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중국 조선족의 지역분포와 그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09-03-03 14:41|

본문

중국 조선족의 지역분포와 그 특징

조선족의 이주과정은 곧 조선족의 분포과정이다. 동북아지역의 조선족은 이주, 재이주, 분포, 재분포의 복잡한 과정을 거쳤다. 일본투항이후 미군이 일본과 한국을 점령하였다. 그때 미군점령군당국은 주로 재한국일본교민과 재일본한국교민 문제를 처리하였다.

 

통계에 따르면 전후 재한일본교민은 거의 귀국하였다. 그때 상당부분의 재일교포들은 조선반도로 되돌아갈것을 요구했었다. 1945년 10월부터 1947년 9월까지 이태사이에 미국은 조선남부로 재일교포 110여만인을 되돌려보냈다.

  그외 약 70~80만인은 그냥 일본에 남아 있었다. 이부분 사람들의 《법률지위》문제에 대하여 한국과 일본은 장기간 단판하여 왔으나 1965년 쌍방이 《관계정상화》를 실현해서야 해결은 받았다. 재일조선족들은 일본경내에 쫙 널려 있는데 주로 서해안지역과 혹가이도에 분포되여있다. 이를테면 돗또리, 오까야마, 야마구찌, 후꾸오가, 나가사끼, 가나자와, 후꾸이, 이시까와, 도야마, 니이가다, 아끼다 등지이다. 

구쏘련 인구통계에 따른면 전후 구쏘련의 조선족인구는 1959년에 31만 3,000여인; 1970년에 35만 7,000여인; 1979년에 38만 9,000여인이다. 구쏘련과학원 민족연구소의 쓰 이 쁘로끄의 저작《세계인구》에 따르면 1983년 재구쏘련 조선족인구는 40만인에 달한다.

 

1970년의 통계에 따르면 쏘련의 조선족이 로씨야에 10만 3,100여인, 까자흐스딴에 8만 5,000여인, 우즈베끼스딴에 14만 7,500여인, 끼르끼쯔끼스딴에 9,400여인, 따쥐끼스딴에 8,400여인, 뚜르메니끼스딴에 3,500여인이 있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창건된후 민족압박을 제거하고 민족평등을 실현하고 또 민족구역자치를 실시했기에 조선족은 중화민족의 일원으로 되여 사회주의 혁명과 건설에 적극 뛰여들었었다.1953년(제1차인구조사) 중국족선족의 인구는 112만 569인이고 1982년(제3차인구조사)에는 176만 5,204인이였다. 1982년은 1953년에 비해 57.5% 장성했다.


우리나라 조선족인구는 주로 동북3성과 내몰골자치구에 분포되여있다.

1982년 동북3성의 조선족인구는 도합 173만 3,970인(료녕성 19만 8,252인, 길림성 110만 4,074인, 흑룡강성 43만 1,644인)으로서 전국 조선족총수의 98.2%를 차지했다. 그중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조선족인구는 75만 4,567인으로서 전국조선족인구의 42.77%를 차지했다. 내몽골자치구의 조선족인구는 1만 7,580인, 기타 성, 구의 조선족인구는 1만 3,367인이다.

1990년 제4차 인구조사에 따르면 전국 조선족인구는 192만 597인으로서 전국 총인구의 0.169%를 차지, 그 절대치는 전국 56개 민족가운데서 17위를 차지했다. 제1차인구조사때부터 제4차인구조사때까지 37년간 조선족인구의 평균성장률은 1.5%로서 전국 평균장성속도인 1.8%보다 낮았다.

동북3성의 조선족인구는 186만 4,760인(그중 료녕 23만 378인, 길림 118만 1,964인, 흑룡강 45만 398인)으로서 전국조선족총인구의 97.09%를 차지했다. 내몽골자치구의 조선족인구는 2만 2,641인으로서 전국의

1. 178%를 차지하고 기타성,

구의 조선족인구는 2만 2,641인으로서 전국의 1.178%를 차지했다. 동북3성에 조선족이 1만인이상인 시, 지구(인구에 따라 배렬)로는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길림성 길림시, 흑룡강성 목단강시, 길림성 통화지구, 흑룡강성 송화강지구, 료녕성 심양시, 흑룡가성 가목사시, 료녕성 무순지구, 흑룡강성 계서시, 길림성 백산시, 료녕성 철령지구, 흑룡강성 이춘시, 료녕성 본계시 등 19개이다.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우리나라 조선족의 가장 큰 집거구이다.

