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주덕해-중국조선족 제반사업의 기틀을 마련한 사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 :09-11-24 10:01|

본문

 중국조선족 제반 사업의 기틀을 마련한 사람
원 연변조선족자치주 주장 고 주덕해선생 회고
 
■ 호요방: 주덕해동지의 서거소식을 들은 모택동주석과 주은래총리는 《그는 훌륭한 동지였다》고 높이 평가하였습니다.
■ 1952년 9월 3일  연변조선족자치구 인민정부(연변조선족자치주의 전신)가 성립,  주덕해가 정부 주석으로 당선.
■  그는 연길 모아산 숲, 연변의 사과배, 벼농사, 연변황소, 연변 축구, 연변대학 , 연변가무단, 신문출판방송---오늘날 연변조선족의 모든 삶의 씨앗을 뿌린 사람으로 불리운다.
 
고 주덕해(朱德海) 프로필:
1911년 3월에 출생, 본명은 오기섭
1929년에 혁명에 참가, 1931년에 입당,  동북항일련군 제4군 제3퇀 부방류수처 당지부서기 력임
1936년 모스크바 동방로동대학  수학,  귀국후 팔로군 359려 퇀공급처 지도원, 연안조선혁명군정대학  총무처 처장, 동북민주련군 조선의용군 제3지대 정위, 동북행정위원회 민정부 처장 력임
1949년 3월 중공연변지위서기,4월 연변대학 교장,5월 연변공서 전원을 겸임
1952년 9월 연변조선민족자치구 주석에 취임
1954년 9월에 중공길림성위 상무위원,  성정부 부성장 력임
1955년에 중공연변주위 제1서기 겸 연변조선족자치주 주장으로 임명
1956년 9월 중국공산당 제8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중공중앙 후보위원으로 당선
1967년 4월 문화대혁명시기 참혹한 정치박해로 연변을 떠났고 1972년 7월 3일 무한에서 억울함을 품은채로 원통하게 서거
 
호요방총서기가 특별지시한 기념비
1984년 5월이였다. 조선에 대한 국사방문을 마치고 렬차편으로 귀국길에 오른 당시 중공중앙 호요방(胡耀邦) 총서기는 연변에 들렸다. 그는 길림성과 연변의 주요지도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특별히 주덕해(1911-1972)동지의 기념비를 세울데 대한 지시를 내렸다.
 
《주덕해동지의 서거소식을 들은 모택동주석과 주은래총리는 〈그는 훌륭한 동지였다〉고 높이 평가하였습니다. 평평한 언덕 좋은 곳을 선택하여 기념비를 세우도록 하십시오. 잔디밭도 만들고 꽃도 심고 풀도 심고 나무도 심어 유원지처럼 아름답게 가꾸도록 하시오. 사람들이 늘 와서 놀면서 주덕해동지의 업적을 기리도록 말입니다.》
 
그리고 호요방동지는 손수 《주덕해동지기념비(朱德海同志記念碑)》라고 제사를 써주었다.
 
그로부터 2년이 지난 1986년 6월 기념비는 준공되였고 주덕해동지 서거 14돐이 되는 날(1986년 7월 3일) 제막식이 열렸다. 국가, 성, 연변 정계와 학계, 로동계, 학교의 대표 3000여명이 참가하였다.
 
기념비는 연길시 공원 서산마루에 터를 잡았다. 사철푸른 소나무 숲속에 높이 20메터의 웅장한 회백색 화강암건축물이 숙연히 솟았는데 정면으로 연길시체육장 건너편 산우에 세워진 혁명렬사기념비하고 마주 바라본다. 비명은 호요방동지의 글을 새긴것이고 비갓은 당기와 송백, 진달래꽃잎으로 조각되였다. 당기는 생전에 주덕해동지가 공산주의자였음을 의미하고 송백은 그의 업적이 만고에 빛남을, 진달래꽃은 연변 2백만 여러 민족 인민들의 숭경의 뜻을 상징하고 있다.
 
