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항전승리70주년)"예술극장"에서 일어났던 80년전의 탈옥사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5-08-17 08:46|

본문

(항전승리70주년)"예술극장"에서 일어났던 80년전의 탈옥사건 
(연길 도심 남쪽에 위치한 연변예술극장, 80여년전 이곳에 연길감옥이 있었다.)
2013년 5월, 연길 도심 남쪽에 위치한 연변예술극장(延邊藝術劇場) 주변이 갑자기 시끌벅적해졌다. 낡은 집 개조공사를 벌이던 현장에서 불현듯 녹이 뻘겋게 쓴 족쇄가 발견된 것이다. 주변의 분위기와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이 섬뜩한 물건은 대뜸 작지 않은 파문을 일으켰다.
중공 연길시위 당사연구실 주연휘(周延煇) 연구원은 그때 가슴이 널장 뛰듯 쿵쿵 하던 느낌을 지금도 잊을 수 없다고 말한다.
"바로 저쪽 공사 현장에서 족쇄가 발견됐지요. 족쇄는 녹이 쓴 상태였는데 부순 흔적이 있었습니다. 이 문물은 지나간 투쟁사의 견증이고 역사의 견증입니다. 이는 과거 이곳에서 아주 잔혹한 투쟁이 발생했다는 사실을 힘 있게 뒷받침해주고 있습니다."
80여년 전, 이곳에는 악명 높은 연길감옥(延吉監獄)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 민국 13년(1924)에 세워진 연길감옥은 당시 "길림성 제4감옥"으로 명명되었다. 부지면적이 1만 ㎡로 당시 연변지역에서 제일 큰 감옥이었다. 연길감옥은 훗날 중경(重慶)의 백공관(白公館)과 사재동(渣滓洞)에 버금가는 "악마의 소굴"로 불렸다.
누군가 일부러 파괴한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감옥 옛 터의 족쇄… 그렇다면 백공관과 사재동에서 일어났던 "붉은 바위(紅岩)"의 이야기가 이곳에서도 일어났던 것일가?

(연길감옥 유지에서 발견된 족쇄 /사진:중공연길시위 당사연구실 제공)
연길감옥의 "붉은 바위"의 이야기
"'9.18'사변이 발발한 후, 일본침략자들은 이 감옥을 접수하고 '연길모범감옥'이라고 이름을 고쳤습니다. 이른바 '모범'이란 혁명자(반일투사)를 진압하는 수단이 보다 잔인했음을 의미하지요."
주연휘 연구원은 그때 그 당시의 이야기를 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1930년대, 일제와 괴뢰 만주국은 "반만항일(反滿抗日)" 투쟁을 진압하려고 혈안이 되었다. 체포된 반만항일 인원들은 일부는 서울 서대문 형무소에 압송되었고 일부는 연길감옥과 길림감옥에 수감되었다.
"9.18"사변 이후, 무려 1,000명에 달하는 반일투사가 연길감옥에 감금되었다. 이 가운데는 중국공산당 왕청현 (汪淸縣) 당위원회 초대 서기였던 김훈(金勳)도 들어있었다.
김훈은 체포된 후에도 감옥에서 항쟁의 끈을 놓지 않았다. 김훈은 감옥에 중공 연길감옥 지하당위원회를 설립하고 서기 직무를 맡았으며 감옥 투쟁을 선두에서 지휘했다. 이때 연길감옥에는 두 차례의 탈옥투쟁이 일어나지만 변절자의 밀고로 모두 실패했다. 수감자들에 대한 감시는 보다 더 심해졌으며 옥중 투쟁은 보다 더 어려워졌다.
이 무렵 김명주(金明柱)라고 부르는 인물이 혜성처럼 등장한다. 훗날 김명주는 연길감옥의 집단탈옥 사건에서 제일 관건적인 인물로 되고 있다. 운명의 작간인지 모르지만, 이때의 김명주는 공산당 조직과 별로 연관이 없었던 인물이다. 기어이 이때의 그와 공산당 조직을 연관시킨다면 어릴 때 공산당 소년선봉대(少年先鋒隊)에 가입했던 경력이 있었다고 할까…

김명주는 옛 소년선봉대 대장으로부터 석유를 사오라는 심부름을 받았다고 한다. 그날 밤 마을 류(劉)씨 성 지주의 가옥과 낟가리에 누군가가 불을 놓았다. 현장에서 석유 병이 발견되면서 김명주는 졸지에 방화범으로 낙인 되어 연길감옥에 수감되었던 것이다.

연길감옥에서 김명주가 뭇사람들의 주목을 받는 인물로 떠오른 데는 그럴 만한 사연이 있었다.

김철수 (金哲洙) 연변박물관 원 부관장 겸 연구원은 그때 그 당시의 이야기를 이렇게 전했다.

"'죄수'들이 하루는 하남다리에서 '구렁창'을 가시게 되었는데 한 일본여인이 아이와 개를 데리고 지나가게 되었습니다. 아이가 먹던 기름떡이 땅에 떨어졌는데 여인이 죄수들을 향해 그 기름떡을 던져 주었지요. 개보다도 못하다는, 인격모독이지요. 성질(성격)이 사나왔던 김명주는 삽으로 흙물을 퍼서 그들을 향해 냅다 뿌렸지요. 급기야 큰일이 난 것입니다. 일본사람을 무시했다고… (김명주가) 간수들에게 죽게 얻어맞고 감옥에 끌려 들어왔는데 상황이 형편없었지요."