 

1990년 전 주 조선족인구는 82만 1,479인으로서 전 주 인구의 39.5% 차지, 전국 조선족총인구의 42.77%이다. 전 주 8개 시, 현의 조선족인구분포(인구에 따라 배열)를 보면 룡정시 18만 3,994인, 연길시 17만 7,547인, 화룡시 13만 6,894인, 훈춘시 9만 2,100인, 왕청현 8만 5,049인, 도문시 6만 9,166인, 안도시 2만 4,745인이다. 다른 한 조선족자치지방인 장백조선족자치현의 1990년 조선족인구는 1만 4,508인으로서 전 현 총 인구의 16.7%를 차지한다.

이상 분석으로부터 볼수 있다싶이 동북아지역 조선족 인구분포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 특점이 있다.

1.인구가 상대적으로 집중되였다.

중국조선족은 98%이상의 인구가 동북3성과 내몽골자치구에 집중되여있고 구쏘련의 조선족은 99.5%의 인구가 로씨아와 중아세아 4개 나라에 분포되여있다. 재일조선인은 주로 서해안지역과 혹까이도에 분포되여있다.

조선족인구가 상대적으로 집중되여 있는것은 조선족의 벼농사를 짓는것과 밀접한 련관이 있다. 조선인들은 이주해들어 온후 논 관개와 개발에 유리한 대소하천류역과 평원지역을 찾아 자리를 잡았던것이다. 비교적 집중하여 거주했기에 조선족들은 민족 향심력과 응집력이 매우 강하다.

2.대부분이 변계에 거주하고 있다.

우리나라 조선족이 비교적 집중된 지구, 시, 현은 대다수가 중, 로, 조 3국변계에 위치했다. 이를테면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중, 로, 조 3국변계에, 길림성 장백조선족자치현, 집안현, 료녕성의 단동시는 중조변계에, 흑룡강성 목단강시, 가목사시, 계서시와 내몽골자치구, 만주리시는 중로변계에 위치해있다. 상술한 지역의 조선족인구는 동북조선족총인구의 62%좌우 차지한다.

조선족은 또 다수가 철도연선과 철도와 가까운 주위에 거주, 인구는 변계로부터 내지로 들어오면서 점차 줄어들었다. 구쏘련의 조선족은 당초 구쏘련의 극동지역에 분포되여있었는데 후에 우리나라와 린접한 지역과 중아시아지역에로 확장되였다. 그것은 10월혁명후와 제2차세계대전전야에 국제국내형세의 핍박에 못이겨 대량의 조선족들이 구쏘련의 내지로 재차 이전했기 때문이다.

중, 로, 조 3국 조선족들이 이웃하여 가까이 거주하고 교통이 편리한데다가 또 바다를 사이두고 일본과 마주하고있기에 변계 민간사이의 상호래왕은 100여년 력사를 갖고있다. 구역경제협력이 발전됨에 따라 각국 조선족지간의 련계는 더한층 발전하게 될 것이다.

3.특수한 인적관계가 있다.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조선족의 가장 큰 집거구인 연변조선족자치주에는 아직도 교포, 교포가족, 친족들이 5,000여인 있다. 조선족가운데는 조선, 구쏘련, 일본 등 나라인들과 친밀한 관계가 있는 사람들이 적지않다. 중, 로, 조 3국 교접점에 있는
훈춘시에는 조선과 혈연관계가 있는 사람이 1만 5,000여인, 일본과 혈연관계가 있는 사람이 1,000여인, 로씨야교포가 5,000여인 된다.

실천이 증명하다싶이 이런 특수한 인적 관계는 구역 경제협력발전을 추진하는 홀시할 수 없는 중요한 요소이다.

4.전문가 학자 사회명인과 갑부들이 적지 않다.

