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중국 조선족의 미래에 대한 사고---4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 :09-03-05 17:04|

본문

넷째,조선족 신문, 매체들의 역할을 강화해야한다.
조선족 신문, 매체들의 역할을 살려 조선족 관련 일들을 호소하고 홍보하고 민족정신을  고양하는 역할을 잘 하도록 해야 한다. 중국의 조선족은 통일된 종교가 없다. 동북3성의 조선족은 행정적으로 각성의 관할하에 있으며 다른 지역 조선족의 지배나 령도를 운운할수 없는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문, 매체 역시 지방소속이지만 신문, 매체의 특성으로 홍보나 고양 역할은 지방에 제한되지 않고 전체 조선족이 감지(感知) , 동감(同感)할수 있다.  ‘흑룡강신문’, ‘길림신문’ 등의 역할이 이를 잘 증명해주었다.
 
이외에도 민족전통문화문제 등을 이야기 할수 있지만 중요하고 돌출한 것만 골라서 서술하였다. 
 
5. 중국 조선족 미래에 대한 한국  정책의 적극적 뒷받침  
중국의 조선족은 사회전환기의 진통을 이겨내고 미래를 위해 계속 노력하여 살아 갈것이다. 조선족의 노력에 한국 재외동포정책이 유력하게 뒷받침 된다면 그 미래는 더욱 밝을것이다. 
 
첫째, 한국의 재외동포정책에서 중국 조선족을 차별대우를 하지 말아야 한다. 
실제로 조선족은 한민족의 재외 동포 중에서 제일 중요한 역할을 발휘한 력사는 부인할수 없다. 한민족의 독립운동과 반일투쟁의 주요지역은 중국, 특히 만주 등 지역이였다. 재중동포들의 지지가 없었더라면 이러한 운동과 투쟁이 활발히 진행되지 못했을것이다. 또 조선족은 200만 인구에 자기들의 자치지역을 가지고 있고 중국의 정치사회 생활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민족이다. 민주나라 한국과 사회주의의 조선을 련결시켜줄 역할을 할 부분이 오직 중국의 조선족뿐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중국 조선족은 한국, 한민족의 중요한 한 부분이고 역시 중요한 자산인것이다. 현시대 중국 조선족 발전과 한국의 발전은 밀접히 련결되여 있다. 그러므로 한국 재외동포정책에서 중국 조선족을 차별대우를 하지 말아야 한다. 잘 사는 지역 미국, 일본의 재외동포는 중시하고 못사는 지역 중국의 재외동포를 홀시하는것은 민주정신에 어긋난다. 
 
둘째, 중국 조선족에 대한 지원정책을 강화하기 바란다. 
지원정책은 직접지원과 간접지원으로 나눌수 있다.
직접지원은 중국 조선족 농촌경제에 대한 직접지원, 즉 농업 신기술, 새로운 농기구지원, 농업인원 연수 등을 들수 있고 중국 조선족 교육에 대한 직접지원은 교학설비, 도서, 교사훈련, 학생교류, 교사(校舍)건축과 보수 등을 들수 있다. 이러한 지원은 정부측에서나 민간단체 명의로 실행할수 있다. 간접지원으로는 한국기업의 조선족지역에 투자, 조선족 인원채용, 조선족지역 원자재 사용 등이고 또 방문취업 등 정책으로 조선족들이 한국에 가서 일하고 돈 벌고 기술과 관리경험을 배우는것이다. 
 
셋째, 조선족마을 살리기에 유리한 정책이 뒷받침되기 바란다. 
조선족마을은 중국조선족의 근본이다. 과거에 그러했고 지금도 그러하며 앞으로도 완전히 부정하지 못할것이다. 조선족 중심촌 건설에 많은 협조를 할수 있고 또 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위에서 이야기한 농업자원 항목 외에 중심촌건설의 설계, 중심촌 건설에 필요한 전자제품지원, 중심촌 학교건설과 교육에 대한 지원 등을 할수 있다. 중요하고 대표적인 지역의 중심촌을 선정하여 시험할수 있다. 방문취업 명액도 이러한 중심촌에 얼마간 지정하여줄수 있다. 조선족 중심촌 건설은 앞으로 조선족이 삶의 터를 고수하는 중요한 진지(陣地)가 될것이다. 
 
