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민족문화의 끈질긴 생명력을 보았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09-03-25 15:17|

본문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수부 연길시를 방문한적이 있다.  공항에서 내려 호텔까지 가는 도로변의 풍경이 이국같지가 않았다.모든 간판들이 한글과 한자 복수로 되여있었기때문이다. 그것도 한글 먼저, 한자가 뒤로 씌여있었는데 자치주조례에 따른것이라고 한다. 또한 조선족과 한족이 함께 사는 도시지만 대부분의 경우 우리말이 통해  불편함이 전혀 없었다.그리고 오래전부터 형님, 동생 하며 지내온 K씨가 연길에 오면 3대 명물 보신탕, 국수, 찰떡은 맛보아야 한다면서 보신탕집부터 안내하여 가보니 서울 어느 뒤골목 식당가에 온 기분이였다.  

이번 방문목적은 연길시가 주최한 산업박람회에 참관하기 위한것이였는데 박람회 자체보다는 박람회를 위한 부대행사가 훨씬 더 돋보였다.

박람회 전날, 한국과 미국에서 온 동포사업가들을 비롯한 현지사업가들이 함께 한 파티는 귀한 중국술과 한식으로 차려져있었고 연길시 조철학시장은 우리 말로 환영인사를 했다.  이국에서 우리 음식, 우리 말로 가진 행사에 참여하면서 가슴이 뭉클했다.

그런데 다음날 아침 박람회 개막식행사가 나를 더욱 흥분시켰다. 박람회장앞 대광장에서 벌어진 민속공연, 연길시문화회관이 창작, 편성했다는 우리 전통음악이 우렁차게 스피커를 통해 울려퍼지면서 화려한 한복을 입은 1000여명의 조선족어린이들이 벌린 아름다운 매스게임, 수백명 아주머니, 할머니들의 풍물놀이, 탈춤, 건장한 조선족청년들의 북놀이, 아름다운 조선족 젊은 녀인들이 벌린 장고춤…참으로 장관 또 장관이였다. 

나는 우리것을 부단히 지켜온 그들의 모습에서 민족문화의 끈질긴 생명력을 엿보았다.  그리고 미국에 살고있는 우리 동포들의 모습이 떠올랐다.  연변(연길)의 동포들이 수대(代)를 거쳐오면서도  우리것에 대한 애착심을 굳건하게 갖고있는 반면, 미국동포들은 어떤가?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애착심은 그렇다치고 아이들에게 우리 말이나 제대로 가르치고있는가?

물론 이런것을 두고 《부끄럽다》, 《창피하다》고까지는 말할수 없다. 하지만 겉은 한국인이면서도 미국인으로만 살아가는 우리 2세들을 떠올리며 측은한 생각이 갑자기 들었다. 언어가 곧 문화라면 언어를 잃은 사람들은 자기 정체성(ID)을 잃은 류랑민 신세처럼 어디에도 끼지 못하고 어정쩡하게 살아갈수밖에 없지 않을가 하는 생각이 들었기때문이다.

돌아오던 날 아침 연변일보편집국장을 지낸바 있는 조선족 S기자와 두어시간 얘기를 나누었다.동포들간의 련대 그리고 련대를 통한 인류사회의 문화와 복지에 대한 민족적 기여 그리고 그러한 기여는 같은 민족이라는 정체성(ID)에서부터 나온다는것… 나같은 사람에게는 격에 어울리지 않은 좀 거창한 주제들이 오고갔다.  하지만  할아버지가 중국에 이민와 이곳에서 태여났다는 S기자와 나는 같은 말로 대화하면서 그 자리에서 형제처럼 친숙해질수가 있었다.  그것은 말과 그속에 흐르는 문화가 우리 사이에 전류처럼 흘러 자연스럽게 일체감이란 스파크가 일어났기때문일것이다.  말과 문화 이 얼마나 놀라운 련대의 도구인가?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9-04-18 13:50:24 출국/비자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10-11-27 10:42:30 한민족센터에서 이동 됨]
0