구쏘련의 조선족학자가운데는 학술계에서 명망이 높은 원사(院士)와 통신원사들이 있다. 이를테면 막씸 빠블로위치 김은 구쏘련문화를 전공한 력사학자로서 1979년 구쏘련과학원 원사칭호를 수여받았다. 끄오끼 빼뜨로위티 김은 력사학자이자 교수로서 1976년 통신원사 칭호를 받았다.


그는 구쏘련과학원 동방학연구소 소장대리이며 《구쏘련대백과전서》(1980년 로어판)에 수록되였다.

통계에 따르면 연변조선족 가운데서 각종 전문가인재가 도합 5만 3,528명 되는데 그중 고급직함을 갖고있는 분만도 2,281명 된다. 어떤분들은 과학연구면에서 조예가 매우 깊어 국내외의 공인을 받고 있다.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9-04-18 13:48:28 출국/비자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10-11-27 10:35:33 한민족센터에서 이동 됨]
0

글로벌한민족 목록

글로벌한민족 목록
중국조선족사회정체성문제에 대한 단상< 2> 인기글 2. 정체성보존 및 재확립의 사명감문제 민족의 정체성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경제가 선행해야 한다는것은 모든 유지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며 또한 지당한 지론이다. 그럼에도 정체성문제는 또한 우리 조선족사회에서 조선족 자신의 주체의식과 사명감이 기본적으로 선행돼야만 비로소 실현가능한것이기때문에, 설령 우리 시대가 더없이 가혹한 경제경쟁적 사회라 할지라도 여전히 민족사회 구성원들의 자각을 우선적으로 론하고싶은것이 솔직한 마음이다. 민족의 정체성보존 또는 재확립은 그것을 위해 노력하려는 우리…(2009-03-03 15:31:24)
중국조선족사회정체성문제에 대한 단상<1> 인기글 중국조선족사회정체성문제에 대한 단상&lt;1&gt; 최호 (료녕조선문보 사장 겸 주필) 1. 정체성문제 왜 론의되는가중국조선족의 정체성문제는 이미 지성인을 위수로 한 조선족사회 전반에서 깊이 론의되여온 정격화제이다. 조선족인구의 마이너스증장과 조선족농촌부락의 집단적 대류실, 민족언어교육환경의 변화… 시장경제가 낳은 이같은 절대적 충격속에서 중국 조선족은 전례없는 정체성의 위기에 깊이 갈앉고있다. 수년전부터 언론매체는 조선족사회의 대위기론을 쟁점의 중심에 놓았으며 정부와 민간…(2009-03-03 15:29:55)
조선족은 '놀자주의' 풍조 배격해야 인기글 조선족은 '놀자주의' 풍조 배격해야 8월4일, 연길시로무시장에서 일감을 기다리고있는 품팔이아줌마들. 그들은 궂은 일 마른 일 가 리지 않고 부지런히 일하고있다. 돈 벌어온 사람도 놀고 다시 출국할 자진귀국자도 놀고 한국가기를 기다리는 사람도 놀고...지어 출국할 수 없는 사람도 덩달아 논다 귀국후 일하는 사람을 보면 오히려 이상한 눈길로 본다. 한국에 가면 부지런하던 사람도 일단 중국에만 오면 일하지 않는다. 한국에 가서 돈만 벌어왔다 하면 많이 벌었건 적게 벌…(2009-03-03 15:28:19)
조선족의 한국觀과 한국인의 조선족觀 인기글 조선족의 한국觀과 한국인의 조선족觀 * 本文은 최근 인천(仁川)에서 열린 &lt;현대 조선족사회 이해를 통한 韓 · 中 교류 증진 세미나&gt;에서 중국 대련대학 유병호 교수가 발표한 문장중 한국 모 대학 교수의 관련문장에 대한 인용(引用)을 金范松님이 발췌하여 추천한 것입니다. ** 조선족이 바라본 한국 ** 1. 부자 집 친정이다. 가기만 하면 하면 얻어올 수 있는 유일한 부자 집 친정이다. 2. 정신적 기둥으로 민족적 자긍심을 가지게 하여주는 자랑스러…(2009-03-03 15:26:24)
