재외동포방송 발전방안 모색’을 주제로 한인 TV방송사의 자…(2011-09-01 10:22:28)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