글로벌한민족 목록

글로벌한민족 목록
위안부출신 마지막 증인 조선족 ...... 인기글 위안부출신 마지막 증인 조선족 리수단할머니의 인생을 적는다 리수단할머니. 마지막 증인 10월 19일 오후, 할빈시조선족예술관에는 특별한 손님 한분이 찾아왔다. 백발이 성성한 80대의 운신이 어려운 할머니 한분이 한복을 차려입은채 휄체어에 앉아 안중근 의사 기념관과 민속박물관을 관람했다. 해설원은 류창한 한어로 해설을 진행했다. 할머니는 고개를 끄덕이기도 하고 한어로 대답을 하기도 하였다. 분명 그의 한어말씨에 조선어 억양이 짙게 묻어나지만 할머니는 조선말을 전혀 모른단다.…(2009-03-31 09:50:18)
《밉상이던 조선족... 이제 위신 올라가기 시작》 인기글 ㅡ한국국제로동재단 취업강사 김일남씨 기자가 한국에서 재한 조선족현황을 잘 아는 조선족을 찾으니 많은 사람들이 《김일남선생》이라고 소개한다. 《재한 조선족? 밉상이죠.》 재한 조선족들의 권익을 위해 십여년 뛰여온 김일남씨 입에서 답답하고 안타까운 치부들이 줄줄이 나온다. 서울 대림동 지하철역을 나와서 바로 보이는 국제로동재단 취업교육 사무실을 찾아 김일남씨(55세)를 만나려고 들어서니 조선족 여럿이 찾아와 애로상담을 하고있었다. 어느 중학교 조선어문 교원같은 인상의 김일남씨, 취재중…(2009-03-31 09:41:42)
"한인사회속에 함께 뿌리 내리고파" 인기글 "대부분 재미조선족들은 한인들을 가깝게 생각하고있고 또 한인사회와 함께 가고싶어합니다." 미국 뉴욕조선족동포회 주광일회장은 "한인 이민사회가 성장한것처럼 조선족사회도 최근 급성장하고있다."며 "그동안 한인사회와의 긴밀한 협력관계가 없었다면 힘들었을것"이라고 말했다. 뉴욕의 조선족사회는 10년이라는 짧은 이민사를 갖고있지만 매우 빨리 발전해왔다. 이민 초기 한인업소에서 인력을 제공하면서 자본력을 모았고 지금은 많은 업소들을 직접, 또는 동업형식으로 운영하고있다. 현재 뉴욕일…(2009-03-31 09:34:14)
이방인도, 이방인이 아닌것도 아닌 그들 ‘조선족 이모’ 인기글 좌판 약장수로 시작해 산업현장과 가사노동을 책임지는 노동자, 중국어 교사에 이르기까지. 조선족 동포가 우리 사회에서 담당하는 역할이 점점 다양해지면서 비중도 커지고 있다.법무부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고용허가제가 실시된 2004년 8월부터 2007년 9월말까지 국내에서 직업을 갖고 활동중인 조선족 동포는 9만5691명이다. 베트남, 필리핀, 태국, 중국 등 외국인 노동자를 모두 합친 8만3821명보다 1만명 이상 많다. 특히 2004년과 2005년 사이에는 무려 2만4858명이 늘었다.조선족 동포…(2009-03-31 09:28:02)
조선족의 불량소비현상에 대한 검토 인기글 개혁개방이후 조선족사회의 경제발전이 빨랐고 그들의 생활수준은 전에 없이 제고되었다. 그러나 조선족의 비계획적인 소비경향은 조선족사회의 경제생활에 불리한 영향을 초래하였다. 조선족의 경제생활에서 계획성이 결핍하고 생산보다 소비가 앞선 경향이 심하였다. 개혁개방이전 논농사 위주인 조선족농민들의 생활은 밭농사 위주인 주위 한족(汉族)들보다 더 윤택하였으나 돈은 있는 대로 다 써버리는 경향이 있어 저축은 거의 못하였다. 이에 비해 한족들은 수입은 조선족보다 적었지만 저축만은 언제나…(2009-03-25 15:19:57)