중국조선족 민속은 서민적이다 인기글 중국조선족 민속은 서민적이다 민속은 지혜의 결정 민족정신의 체현 우리 민족이 백의 민족으로 노늘까지 존재할수 있는 까닭은 바로 우리에게 전통문화가 있기 때문이다. 전통문화는 한민족의 신분증과 같은 것이며 전통문화의 일종인 민속은 특히 그 민족 지혜의 결정이고 민족정신의 구체적인 체현이라 할수 있다. 7월 중국연변조선족민속문화관광박람회가 개최되면서 요즘만큼 우리에게 우리민속 역할의 절박성이 강조된 때는 없을 것이다. 하다면 우리 중국조선족 특히 연변조선족의 민속특징은 도대…(2009-03-03 15:23:06)
조선족 타운 만들어 뭉쳐야 산다 인기글 조선족 타운 만들어 뭉쳐야 산다 지금 조선족사회는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농촌사람들이 대거 도시로, 외국으로 진출하고 있고 동북의 조선족들이 산해관을 넘어 장강남북으로, 광주로 해남도로 밀려가고 있다. 한마디로 지난 백여년의 농경이민사가 현대산업진군사로 탈바꿈하고 있는 것이다. 대도시로 진군한 사람들은 나름대로 새로운 동포사회를 이루어가고 있다. 북경거리에서 우리는 다정한 우리 말을 쉽게 들을수 있다. 상해나 청도에서도 심심찮게 우리 동포들을 만날수 있다. 모래알처럼 흩…(2009-03-03 15:21:09)
현재 조선족 사회가 안고있는 문제점.. 인기글 당면 조선족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은… 지난 11월 중순, 장춘에서 있은 전국조선족과학기술자협회 제5차 이사회 및 제1차 조선족여성과학자학술회의에서 기자는 우리 조선족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가지고 회의에 참가한 조선족 과학자, 전문가, 교육자 64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많은 문제가 출국과 도시진출로 인한 후유증- “현재 조선족사회에 존재하는 10대 문제는 무엇인가?”하는 설문조사에서 조사대상의 80.7%가 “부모출국 이후 편부모가정 자녀교육문제”를 조선족사회 …(2009-03-03 15:05:51)
조선족 문화수준 높다는 말도 옛말 인기글 조선족 문화수준 높다는 말도 옛말 중국에서 조선족들의 문화수준은 높다고 불리워왔으며 또 우리들도 입버릇처럼 말한다. 하지만 《높은》 문화수준에 비해 법제관념과 법률의식은 많은 차이를 보이고있다. 그리하여 자기의 권익을 수호하고 경제적리익을 확보하는 일에 많은 손실과 어려움을 받고있다. 토지문제에서의 조선족농민들의 《법맹》현상한국나들이와 도시진출로 농사를 짓지 않는 농호들이 늘어나면서 자기의 토지를 남에게 임대하거나 매매하는 중에 많은 법적인 사항들이 제기되고있다. 그렇지만 많은 조…(2009-03-03 15:18:49)
중국 조선족사회 어디까지 왔나 인기글 중국 한겨례 사회 어디까지 왔나 - 두만강기슭에 '전설'은 살아있다 [연변 조선족 83만명 한국인 1만명 중, 조, 러'황금삼각주'로 부상] [로무송출 지역경제에 '효자' 역할 조선족 인구류실로 '부작용' 속출] "연변을 모르고 조선족을 론할수 없다" 이는 중국조선족사회에서 차지하는 연변조선족자치주의 비중을 여실하게 평가하는 말이다. 중국, 조선, 러시아의 접경 지이며 동북아 '황금삼각주'라고 불리는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설립 50여년간 우리 민족의 정치, 교육, 문화, 체육 등 제반…(2009-03-03 15:03:51)