그때로부터 22년이 지난 2008년에 주덕해기념비뒤에 주덕해동지와 그의 부인 김영숙동지의 묘소가 마련되였다.
 
조선의용군 제3지대장
광복이 나자 모택동과 주덕총사령의 명령에 의해 태항산을 떠난 무정이 령도하는 조선의용군은 심양에 이르렀다.
 
1945년 11월 7일, 심양 서탑의 학교운동장에서 조선의용군 전체 군인대회가 열렸다. 무정이 중요한 연설을 했다. 조선의용군을 세개의 지대(支뚠)로 편성하여 동북에서 부대를 확건하였다. 바로 이날 대회에서 주덕해는 조선의용군 제3지대장으로 임명되였다.
 
주덕해의 원명은 오기섭(基燮), 로씨야 연해주 우쓰리스크 부근 산촌에서 태여났다. 원적(原籍)은 함경북도 회령군 팔을면 복색동이였다. 8살되던 해 아버지를 비적들한테 잃고 홀어머니 슬하에서 자란 그는 1929년 화룡현 수동촌(현재 룡정시 지신향 승지촌)에서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수동촌은 룡정에서 윤동주의 고향인 명동촌으로 가는 중간에 위치해 있으므로 독립운동가들이 늘 출몰하던 고장이기도 했다. 그후 민족독립운동이 공산당의 항일혁명운동으로 변화되면서 그는 독립운동가로부터 공산주의자로 전변하게 된다. 1931년에 중국공산당에 입당하고 1937년 쏘련 동방로동대학에 가서 2년을 학습하고 연안으로 돌아왔고 1943년에는 연안조선혁명군정대학 총무처 처장으로 되였다.
 
조선의용군 제3지대는 할빈을 중심으로 한 북만(北滿: 오늘날 흑룡강성 내)에 거주하는 20만명 조선인들의 생명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임무를 맡고있었다.
광복 직후 원 괴뢰만주국 군대는 일본의 패망과 함께 산산이 흩어져서 비적으로 변질하였다. 그들의 주요한 략탈대상은 일본인과 조선인이였다.
 
준엄한 시기에 조선의용군의 역할은 중요했다. 1945년 11월 18일에 20여명의 간부들을 거느리고 심양을 떠나 할빈에 도착한 주덕해는 북만 각지에 조선독립동맹을 건립하고 무장부대를 조직하여 마을을 지켰다. 오래지 않아 제3지대는 3천명의 병력을 가진 부대로 발전하였다. 1948년 3월 이 부대는 동북인민해방군 독립 11사로 재편성되였다.
 
우리 민족 교육문화 기석 마련한 민족사무처장
부대가 장춘쪽으로 떠난 후 주덕해는 부대를 떠나 동북국 민정부 민족사무처장으로 임명되였다.
 
《문화가 없는 민족은 우매한 민족이다. 민족문화를 발전시키는 관건은 교육에 있다.》
 
주덕해는 교육으로 민족부흥을 일으킬것을 호소하고 각 지에 학교부터 세웠다. 1946년부터 1947년 상반년까지 북만 조선인들은 토지를 분여받고 마을마다에 학교가 섰다. 조선인들이 집중된 고장에서는 중학교까지 꾸렸다.
 
《우리 민족은 자신의 언어문자를 가지고있고 우수한 문화예술전통을 가지고있다. 일제치하 36년동안 황민화정책의 압제를 받아 문자는 취소당했고 문화예술은 처참하게 유린을 당했다. 우리의 신문을 발간하고 우리의 문공단(文工團: 문예공연단체)을 조직하여 문화유산을 발전시켜야 한다.》
 
주덕해는 교육다음으로 문화건설에 정력을 몰부었다. 그는 《민주일보》를 발간하고 문공단을 조직하여 선전공연을 하였다.
 