'조선족'이라는 디딤돌 인기글 우리 가게에서는 중국의 다수 민족인 한족(汉族)이 소수 민족이다. 17명의 직원 가운데 한족은 단 2명이기 때문이다. 나머지 15명 가운데 1명은 몽고족, 14명은 조선족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의사소통은 한국어(조선어)로 이루어진다. 내가 딱히 의도했던 조직 구조는 아니지만 그렇게 되어버렸다. 주위에서는 "참 복 받았다"고 축하해주지만 복을 받은 건지는 계속 두고 볼 일이다. 여하튼 외국에서 사업하면서 내가 줄곧 사용해오던 언어로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은 '편한' 일이긴 하다…(2009-03-25 15:18:28)
[열람중]민족문화의 끈질긴 생명력을 보았다 인기글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수부 연길시를 방문한적이 있다. 공항에서 내려 호텔까지 가는 도로변의 풍경이 이국같지가 않았다.모든 간판들이 한글과 한자 복수로 되여있었기때문이다. 그것도 한글 먼저, 한자가 뒤로 씌여있었는데 자치주조례에 따른것이라고 한다. 또한 조선족과 한족이 함께 사는 도시지만 대부분의 경우 우리말이 통해 불편함이 전혀 없었다.그리고 오래전부터 형님, 동생 하며 지내온 K씨가 연길에 오면 3대 명물 보신탕, 국수, 찰떡은 맛보아야 한다면서 보신탕집부터 안내하여 가보니 서울 어느 뒤…(2009-03-25 15:17:23)
우리 동포끼리 서로 헐뜯지 맙시다. 인기글 재한조선족문제연구 제2부 재한조선족의 삶의 실태 “우리 동포끼리 서로 헐뜯지 맙시다.” 김정룡 예로부터 우리민족은 단합심이 부족한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를테면, 옛날 조정에서는 외적을 눈앞에 두고도 당파싸움에 빠져 있었고, 한반도는 남북으로 쪼개졌고, 남쪽에서는 “경상도 사람, 전라도 사람” 하면서 차별을 두고, 일본열도에서는 조총련과 민단이 대립해온 역사가 있다. 조선족사회는, 조선족이 집결된 연변사람들이 흑룡강성, 요녕성, 길…(2009-03-25 15:15:18)
사례로 본 한국인-조선족 국제결혼실태분석 인기글 재한조선족문제연구 제1부 사례로 본 한국인-조선족 국제결혼실태분석 -국적이 뭐길래? "중국동포들이 가출하면 어디로 가나요?" “따르릉, 따르릉,” “여보세요, 중국동포타운신문입니다.” “여보세요, 저는 한국 사람인데요, 한 가지 여쭈어 볼 일이 있어 전화 드렸습니다.” “네, 말씀하십시오.” “중국동포들이 가출하면 어디로 가나요?” 하느님 맙소서. 한국 땅이 아무리 작다고 한들 도망가면 어디에 가는지 내가 어떻게 알 수 있단 말인가! 그래서 일단 중국동포가 가출한…(2009-03-25 15:10:39)
동생과 혼인신고를 하고 형과 살다가 신세 망친 여자 인기글 일부 조선족여성들이 한국 땅을 밟으려고 국제결혼을 수단으로 삼고 있으며, 그 방법도 가지각색이여서 웃지도 울지도 못할 일들이 많이 벌어지고 있다. 이를테면 아버지와 딸, 오누이, 형부와 처제가 위장결혼을 하는 경우가 있으며 동생과 혼인신고를 하고 형과 사는 사례도 있다. 길림시에서 온 장모 여인(28세)은 3년 전에 한국에 왔는데, 당시 한국인 박모가 중국에 가서 그녀와 선을 보고 혼인약속을 했지만 신용불량자라 재산담보를 제출할 수가 없어 혼인신고를 못하고, 박모의 동생이 형을 대신해 장모…(2009-03-25 15:08:58)