넷째, 조선족교육 살리기에 유리한 정책이 뒷받침되기 바란다. 
조선족교육이 이전의 휘황을 되찾으려면 반드시 시대에 적응되는 교육리념을 가져야 하고 교수 질을 제고할수 있는 교사대오를 양성해야 한다. 물론 동시에 교육시설, 자금도 필요한것이다. 한국정부에서 초등학교, 중학교 교장 등 학교관리인원 연수를 조직할수 있고 경비절약차원에서 중국 중학교, 초등학교 교원연수는 중국에서 조직할수 있다. 다만 한국의 민간단체나 중국의 관계부문과 학술단체를 통하여 실시하여야 할것이다. 교학실험시설, 컴퓨터 등 전자제품의 직접자원이 필요하다. 한국 민간단체나 기업인들을 동원하여 중국 조선족중학교,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주는것은 좋은 방법의 하나이다. 금액 수는 많지 않아도 되지만 학생들로 하여금 한민족으로 민족의 자부심, 자호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다섯째, 조선족의 신문, 매체 등을 지원하는 정책이 뒷받침되기 바란다. 
신문, 매체의 역할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것이니 상세히 쓰지 않겠다.
 
총적으로 중국 조선족의 미래발전에 한국재외동포정책의 뒷받침이 절실히 필요한것이다. 취지는 민족정신을 고수하고 조선족마을을 살리고 민족교육을 살리는데 두어야 하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이다.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10-11-27 10:39:38 한민족센터에서 이동 됨]
0