1952년 8월 30일, 주덕해가 《길림성 연변조선민족자치구인민정부 시정건의》(수정고)를 보고하고있다.
 
연변조선족자치구 인민정부 주석
 
1949년 2월 그가 연변에 와서 손을 댄 첫 사업이 동북조선민족인민대학을 건립하는것이였다. 그보다 먼저 1948년 12월 길림성민족사업회의에 참가하였을 때 주덕해는 대학을 건의했고 연변에서는 임춘추, 문정일, 로기순, 로승균과 같은 사람들로 주비위원회를 결성하고 일에 착수했던것이다. 드디여 1949년 4월 1일에 대학이 첫 문을 열었다. 바로 오늘 날 연변대학의 전신이다.
 
주덕해가 연변으로 온 후 가장 심혈을 기울인 사업은 재중국 조선인(중국조선족의 전신)의 국적문제였다. 주덕해도 비록 중국 공산당원이지만 조선인 혁명가의 신분으로 연안에서 활동하였으며 조선의용군 역시 외국인 부대였다.
 
공산당이 점령한 동북 농촌에서 토지개혁을 하면서 조선인에 대한 국적문제는 돌출해졌다. 외국인은 토지소유권을 가질수 없다.
주덕해는 제3지대에 있을 때 재중국 조선인은 중국공민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리유는 간단하다. 재중국 조선인은 조선반도에서 이주해 와 이 땅을 개척하고 이 땅을 지켜 싸웠고 이 땅을 건설하고있다. 동북의 벼농사는 조선인이 개척했고 항일과 해방 전쟁의 승리에는 조선인의 피의 대가가 크다.
 
정부는 조선인을 중국공민과 똑같이 대우하여 토지를 분여하여 주었다. 연수현에서만 해도 1956세대의 조선인 가정이 있는데 그들은 7570헥타르의 토지를 분여받고 당지의 인민정부로부터 토지문서를 발급받았다.
 
주덕해는 혈연적으로 보면 당시 조선반도는 조선인의 모국이지만 정치적으로 보면 중국은 조선인의 조국이라고 했다. 이러한 관점에 기초하여 그는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인을 조선족이라고 호칭을 바꾸어야 하며 중화인민공화국의 기타 소수민족과 동등한 권리를 향수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52년 9월 3일 드디여 연변조선족자치구인민정부가 성립되었다. 주덕해가 정부 주석으로 당선되였다. 이것이 오늘 날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전신이다.
 
연변조선족자치구 정부 주석과 부주석들인 주덕해(가운데), 동옥곤, 최채의 합영.
 
연변조선족자치주 전신인 연변조선민족자치구 제1기 인대대표들이 투표를 하고있다. 대표 총 수는 300명,  그중 조선족이 209명으로 대표 총 수의 69.7%를  점했다.
억울한 루명으로 정배살이와 암증에 시달려
유언: 《나는 길림에 돌아가고싶습니다》
 
1066년 12월 동북의 《태상황》으로 불린  모원신이 한무리 학생들을 데리고 연변에 왔다. 오자바람으로 주덕해를 첫 투쟁대상으로 잡았다. 주덕해에게 씌워진 루명은 매국적, 독립왕국, 지방민족주의, 자본주의 길로 나아가는 집권파 등등이였다.
 
매국적이라는 근거로 두만강 연안 량국간의 자유로운 왕래의 통로를 만들었다는것이였다. 연변의 조선족은 거의 모두가 두만강을 건너온 함경도 사람들이다. 그러므로 두만강을 사이 두고 혈육들이 갈라 산다. 그들 혈육간이 자유롭게 오갈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덕해는 1955년 동북공안부에 제의하여 당지 공안파출소에서 변경통행증을 발급할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 이듬해 조선내무성과 협의하여 다섯개 두만강 통상구를 만들었고 나중에 16개로 증가하기도 했다. 그리하여 조선족들은 당날로 통행증을 받아서 조선으로 다녀올수 있게 되였다. 아침에 조선에 건너갔다가 가서 장을 보고 돌아오기도 하고 랭면을 먹으러 조선으로 다녀오기도 하고 영화구경도 갔다 왔다. 문화대혁명 시기 한때는 통상구가 완전봉쇄되였다가 지금은 조선족들은 변경통행증을 사용하여 국경을 넘나드는데 지장이 전혀 없다.
 