재한 세 조선족아줌마의 창업취업 성공담 인기글 힘들수록 얻는것도 많아요 1. 한국생활 쉽지만 않다.2. 계획을 세워라. 3. 부지런하라.4. 전문가가 되라. 주방장인 박아줌마: 분명한 목표 갖고 부단히 자기개발해야박씨(길림성 구태시, 52세)아줌마는 한국에 간지 6년째이다. 남들은 일자리를 찾지 못해 울상이지만 박씨 아줌마한테는 《늘 일자리가 따라다닌다.》 한국행에 앞선 분명한 목표와 충분한 준비, 부단한 자기개발이 그 원인이다. 중국에 있을적 원래 식당업을 한 박씨는 료리에는 익숙, 한국에 간 후에도 여전히 식당업에 종사하…(2009-03-25 15:07:00)
"대한민국, 이런 게 싫더라~" 인기글 벌써 고국 대한민국 땅을 밟은 지도 어언 5년 세월이 훌쩍 넘어선다. 눈앞에 추석을 앞두고 있으니 올해도 거의 다 지나가는 느낌이다. 내 고향의 전통과 뿌리는 같으나 한 세기를 넘나들며 꽤나 큰 차이를 보이는 한국문화와 사회. 그동안 벌어졌던 그 간격이 빈번한 교류와 함께 점점 가까워진다는 게 그나마 위안이다. 그 동안 한국은 이렇게 변했다. 미국과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은 관계로, 일상용어에서는 요즘 한자어를 쓰면 왠지 좀 촌스럽다 하고, 콩글리쉬를 쓰면 뭔가 있어 보인단다. 회사에…(2009-03-25 15:05:51)
뿌리 없는 마음 인기글 연변에서 태여나고 자란 중국 조선족인 내가 이곳 한국에 류학을 와서부터 머리 아프게 고민했던것이 있다. 자다가도 벌떡 일어날만큼 밤과 낮 따로 없이 긴장에 얼굴 근육 한번 제대로 풀지 못한채 늘 뻣뻣하게 나를 만들었던 고민, 그건 고민이 아니라 차라리 고문이였다. 이 하늘아래 그렇게 마음이 혼란스러워본적이 이제껏 없었으며 이 세월동안 그렇게 풀이 죽어본적이 또한 없었다. 이 아름다운 한국에서, 이 예쁘장한 고국에서 나는 그 누구에게도 말못할 고민에 내 스스로 정신분렬증에 걸리지 않을가 얼마나 걱…(2009-03-25 15:03:52)
조선족 언어우세가 아닌 능력우세로 거듭나야 할 때 인기글 번역시장에서 조선족들이 경쟁대상에게 점점 밀리고있다. 조선족들은 단순한 언어번역보다도 다방면의 지식, 종합자질을 구비한 능력있는 통역으로 거듭나야 할 때다 갈수록 활발해지고있는 중한교류로 각종 국제회의, 경제무역, 문화, 교육, 관광 등 령역에서의 통역에 대한 수요는 줄곧 끊기질 않았으며 지금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 과정중 조선족들은 중국어와 한국어를 동시에 다룰수 있다는 우세로 번역시장에서는 받들리는 존재로 있었다. 하지만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학생들의 증가와 중국어를 장악한 한국인들…(2009-03-25 15:01:55)
조선족과 한국인사이 이혼절차에서 드러나는 문제점 인기글 요 몇 년 동안 조선족과 한국인 사이 국제결혼 건수가 급증함에 따라 이혼율도 급상승하고 있다. 전문가들의 예측에 의하면 조선족과 한국인 사이 국제결혼에 있어서 위장결혼 수가 60% 넘을 것으로 보고, 진짜 결혼으로 왔으나 가출하여 별거상태에 있는 자가 많아 잠재적 이혼이 굉장히 많을 것으로 짐작되어 실제 큰 말썽이 없이 살고 있는 비례가 20% 미만일 것이라 한다. 그렇다면 이미 이혼했거나 현재 이혼 중에 있거나 앞으로 잠재적으로 이혼할 수를 합치면 80%나 된다는 얘기가 된…(2009-03-25 14:59:30)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