글로벌한민족 목록

글로벌한민족 목록
[열람중]중국 조선족의 미래에 대한 사고---4 인기글 넷째,조선족 신문, 매체들의 역할을 강화해야한다. 조선족 신문, 매체들의 역할을 살려 조선족 관련 일들을 호소하고 홍보하고 민족정신을 고양하는 역할을 잘 하도록 해야 한다. 중국의 조선족은 통일된 종교가 없다. 동북3성의 조선족은 행정적으로 각성의 관할하에 있으며 다른 지역 조선족의 지배나 령도를 운운할수 없는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문, 매체 역시 지방소속이지만 신문, 매체의 특성으로 홍보나 고양 역할은 지방에 제한되지 않고 전체 조선족이 감지(感知) , 동감(同感)할수 있다. ‘흑룡강…(2009-03-05 17:04:37)
중국 조선족의 미래에 대한 사고---3 인기글 중국 조선족의 미래에 대한 사고 ——— 김병호(중앙민족대학 민족학 교수) 첫째, 조선족마을을 기반으로 하고 도시의 새로운 조선족집거를 중점으로 하는 조선족거주지 건설을 다그쳐야 한다. 제일 긴박한것은 조선족 중심촌 건설을 다그쳐야 한다. 지리 위치가 좋고 교통이 편리하고 경제발전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조선족인구가 많은 촌을 중심촌으로 하여 인구류동이 많은 주변의 조선족 촌들을 합병하는것이다. 이는 조선족농촌의 경제발전에 유리하…(2009-03-05 17:02:08)
중국 조선족의 미래에 대한 사고---2 인기글 중국 조선족의 미래에 대한 사고 ——— 김병호(중앙민족대학 민족학 교수) 3. 중국 조선족 현실의 심층(深度)적 인식 조선족 사회 현실의 엄중성을 알아야 하는 동시에 총체적으로 조선족의 현실과 발전추세를 파악하여야 한다. 그래야만 책략적으로 현실 문제를 중시하여 해결하고 전략적으로 발전의 신심을 가질수 있고 광명한 전도(前途)를 보고 더욱 노력할수 있다. 첫째, 중국 조선족발전은 사회의 전환기에 있다. 조선족발전의 이 20~30년 기간은 계…(2009-03-05 16:59:57)
중국 조선족의 미래에 대한 사고----1 인기글 중국 조선족의 미래에 대한 사고 ——— 김병호(중앙민족대학 민족학 교수) ** 편집자의 말 ** 지난 한해 ‘여론광장’은 우리 민족의 관심사인 미래발전 전망에 관한 대책 제안을 위주로하는 ‘조선족 어디로 가나’라는 지상토론 프로젝트를 개설하여 우리 민족이 처한 현실상황을 점검하고 미래 방향을 제시하는 동시 미래발전 대책 등을 제안하는 면에서 커다란 성과를 거두었다. 많은 지성인들과 애족인사들이 이에 동참하여 좋은 주장과 견해를 발표했으며 건설적인…(2009-03-05 16:57:28)
조선족과 사고 지향성의 문제 인기글 조선족과 사고 지향성의 문제 일제강점기에 백의민족의 가장 큰 목표는 쉽게 정의될 수 있었다. 외세를 몰아내고 자주국가를 재건하는 것이었다. 이를 외부지향성 사고라고 할 수 있다. 공동체 내부에 대한 분석보다는, 공동체를 긍정하는 기반 위에서 그 공동체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요인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힘을 모으는 쪽이었다. 요약하면, 국가독립이라는 단어로 표현할 수 있다. 6.25가 터져 남북으로 갈라진 후에는 사고의 기본 방향이 공동체 내부를 향하게 되었다. 남쪽은 북을 겨냥하…(2009-03-05 16:51:51)
민족의 중심에 단군이 있다 인기글 민족의 중심에 단군이 있다 '우리는 단군의 자손' 이런 말이 옛날에도 가능했을까? 계급이 뚜렷했던 그 시대에 수평적 의미인 단군의 자손이 될 법한 얘기였을까? 민족은 모듬살이로 상징된다. 민족의 구성원은 계급적 불평등에도 무의식 속에선 언제나 혈연적으로 같은 줄기(同源性)임을 상상한다. 사해동포, 한겨레라는 어휘는 분명 차별 없는 형제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했던 것이 우리 역사다. 숱한 민란과 반항운동이 민족의 제 의미를 찾자는 운동이라는 것이 이런 까닭이다. 우…(2009-03-05 16:48:28)
중국인의 關系와 한국인의 關系 인기글 중국인의 關系와 한국인의 關系 중국에서 사업을 하려면 중국인과의 “关系”없이는 불가능하다고 한다. 어찌 생각하면 외국인이 남의 나라 땅에서 사업을 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고 어려운 일을 당할 때 현지인에게 도움이 필요한 것은 인지상정일 것이다. 도대체 중국인들에게 “关系 (꽌씨)"는 무엇을 의미할까? 그리고 우리가 생각하는 “关系 (꽌씨)"는 어떤 의미일까? 수교 초기 중국을 넘나드는 많은 사람들은 중국인들…(2009-03-05 16:45:48)
조선족, 한국에서 더 보람있게 살기 인기글 조선족, 한국에서 더 보람있게 살기 조선족 문제에 대한 지상토론이 뜨겁다. 가장 많이 등장하는 화두가 “어떻게 하면 더 잘 살 수 있는가?”와 “정체성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 화두보다 좀 더 심각한 질문이라면, “과연 조선족은 계속 존재해야만 하는가?”가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조선족은 계속 존재해야 한다. 그러자면, 중국에서 완전 동화되어 한족이 되지도 말아야 하고, 한국이나 조선과 완전 통합되는 쪽도 아닐 것이다. 즉, 조선족은 현재의 조선족 실체로 그냥 남는 것이…(2009-03-05 16:44:29)
