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조선족의 새 터전 새 삶 찾아 》순방일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 :09-09-28 09:38|

본문

25일 온 하루 취재하고 새벽까지 기사를 쓰다나니 아침 늦게 눈을 떴다. 아침 8시가 되니 강만덕사장으로부터 문안전화가 걸려오고 오늘 일정에 대한 안내가 있었다. 오전에 허지환총경리를 취재하고 오후에는 연태의 조선족녀성기업인들을 소개할거란다.
 
호텔에서 아침을 먹고 강사장이 보내준 차에 앉아 연태시해양과기청사10층에 자리잡고 있는 연태강산유압기계유한회사에 이르렀다. 서글서글한 조선족중년사나이가 반가이 맞아주었는데 그가 바로 이 회사의 총경리로 있는 허지환씨였다. 토요일 오전까지 일을 보지만 고향에서 온 우리를 위해 오전시간을 냈다고 한다. 연태에 와서 많이 보아온 일이지만 기업인들이나 사업가들 대부분은 시간을 쪼개서 일하고 있었다. 취재과정에 전화를 받고 사무를 보는것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같았다.
 
군대생활이 몸에 밴 허지환씨였지만 그전에 만나본 조선족기업인들과 마찬가지로 민족자긍심이 대단한 사람이였다. 연해지구조선족교육문제에 대한 견해는 비교적 깊이가 있었는데 당지정부와 동북지구 조선족교육부문의 일부 정책에 대해서도 손금보듯 알고있었고 추진할만한 중요한 일이라고 거듭 강조하는것이였다.
 
오후에는 연태지구에서 조선족녀성강자로 불리는 김희옥과 남궁은연을 만났다. 훈춘에서 온 김희옥은 비교적 강하고 빈틈없이 세련된 사람이라는 강한 느낌을 주었는데 조선족녀성의 강의함과 근면함을 한몸에 지닌 분이였다. 하지만 그 어떤 실패앞에서도 하면된다는 굳은 신념으로 다시 일어서서 오늘까지 왔다는 말을 할때, 또 내가 만약 연변사람이 아니고 조선족이 아니였다면 이렇게 견지하지 못했을지도 모른다는 말을 할때 그의 눈가에는 무엇인가 반짝하기까지 하였다.
 
남궁은연은 무역을 하던 예리한 안광을 가진 사람이지만 겉보기는 순더분하고 진지한 느낌을 주는 조선족녀성이였다. 장기적으로 긴장한 무역일을 하다보니 건강상황이 나빠졌고 따라서 건강문화사업에 눈길을 돌리게 되였다면서 지금 하는 미용회관을 소개하였다. 연길에서도 많은 건강상품이 나오고 한국에서도 인입되고 있다고 말하니 국제적으로도 선진적이고 국내에서는 유일한 네오넥스 미용회관이란다.
 
27일은 일요일이여서 원래 회사들을 돌면서 회사일을 하는 분들을 만나려던 계획이 수포로 돌아갔다. 강사장도 참 안되였다고 말하였지만 우리의 일정안배가 주밀하지 못한 탓이라고 말하고 아침먹으러 내려갔다.
 
호텔 뒤골목에 들어가니 아파트단지 1층에 어둡고 낮다란 음식점들이 줄느런히 있었는데 《동북맛음식점》이라는 우리글간판이 눈에 띄여 《조선족분이십니까?》인사하면서 들어서니 반갑게 맞아주는 조선족로인이 있었다. 조카와 조카며느리가 꾸리는 식당이며 조카는 지금 물건구입하러 나갔다고 이야기하는 로인님은 우리가 여기로 나온 목적을 이야기하자 대단히 반가워하는것이였다.
 
알아보니 김씨성을 가진 남편은 조선족분이였고 안해는 왕청태생의 한족분이였다. 안주인도 연변에서 왔다는 말을 알아듣고 반가워 어쩔줄 몰라한다.
 
말을 들어보니 관내에 들어온지는 3년에 나는데 청도 성양에서 2년가량 있다가 올봄에 연태로 와서 자영업을 한다고 했다. 마침 남편의 고향이 화룡시 와룡향 갑산이라고 해서 그 아래 마을 장항촌이 나의 고향이라고 말해주었더니 마치 친척을 만난듯 반가워한다. 마침 채소구입을 나갔던 김씨가 돌아왔는데 해볕에 그은 팔과 얼굴, 기름때 반지르르한 손, 어느모로 보나 연길 음식점들의 사장을 방불케하는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50대중반의 김씨는 고향사람을 연태에서 만나니 무척 반가운 모양이였다. 연태에 금방 오다보니 이곳 실정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었지만 성양에 있을 때 회사경비를 서던 이야기, 안해가 처음 들어와서 2천여원씩 받으면서 식당일을 하던 이야기, 자영업을 해야 쉽게 돈을 벌것 같아서 여기로 나왔다는 등 이야기를 구수하게 터놓았다.
 