독립왕국이라는 근거는 《주덕해가 연변조선족자치구를 길림성과 대등한 지위로 올려서 독립하려고 했다》는 루명이다.  반우파투쟁이 일어나고 주덕해가 좌적사조로 당내로부터 지방민족주의분자로 억울하게 락인찍히게 되였다.
 
자본주의 길로 나아가는 집권파라는것은 주덕해가 길림성 부성장 겸 연변주장이였으므로 당연지사라고 하겠다. 당시 간부직에 있던 사람은 누구라 없이 집권파모자를 쓰고 투쟁을 맞았던것이다.
 
주덕해가 투쟁을 당한다는 소식을 듣고 주은래총리가 수차 《주덕해는 훌륭한 동지이므로 보호해야 한다》고  지시했고 마명학을  연변에 파견하여 보호하도록 했다. 연변에서 갖은 수모와 투쟁을 당한 주덕해는 호북성 강한평원에 있는 53농장으로 정배를 갔다. 기계수리공장에서 수리공으로 일했다. 식량도 매달 12킬로그람의 남방 입쌀이 고작이였고 고기 한점, 콩 기름 한방울도 공급해주지 않았다. 결국 그는 암에 거렸고 치료를 거부했다.
 
《나는 길림에 돌아가겠습니다.》
 
주덕해는 이 한마디를 유언으로 남기고 한많은 세상을 떠났다.
 
연길에 세워진 주덕해기념비.
 
송임궁 : 《우리들은 그이를 따라배울것이다》
 
원 길림성 성장 송임궁동지는  《주덕해일생》의  서문에서 이렇게 말했다.
 
《주덕해동지는 중국인민의 해방사업을 위하여 길림성 특히는 연변조선족자치주의 건설과 발전을 위해 많은 사업을 하였으며 중대한 기여를 하였다. ―우리들은 영원토록 그이를 기념하며 그이를 따라 배울것이다.》
 
주덕해는 연변의 초대주장으로서 연변자치주를 성립하고 제반사업을 궤도에 올려놓는데 기반을 다진 가장 큰 공로자의 한사람으로서 오늘날의 조선족의 정치,경제,문화,교육,스포츠 등 제반사업의 기틀을 마련한 지대한 공로를 세웠다.주덕해의 명예는 《4인방》이 분쇄된 후 중공중앙에 의해 다시 회복됐고 중공중앙은 그의 력사공적을 충분히 긍정했다. 주덕해의 유골은 줄곧 장춘혁명렬사릉원에 안치돼 있다가 가족의 뜻에 따라 2008년 4월 길림성정부의 비준을 거쳐 연변주 당위와 정부의 노력으로 그가 오매에도 그리던 연변땅으로 봉환되였다.
 
우리는 연변의 산천초목, 연변의 도시와 시골 구석구석에서 주덕해의 체취를 느낀다. 그는 연길 모아산숲, 연변의 사과배, 벼농사, 연변의 황소, 연변축구, 연변교육, 연변가무단, 신문출판방송―오늘날 연변 조선족의 모든 삶의 씨앗을 뿌린 사람이다.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10-11-27 10:46:45 한민족센터에서 이동 됨]
0