朝鮮族과 韓國人의 상생관계 인기글 朝鮮族과 韓國人의 상생관계 1950년대 남북분단이후 냉전시기 40~50년간 朝鮮族과 韓國人은 중공(中共)과 남조선(南朝鮮)이란 적대국가에서, 중국 국민과 대한민국 국민으로 각기 다른 이념과 제도 하에서 색다른 삶을 살아왔다. 이렇게 남남으로 살아오던 한민족이 한겨레 · 동포로 민족동질감과 정체성(Identity)을 확인하면서 극적으로 해후상봉(邂逅相逢)을 하게 된 것은 1988년 서울올림픽과 1992년 韓·中 수교를 계기라고 볼 수 있다. 그 후 한국기업의 본격적인 중국진출과 조선족…(2009-03-05 16:41:43)
중국동포들이 고국·한국인에 대한 ‘이미지’ 인기글 중국동포들이 고국,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 중국국적을 가지고 있는 소수민족, 일명 중국동포라고 불리는 朝鮮族들에게는 한국이라는 고국과 조선(北韓)이라는 조국이 있다. 1992년 韓中 수교가 건립된 후 중국동포들은 고국인 한국에 대한 동경지심과 더불어 많은 이들이 여러 가지 도경을 통해 한국이 다녀왔으며, 현재 한국에 체류 중인 동포(조선족)수는 약 22만으로 집계되어 있고 <외국인노동자>중에서 가장 방대한 공동체로 자리매김을 해가고 있다. 한국인들이 재한(在韓) 중국동포…(2009-03-05 16:35:42)
조선족 귀국…재출국》 반복 - 귀국로무자 창업 큰 숙제 인기글 조선족귀국로무자들의 재정착과 창업문제가 의사일정에 오르고있다. 조선족은 각 면에서 매우 우수한 민족으로 평가받으면서 혁명전쟁과 사회주의건설에서 정치 경제 사회에서 높은 지위를 영위해왔다. 그러나 개혁개방이래 대외개방과 시장경제의 충격하에서 조선족의 지위와 현황은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으며 경제와 사회 지위가 현저하게 내려간 상황이다. 많은 조선족들은 자기의 이런 상황을 하루 빨리 개변하기 위하여 분분히 출국로무의 길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외국에서 땀흘려 번 돈이 귀국해서 얼마 안 되면 …(2009-03-05 16:32:46)
도시화 길…조선족은 어떻게 걸을가 인기글 대규모 도시진출의 물결, 공업민족으로 과도하는 조선족 중국 최대 코리아타운 심양시 서탑거리일각. 도시화는 우리 나라가 현대화로 나가는데서의 필연적인 선택이다. 우리 나라 도시화는 이미 쾌속발전의 단계에 들어섰다.우리 조선족은 국가의 현대화건설의 혜택을 입고 개혁개방에 발맞추며 도시화과정에서 자신의 운명을 개변하고있다. 우리 조선족은 한창 농경민족으로부터 공업민족으로 과도하고있으며 현대화민족의 행렬에 진입하고 있다.조선족신문들에서 나타난 자료에 따라도 20세기 80년대 후반기로부터 시작…(2009-03-05 16:23:28)
중한교류에서의 조선족의 역할과 기여 인기글 중한수교이래 량국은 정치, 경제, 문화 령역에서 신속한 발전을 가져왔다. 그중 중국조선족의 역할과 기여는 아주 중요하다고 지난 12일 할빈에서 개최된 《중한교류에서의 조선족의 역할과 기여》학술세미나에서 발언자들이 입을 모았다. 《한국기업이 진출한 곳에 조선족도 같이 진출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한국기업의 중국진출에 있어서 조선족은 대체할수 없는 역할과 기여를 해왔다. 한국류학을 마치고 금방 돌아온 중앙민족대학 만족박사생 리정씨는 《중한 2가지 언어를 통달하고 량국문화에 익숙하며…(2009-03-05 16:19:18)
한민족네트웨크공동체 인기글 21세기의 문턱을 들어서면서부터 우리민족에게는 그 어느 민족보다도 더욱 무거운 역사적인 과제가 차려졌는데 그것이 곧바로 우리민족에게 끝없는 고통을 안겨주고 있는 남북한의 분열을 매듭짓고 새로운 자세로 세계화의 조류와 합류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민족이 아직까지도 분열이라는 비극 속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인 한민족공동체의 형성을 논의하는 것이 시기상조가 아닌지 하는 의문도 있다, 하지만 약소민족으로서 세계화 조류속에서의 위치를 확보하고 나아가서 세계와 운명공동체를 형…(2009-03-05 16:16:50)
조선족을 보는 두 가지 시각 인기글 올해는 조선족근대교육이 시작 된지 100년이 되는 해이다. 중국에서 제1호 조선족학교는 100년 전인 1906년 용정에서 충청북도 출신 이상설 선생님에 의해 설립되었다. 최근 나는 조선족교육에 관한 글을 준비하면서 한국에서의 재외동포교육정책을 살펴 볼 기회를 갖게 되었다. 그런데 뜻밖에 한국에서의 재외동포교육정책에는 중국의 조선족교육에 대한 지원이 제외되어 있었다. 왜 재외동포교육정책에 조선족이 제외되었을까? 조선족은 재외동포가 아닌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에 앞서 조선족에 대한…(2009-03-03 17:01:09)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