21세기 중국조선족의 진로 인기글 21세기 중국조선족의 진로 조선족 최고의 문화인이 되라 연변대학 조선어문학부 우상렬 인터넷은 세계를 하나로 얽어 놓았다. 인터넷은 우리에게 진정한 글로벌시대의 도래를 일깨워주고 있다. 글로벌시대, 그것은 일종 새로운 의미의 대동세계다. 이로부터 실제적인 국경의 의미는 무의미해졌다. 세계는 분명 같이 가고 있다. UN, WTO는 더 말할 것도 없고 현재 계속 창출되고있는 세계적인 무슨무슨 기구, 무슨무슨 법은 말 그대로 이 대동세계의 기구가 되고 법이 되고있다. 거창한 …(2009-03-03 14:48:05)
조선족은 연변의 개척자 보위자 인기글 《조선족은 조선반도서 중국 동북지역에 이주해온후 파란만장의 세월을 겪으면서 이 지역을 개척했고 일제를 몰아내기 위해 가렬처절한 투쟁을 벌였다.》 일전에 《혈혼-동북조선민족항일투쟁사전시관》 에서 만난 연변력사학회 회장이며 연변대학 민족력사연구소 소장인 김춘선박사는 이렇게 말하면서 중국항일투쟁에서의 조선족의 기여를 소개하였다. 소개에 따르면 연변만 해도 항일투쟁렬사가 3125명 (남자 2787명, 녀자 338명), 그중 조선족이 3026명이다. 항일렬사중 군급간부 4명, 사급간부 10…(2009-03-03 14:46:02)
조선족발전을 위한 세계적 공동체 구축 인기글 제11회 조선족발전을 위한 연구토론회 예비회의 중앙민족대학 한국문화연구소(소장 황유복), 일본아시아경제문화연구소(소장 류경재)가 공동으로 주최, 주관한 '제11회 조선족발전을 위한 연구토론회 예비회의'가 최근 중앙민족대학에서 열렸다. 중앙민족대학 한국문화연구소 황유복교수, 중국사회과학원 정신철박사, 중국서부대개발위원회 최룡호비서장, 일본아시아경제문화연구소 류경재소장, 일본조선족연구회 리강철회장, 북경공업대학 김준봉교수 등 중국과 일본, 호주, 한국, 유럽 등지의 조선족의 미래를 깊이 고…(2009-03-03 14:43:13)
도시화과정과 조선민족의 발전 인기글 도시화과정과 조선민족의 발전 개혁개방 이후 중국사회는 몰라보게 변모되었다. 이 가운데서 제일 뚜렷한 현상은 도시화과정의 가속화이다. 과거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직전까지 중국사회는 공업이 발달하지 못한 낙후한 농업국가로 공업생산액은 공농업 총생산액의 10%밖에 차지하지 못하였다. 발달하지 못한 공업경제는 현대도시발전의 발걸음을 막을 수밖에 없었다. 중국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중국의 도시화건설은 궤도에 들어섰으나 정치운동에 너무 너무 기울인 탓으로 도시화 건설에 뚜렷한 성과를 취득하지 못하였…(2009-03-03 14:42:14)
[열람중]중국 조선족의 지역분포와 그 특징 인기글 중국 조선족의 지역분포와 그 특징조선족의 이주과정은 곧 조선족의 분포과정이다. 동북아지역의 조선족은 이주, 재이주, 분포, 재분포의 복잡한 과정을 거쳤다. 일본투항이후 미군이 일본과 한국을 점령하였다. 그때 미군점령군당국은 주로 재한국일본교민과 재일본한국교민 문제를 처리하였다. 통계에 따르면 전후 재한일본교민은 거의 귀국하였다. 그때 상당부분의 재일교포들은 조선반도로 되돌아갈것을 요구했었다. 1945년 10월부터 1947년 9월까지 이태사이에 미국은 조선남부로 재일교포 110…(2009-03-03 14:41:06)
중국조선족의 어제와 오늘과 미래 인기글 정판룡(연변대 총장) 1. 중국조선족이란 중국과 조선은 지리적으로 서러 린접된 나라이며 자고로 정치. 경제, 문화 등 제분야에서 밀접한 교류관계를 가지고있던 나라이기에 오랜 옛날부터 중국에는 많은 우리 민족이 살고있었다. 우리민족의 선인(先人)들이 일찍 중국 동북지역에 고조선, 고구려, 발해 등 고대국가를 세웠거나 산동, 절강, 복건 등 연해지방에 신라방(新羅坊)이 있었다는 것을 제쳐놓고라도 수많은 력사문헌들은 료(遼), 금(金), 명(明), 원(元) 등 어느 시기에나 적지 않은…(2009-03-03 14:41:33)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