글로벌한민족 목록

글로벌한민족 목록
연변 및 조선족과의 소중한 인연 인기글 연변 조선족사회는 지금 한국발 열병으로 신음하고 있다. 한국에 가고 싶은데 마음대로 가지 못하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한국을 그리워하는 만큼 쉽게 갈 수 없는데 대한 원망이 크기 때문이다. 역으로 한국에 간 것이 원망의 이유가 되기도 한다. 한국방문이 가져온 부작용에서 비롯됐다. 조선족동포들에게 한국은 약이기도 하고 병이기도 한 것이다. 문제는 한국을 동경의 대상으로 생각하고 또 한국으로부터 경제적 이익을 취하고 있는 경우에도 막연히 한국과 한국사회에 대해 불만을 토로하는 사람들이…(2010-03-05 10:26:03)
민족문화의 원형 복원; 조선족 끌어안기 인기글 한민족 민족문제의 이중성 한민족에게 있어서 민족문제는 이중적이다. 포용하여 극복해야 할 과제인 동시에 고양하여 해결해야 할 숙원이기 때문이다. 한민족은 21세기 소통의 시대를 맞아 오랜 세월 머리위에 얹어왔던 ‘단일민족국가’라는 왕관을 내려놓고 여타민족과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는 다민족사회를 적극 수용해야 한다. 반면 20세기에 겪었던 질곡의 역사를 온전히 치유하기 위해 세계 각국에 흩어져 살아가고 있는 재외동포들을 한데 묶어 ‘한민족공동체’를 구현하여야 한다. 우리민족은 반만년…(2010-03-05 10:24:58)
[열람중]주덕해-중국조선족 제반사업의 기틀을 마련한 사람 인기글 중국조선족 제반 사업의 기틀을 마련한 사람 원 연변조선족자치주 주장 고 주덕해선생 회고 ■ 호요방: 주덕해동지의 서거소식을 들은 모택동주석과 주은래총리는 《그는 훌륭한 동지였다》고 높이 평가하였습니다. ■ 1952년 9월 3일 연변조선족자치구 인민정부(연변조선족자치주의 전신)가 성립, 주덕해가 정부 주석으로 당선. ■ 그는 연길 모아산 숲, 연변의 사과배, 벼농사, 연변황소, 연변 축구, 연변대학 , 연변가무단, 신문출판방송---오늘날 연변조선족의 모든 삶의 씨앗을 뿌린 사람…(2009-11-24 10:01:51)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언어, 문자사용에서의 차이(15) 인기글 ‘통째’와 ‘통채’ 나누거나 덜거나 헤치지 않은 본래 그대로의 전체를 한국에서는 ‘통째로’라 하고 중국의 조선족들은 ‘통채로’라고 한다. 한국 국어사전에는 ‘통채’를 “1 통째의 잘못. 2 통째의 북한어”라고 하였다. ‘통째’와 ‘통채’는 모두 순수한 우리말의 고유어 단어이지만 한국과 중국의 조선족들 사이에는 발음과 문자표기가 다르다. ‘담력’과 ‘담량’ 겁이 없고 대담하고 용감한 기운이나 기백을 나타내는 것을 한국에서는 쓸개 ‘담[膽]’자에 힘 ‘력[力]’자를 써서 ‘담력[膽力]…(2009-11-23 09:37:26)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언어, 문자사용에서의 차이(14) 인기글 ‘신장개업(新裝開業)’과 ‘새로 개업’ 새로 단장해서 영업을 시작하는 것을 한국에서는 새 ‘신(新)’에 차릴 ‘장(裝)’자를 써서 ‘신장개업’이라고 하는데 중국의 조선족들은 ‘새로개업’이라고 말하지만‘신장개업’이란 말은 하지 않는다. 