《연태에 와보니 흑룡강에서 온 조선족부자가 많더라이. 누구는 몇천만, 또 누구는 몇억씩 벌었다는데 따콴으로 된 조선족들이 많아서 조선족들이 업수임을 받지 않을때가 많다구.》이렇게 말하면서 《요즘 이줄에서 우리집이 영업이 좀 잘되니 걸고드는 애들이 많다》며 근심을 털어놓는다. 알고보니 다른 집들과 마찬가지로 아침에는 면식을 위주로 점심저녁은 랭면, 온면, 장국 등을 곁들여 조선족음식을 만들어팔고 값도 싸다보니 손님이 많아졌는데 부근의 식당들에서 눈꼴이 시렸는지 배척할가 한다는것, 연변같으면 어림도 없을 일이지만 여기는 다른 세상이란다.
 
위생국이나 환경보호부문에서 시도때도 없이 나타나 벌금을 안기려고도 하지만 강직한 김씨는 다른 집들에서도 같은 장사를 하는데 왜 나만 벌금이냐고 해당 문건을 내놓으라고 을러메군 한다고 말한다.
 
참 잘했다고 아무리 외지에서 온 사람이라도 법만 어기지 않으면 기죽을 필요없다고 치하하고 나서 아까 이야기한 그런 따콴들의 오늘이 가능하면 김씨의 미래가 될수 있으니 사회의 발전에 눈길을 돌리고 밑천을 불리고 힘을 키워 꼭 부자가 될것을 부탁하면서 우리는 자리를 떴다.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10-11-27 10:46:45 한민족센터에서 이동 됨]
0