한국에서 일부 영업집 문에 ‘신장개업’이라고 써놓은 것을 볼수 있는데 중국의 조선족들은 그 옆에 한자를 써놓지 않으면 ‘신장개업’이란 무슨 뜻인지 모른다. ‘잔업’과 ‘연장작업’ 정해진 로동 시간이 끝난 뒤에 하는 로동을 한국에서는 남을 ‘잔(殘)’자…(2009-11-23 09:35:49)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언어, 문자사용에서의 차이(13) 인기글 ‘편도’와 ‘한쪽 길’ 갔다가 돌아오는 것을 한국과 중국의 조선족들은 모두 ‘왕복’이라고 하고 가고 오는 길 가운데 어느 한쪽 또는 그 길을 한국에서는 ‘편도(片道)’라는 한자어 단어를 쓰지만 중국의 조선족들은 순수한 우리말로 ‘한쪽 길’이라고 한다. ‘편도(片道)’는 한자어단어이지만 현대한어에는 ‘片道’란 단어가 없다. ‘편도’라는 단어는 한국어사전이나 조선말대사전에 모두 있는 단어이지만 중국의 조선족들에게는 너무나도 생소한 단어이다. ‘추돌’과 ‘뒤에서 들이받다’ 자동차나 기차…(2009-11-19 10:14:46)
광동성: 조선족기업 2000여개 조선족 8만여명 인기글 광동성조선민족련합회 리철호회장 만나본다 리철호 프로필: 1958년 흑룡강성 목릉현 출생1977―1981년 흑룡강성 목단강사범대학 물리학부 졸업1981―1987년 흑룡강성 목단강조선족중학교 물리교원1988―1997년 광동성 심수 마루신(丸新)가방회사 일본어 통역1997년 광동성 심수북양제품회사 창립,…(2009-11-19 09:39:10)
류장춘 "연변 FC는 중국 조선족의 가장 큰 자랑" 인기글 유장춘 "옌볜 FC는 중국 조선족의 가장 큰 자랑" 중국은 한(漢)족을 비롯해 총 56개의 민족이 함께 사는 다민족 국가다. 이중 한족을 제외한 나머지 55개 민족은 소수민족이라 불리며 보통 중국의 외곽 지역에 살고 있다. 55개 소수 민족 중에는 조선족으로 불리는 한국계 중국인, 중국동포도 있다. 이들은 중국의 동북 3성인 랴오닝성(遼寧省), 지린성(吉林省), 헤이룽장성(黑龍江省)에 거주하고 있으며 200여만 명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 중 지린성에 가장 많은 이들이…(2009-11-17 09:33:24)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언어, 문자사용에서의 차이(12) 인기글 ‘날인’과 ‘도장을 찍다.’ ‘날인’은 누를 ‘날(捺)’자에 도장 ‘인(印)자의 한자 ‘捺印’의 한자어 단어로서 도장을 찍다의 뜻으로 되는데 한국에서는 ‘도장을 찍다’를 ‘날인’이란 한자어 단어를 쓰지만 중국의 조선족들에게는 ‘날인’이란 너무 생소한 단어이며 이에 해당하는 합성명사가 없이 우리말 그대로 ‘도장을 찍다’로 말한다. ‘날인’은 ‘捺印’의 한자어 단어이지만 한어에는 ‘捺印’이란 단어가 없다. ‘ 방치’와 ‘내버려두다’ ‘방캄는 놓을 ‘방(放)자에 둘 ‘치(置)’자의 한자 …(2009-11-16 09:46:46)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언어, 문자사용에서의 차이(11) 인기글 ‘자재’와 ‘재료’ ‘자재’나 ‘재료’는 모두 무엇을 만드는데 쓰이는 원료이다. 중국의 조선족들은 ‘자재’나 ‘재료’를 언론매체나 출판물에서는 구별이 없이 쓰지만 구두어에서는 한어의 영향을 받아 보통 ‘재료’라고 많이 말하고 ‘자재’라고 말하는 사람은 극히 적다. 한어에는 재료(材料)란 단어는 있지만 자재(資材)란 단어는 없다. 한국 사람들은 가구, 건축 등 부분에 쓰이는 원료들을 ‘자재’라 하고 음식, 복장 등을 만드는데 쓰이는 원료를 ‘재료’라고 말한다. 그러나 한국 국어사전에는 ‘자…(2009-11-16 09:45:13)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언어, 문자사용에서의 차이(10) 인기글 ‘문어’와 ‘서면어’,‘구어’와 ‘구두어’ 일상적인 대화에서 쓰는 말이 아닌 문장에서만 쓰는 말을 한국에서는 문어(文語)라 하고 중국의 조선족들은 ‘서면어(書面語)’라고 하는데 한국어사전에도 ‘서면어’ 란 단어가 없다. 문장에서만 쓰는 특별한 말이 아닌, 일상적인 대화에서 쓰는 말을 한국에 서는 ‘구어(口語)’라 하고 중국의 조선족들은 ‘구두어(口頭語)’라고 한다. 한국어 사전에도 ‘구두어’란 단가 없다. ‘갈림목’과 ‘갈림길목’ 길이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곳을 한국에서는 ‘갈림목…(2009-11-13 09:39:48)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언어, 문자사용에서의 차이 (7) 인기글 ‘서민’ 과 ‘백성’ 한국에서는 일반 평민을 ‘서민’이라고 한다. 한국 국어사전의 해석을 보면 ‘서민’을 아무런 벼슬이 없는 평민이라고 하였고 ‘백성’을 일반 국민의 예스 러운(옛것 같은 느낌)말이라고 하였다. 이것을 보면 예전에는 서민을 백성들 이라고 하였다. 중국의 조선족들은 일반 평민을 ‘백성’이라고 하는데 지금은 한국과의 거래를 통하여 ‘서민’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도우미’와 ‘행사안내원’ 행사안내를 하거나 행사내용을 설명하는 등의 봉사활동을 하는 요원을 한국에서는 ‘…(2009-11-13 09:37:51)
중국 유일의 조선족자치현…관광강현 만든다 인기글 장백조선족자치현 정형일현장을 만나본다 정형일 프로필: 1966년10월 장백현에서 출생길림공학원 화공공정학부 졸업길림대학 철학사회학원 연구생 졸업싱가포르남양리공대학 관리경제학 박사학위 획득선후로 장백현규소토공업회사 부공장장, 공청단현위 부서기, 십일도구향 향장, 공청단 현위서기로 사업2001년6월에 장…(2009-11-12 09:21:37)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언어, 문자사용에서의 차이 (6) 인기글 ‘연체료’와 ‘체남금’ 금전의 지급이나 납입 등을 기한이 지나도록 지체하여 기간에 따라 지급하는 추가료금을 한국에서는 ‘연체료’(延滯料)라고 하지만 중국의 조선족들은 한어의 영향을 받아 ‘체납금’(滯納金)이라고 한다. 한어에서 ‘滯納金’은 한국 에서 말하는 ‘연체료’의 뜻으로 쓰인다. 한국 국어사전의 해석에는 체납금(滯納 金)을 한어에서의 체납금과 다른 뜻으로 기한까지 내지 못하고 밀린 돈이라 고 하였다. ‘컵’과 ‘고뿌’ 물, 차, 음료 등을 따라 마시는 잔을 한국에서는 영어발음…(2009-11-11 10:14:35)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언어, 문자사용에서의 차이 (5) 인기글 필자註: 원래는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언어, 문자사용에서의 차이”를 네 번에 나누어 두음법칙, 인명, 지명, 거리간판, 한자어와 고유어, 고유 어와 고유어, 고유어와 외래어 등 몇 개 부류로 나누어 대표적인 것을 몇가지씩 례를 들면서 차이점들을 말하여 네기로 끝을 맺으려고 하였는데 많은 독자 들의 요구에 의해 앞으로 계속하여 쓰려고 한다. 이번 기부터는 부류를 나누지 않고 일상 생활에서 쓰이는 언어, 문자 차이를 말하려 하는데 이미 끝을 맺으려 한 것을 계속 쓰므로 문장격식에 좀 맞지 않는 …(2009-11-11 10:12:34)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