글로벌한민족 목록

글로벌한민족 목록
류장춘 "연변 FC는 중국 조선족의 가장 큰 자랑" 인기글 유장춘 "옌볜 FC는 중국 조선족의 가장 큰 자랑" 중국은 한(漢)족을 비롯해 총 56개의 민족이 함께 사는 다민족 국가다. 이중 한족을 제외한 나머지 55개 민족은 소수민족이라 불리며 보통 중국의 외곽 지역에 살고 있다. 55개 소수 민족 중에는 조선족으로 불리는 한국계 중국인, 중국동포도 있다. 이들은 중국의 동북 3성인 랴오닝성(遼寧省), 지린성(吉林省), 헤이룽장성(黑龍江省)에 거주하고 있으며 200여만 명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 중 지린성에 가장 많은 이들이…(2009-11-17 09:33:24)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언어, 문자사용에서의 차이(12) 인기글 ‘날인’과 ‘도장을 찍다.’ ‘날인’은 누를 ‘날(捺)’자에 도장 ‘인(印)자의 한자 ‘捺印’의 한자어 단어로서 도장을 찍다의 뜻으로 되는데 한국에서는 ‘도장을 찍다’를 ‘날인’이란 한자어 단어를 쓰지만 중국의 조선족들에게는 ‘날인’이란 너무 생소한 단어이며 이에 해당하는 합성명사가 없이 우리말 그대로 ‘도장을 찍다’로 말한다. ‘날인’은 ‘捺印’의 한자어 단어이지만 한어에는 ‘捺印’이란 단어가 없다. ‘ 방치’와 ‘내버려두다’ ‘방캄는 놓을 ‘방(放)자에 둘 ‘치(置)’자의 한자 …(2009-11-16 09:46:46)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언어, 문자사용에서의 차이(11) 인기글 ‘자재’와 ‘재료’ ‘자재’나 ‘재료’는 모두 무엇을 만드는데 쓰이는 원료이다. 중국의 조선족들은 ‘자재’나 ‘재료’를 언론매체나 출판물에서는 구별이 없이 쓰지만 구두어에서는 한어의 영향을 받아 보통 ‘재료’라고 많이 말하고 ‘자재’라고 말하는 사람은 극히 적다. 한어에는 재료(材料)란 단어는 있지만 자재(資材)란 단어는 없다. 한국 사람들은 가구, 건축 등 부분에 쓰이는 원료들을 ‘자재’라 하고 음식, 복장 등을 만드는데 쓰이는 원료를 ‘재료’라고 말한다. 그러나 한국 국어사전에는 ‘자…(2009-11-16 09:45:13)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언어, 문자사용에서의 차이(10) 인기글 ‘문어’와 ‘서면어’,‘구어’와 ‘구두어’ 일상적인 대화에서 쓰는 말이 아닌 문장에서만 쓰는 말을 한국에서는 문어(文語)라 하고 중국의 조선족들은 ‘서면어(書面語)’라고 하는데 한국어사전에도 ‘서면어’ 란 단어가 없다. 문장에서만 쓰는 특별한 말이 아닌, 일상적인 대화에서 쓰는 말을 한국에 서는 ‘구어(口語)’라 하고 중국의 조선족들은 ‘구두어(口頭語)’라고 한다. 한국어 사전에도 ‘구두어’란 단가 없다. ‘갈림목’과 ‘갈림길목’ 길이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곳을 한국에서는 ‘갈림목…(2009-11-13 09:39:48)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언어, 문자사용에서의 차이 (7) 인기글 ‘서민’ 과 ‘백성’ 한국에서는 일반 평민을 ‘서민’이라고 한다. 한국 국어사전의 해석을 보면 ‘서민’을 아무런 벼슬이 없는 평민이라고 하였고 ‘백성’을 일반 국민의 예스 러운(옛것 같은 느낌)말이라고 하였다. 이것을 보면 예전에는 서민을 백성들 이라고 하였다. 중국의 조선족들은 일반 평민을 ‘백성’이라고 하는데 지금은 한국과의 거래를 통하여 ‘서민’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도우미’와 ‘행사안내원’ 행사안내를 하거나 행사내용을 설명하는 등의 봉사활동을 하는 요원을 한국에서는 ‘…(2009-11-13 09:37:51)
중국 유일의 조선족자치현…관광강현 만든다 인기글 장백조선족자치현 정형일현장을 만나본다 정형일 프로필: 1966년10월 장백현에서 출생길림공학원 화공공정학부 졸업길림대학 철학사회학원 연구생 졸업싱가포르남양리공대학 관리경제학 박사학위 획득선후로 장백현규소토공업회사 부공장장, 공청단현위 부서기, 십일도구향 향장, 공청단 현위서기로 사업2001년6월에 장…(2009-11-12 09:21:37)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언어, 문자사용에서의 차이 (6) 인기글 ‘연체료’와 ‘체남금’ 금전의 지급이나 납입 등을 기한이 지나도록 지체하여 기간에 따라 지급하는 추가료금을 한국에서는 ‘연체료’(延滯料)라고 하지만 중국의 조선족들은 한어의 영향을 받아 ‘체납금’(滯納金)이라고 한다. 한어에서 ‘滯納金’은 한국 에서 말하는 ‘연체료’의 뜻으로 쓰인다. 한국 국어사전의 해석에는 체납금(滯納 金)을 한어에서의 체납금과 다른 뜻으로 기한까지 내지 못하고 밀린 돈이라 고 하였다. ‘컵’과 ‘고뿌’ 물, 차, 음료 등을 따라 마시는 잔을 한국에서는 영어발음…(2009-11-11 10:14:35)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언어, 문자사용에서의 차이 (5) 인기글 필자註: 원래는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언어, 문자사용에서의 차이”를 네 번에 나누어 두음법칙, 인명, 지명, 거리간판, 한자어와 고유어, 고유 어와 고유어, 고유어와 외래어 등 몇 개 부류로 나누어 대표적인 것을 몇가지씩 례를 들면서 차이점들을 말하여 네기로 끝을 맺으려고 하였는데 많은 독자 들의 요구에 의해 앞으로 계속하여 쓰려고 한다. 이번 기부터는 부류를 나누지 않고 일상 생활에서 쓰이는 언어, 문자 차이를 말하려 하는데 이미 끝을 맺으려 한 것을 계속 쓰므로 문장격식에 좀 맞지 않는 …(2009-11-11 10:12:34)
의오시사립군성학교에서 만난 조선족교사들 인기글 1997년에 설립된 의오시사립군성학교는 《절강성시범소학교》, 《절강성중점중학교》, 《절강성우수민영학교》, 《절강성외국학생모집학교》로 의오에서는 꽤 지명도가 높은 학교이다. 300여명의 교직원과 2000여명의 학생을 가진 이 학교에는 한국류학생 28명과 조선족학생 약간명이 있고 그들의 원활한 교육을 위해 조선족교사 2명이 근무하고 있었다. 기자가 찾아간 29일, 마침 제12회교내운동대회가 있었는데 사립학교의 건물과 학생규모를 보고 놀라지 않을수 없었다. 소학부, 초중부, 고중부로 된 완…(2009-10-30 09:34:32)
길림시조선족사회 동태 (10.15) 인기글 ● 국경절을 맞으며 길림시조선족예술관 문예일군들은 9월 26일 길림시 65307부대와 군민친선모임을 가졌다. 이는 길림시조선족예술관으로 말하면 처음으로 되는 군민친선모임이다. 당일 예술관일군들은 다채로운 문예종목과 민족특색이 짙은 여러 가지 음식으로 군인들에게 명절의 축하를 보냈다. 성공적으로 진행된 이번 친선모임을 계기로 부대측에서는 앞으로 잦은 련계를 갖고 더욱 광범위하게 활동을 진행할것을 제의했다. 이번 군민친선모임을 중앙TV에서 취재했다. / 리상학 ● 국경절 휴가를 보다 …(2009-10-15 09:05:03)
《길림조선족》정보지 길림조선족사회 한눈에 인기글 길림시조선족군중예술관에서 꾸린 《길림조선족》정보지가 2005년 1월 창간호에 이어 금년 9월달부터 출간을 재개했다. 길림성출판국 해당 부문의 허가로 2005년에 창간되여 4기까지 꾸리고 접어놓았던 《길림조선족》정보지는 근래 길림조선족사회의 경제, 문화 등 다방면의 활성화에 힘입어 재출간을 하게 되였다고 조선족군중예술관측은 밝혔다. 길림조선족사회의 소식전달과 정보교류, 당의 민족정책홍보를 취지로 하고있는 《길림조선족》정부지는 반월간으로서 조선족군중예술관 리상학이 주필을 담당했다…(2009-10-15 09:04:24)
조선족촌 토지 이렇게 지켜요 인기글 서란 진교촌지도부는 호도거리 실시이래 시종일관 본 촌의 토지를 촌지도부에서 통일로 관리하는 대책을 내와 지금까지 진교촌은 한푼의 토지류실도 없다. 한편 진교촌당지부에서는 토지임대관리를 강화해 한국에 갔거나 외지에 있는 본 촌 촌민들이 외지에서 안심하고 돈벌이를 할수 있도록 든든한 뒤심이 되고있다. 진교촌지도부에서는 토지를 년년이 시세에 맞추어 즉시적으로 임대단가를 상향조정, 본 촌 촌민들의 리익을 도모하고있다. 뿐더러 장기적으로 외지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저금통장을 만들어주고 리자까지…(2009-10-07 09:14:06)
[열람중]《조선족의 새 터전 새 삶 찾아 》순방일지 인기글 25일 온 하루 취재하고 새벽까지 기사를 쓰다나니 아침 늦게 눈을 떴다. 아침 8시가 되니 강만덕사장으로부터 문안전화가 걸려오고 오늘 일정에 대한 안내가 있었다. 오전에 허지환총경리를 취재하고 오후에는 연태의 조선족녀성기업인들을 소개할거란다. 호텔에서 아침을 먹고 강사장이 보내준 차에 앉아 연태시해양과기청사10층에 자리잡고 있는 연태강산유압기계유한회사에 이르렀다. 서글서글한 조선족중년사나이가 반가이 맞아주었는데 그가 바로 이 회사의 총경리로 있는 허지환씨였다. 토요일 오전까지 일을 보지…(2009-09-28 09:38:05)
조선족 동포는 중화인민공화국 공민이다 인기글 조선족 동포는 중화인민공화국 공민이자, 한국인과 같은 민족일 뿐만 아니라 북한 주민, 러시아의 고려인, 한국계 미국인, 재일교포와도 한 민족이다. 다시 말해, 조선족 동포는 국적으로 분류하면 중국인이고 민족으로 분류하면 우리와 같은 민족이다. 1948년 대한민국이 건국되고 1949년 중화인민국공화국이 건국된 후 중국 현지 조선족 동포는 60년을 중화인민공화국의 공민으로 생활해 왔다. 그런데, 한중 수교 이후 한국인은 조선족 동포와 생활적, 사업적으로 교류하면서부터 조선족 동포가 중국인…(2009-08-10 09:03:47)
한국과 중국조선족의 언어, 문자사용에서의 차이 인기글 밥솥’과 ‘밥가마’,‘누룽지’와 ‘가마캄 밥을 짓거나 국 따위를 끓이는 그릇을 한국에서는 ‘솥’혹은 ‘밥솥’이라 하고 중국의 조선족들은 ‘가마’ 혹은 ‘밥가마’라고 한다. 같은 뜻으로 되는‘가마’와‘솥’이란 단어는 우리말의 고유어로서 한국이나 중국의 조선족들에게 다 있는 말이지만 습관상에서 그 단어의 사용이 다르다. 가마(솥) 바닥에 눌어붙은 밥을 한국에서는 ‘누룽지’라 하고 중국의 조선 족들은 가마 바닥에 붙었다고 하여 보편적으로‘가마캄라하고 ‘누룽지’ 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 …(2009-08-04 09:34:23)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