"구렁창"사건은 김훈을 비롯한 수감자들의 극도로 되는 분개를 자아냈다. 연길감옥 중공 당 조직은 "구렁창"사건을 발단으로 단식투쟁을 단행했다. 이들은 김명수의 상처를 치료하고 야만적인 폭행을 가했던 이(李)씨 성 간수를 면직시킬 것, 병상의 수감자들을 하루속히 치료해줄 것, 밥을 깨끗이 하고 양을 증가하며 감방안의 대우를 개선할 것 등 세 가지 요구를 제기고 이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끝까지 단식투쟁을 계속할 결의를 다졌다.

단식투쟁 3일차 되던 날, 감옥당국이 부득불 이 세 가지 조건을 들어주기로 하면서 단식투쟁은 마침내 승리로 끝났다.

"구렁창"은 더러운 오물이 빠지지 않고 썩어서 고여 있는 바닥이라는 뜻을 가진 "시궁창"의 방언이다. 이때 인간세계에서 "시궁창"으로 몰려 버림과 모역을 받은 김명주의 감수는 남달랐다. 그는 이 단식투쟁을 거쳐 중공 당 조직의 힘을 또 한 번 절실히 느끼게 된다. 더구나 김훈 등 항일투사의 직접적인 교육과 솔선적인 영향은 그를 이때부터 확고한 항일신념을 가진 "투사"로 변신하게 한다.

김명주가 훗날의 감옥 탈옥사건에서 주역으로 떠오른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었다.




(연길감옥항일투쟁기념비에 새겨진 "연길감옥가")

동북지역을 진감한 연길감옥의 탈옥사건

감옥당국은 수감자들이 다시 조직되어 사단을 만들까봐 두려워 한 달에 몇 번씩 감방을 옮기게 했으며 정치범들의 감방은 더욱 자주 옮겼다.

그러나 옥중 수감자들의 항쟁의 열기는 결코 식지 않았다. 이때 바로 연길감옥에서 유명한 노래 "연길감옥가(延吉監獄歌)"가 탄생하는 것이다.

훗날 "연길감옥가"의 작사자 이진(李進)은 무거운 족쇄를 찬 채 이 노래를 부르면서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고 한다.


"바람세찬 남북만주 광막한 들에

붉은기에 폭탄차고 날뛰던 몸이

연길감옥 갇힌 이후 몸은 시들제

혁명에 끓는 피야 언제 식으랴

감수놈이 웨치는 소리 높고

때마다 먹는 밥은 수수밥이라

밤잠은 새우잠 그리운 꿈에

나의 사랑 여러 동지 그립구나. "

……

사실상 이 시기 항일투사 윤범(尹範), 신춘(申春) 등이 육속 살해되고 오세국(吳世國)도 감방에서 끌려 나간 후 행방불명이 되는 등 연길감옥의 당 조직은 전례없는 파괴를 당하고 있었다.

이에 앞선 1934년 겨울, 연길감옥 옥중 투쟁의 핵심지도자로 있던 김훈도 적들의 암해로 희생되었다고 김철수 연구원이 설명한다.

"(단식투쟁이 승리한지) 얼마 안 되어 (그해 겨울) 일본군이 연길 부르하통하의 하남다리를 짓는 위에서 김훈을 얼음구덩이에 밀어 넣었습니다."

김훈 등 지도자들이 연이어 희생된 후 연길감옥 지도자의 중임은 김명주의 두 어깨위에 떨어졌다. 김명주는 김훈 등의 부탁을 명기하고 겉으로는 표현이 좋은 척 하면서 집단 탈옥의 기회를 노린다.

1935년의 초여름, 김명주는 우연히 간수들이 나누는 대화를 엿듣게 되었다.

주연휘(周延煇) 연구원은 그 때 상황을 이렇게 설명한다.

"단오절에 3-5일간 운동회가 열린다는 것을 알게 되였습니다. 때가 되면 감옥에 몇몇 당직 인원만 제외하고 대부분 사람이 경기장에 모이고 저녁에는 술판도 벌어진다는 정보였습니다. 김명주는 이때라고 생각하고 일하는 틈을 타서 이영춘(李英春)과 이태근(李泰根) 등 옥중의 몇몇 당조직 지도자들과 만나 단오절 운동회가 열리는 두번째 날 (음력 5월6일) 오후에 거사를 치르기로 하고 17명에 달하는 결사대를 조직했습니다."

이때 거사계획에 약간의 차질이 생긴다. 음력 5월 6일, 일부 사람들에게 동요정서가 나타나면서 거사는 부득불 다음날로 미뤄지는 것이다.

음력 5월 7일 오후 3시, 점심 후 결사대 대원들은 신호를 주고받으며 탈옥준비에 들어갔다. 이들은 목조장(木造場)에서 훔친 조막 도끼로 족쇄를 부순 후 다시 삼노끈으로 매놓고 눈가림을 했다.

이때 그들은 갑자기 감방에 들어온 왕(王)씨 성의 간수를 결박하고, 또 당직 차로 찾아온 일본인 지도관을 처결하며 이어 감방 문 어구의 보초병을 처리하고 간수실의 간수들을 처단하며 소총 50여 정과 수류탄 10여개를 노획한다.

이때부터 김철수 연구원이 전하는 이야기는 그야말로 한편의 영화를 방불케 하고 있다.

"앞에서 이미 한사람은 일본 지도관의 권총을 잡고 나가면서 밧줄을 쥐고, 김명주가 옆으로 도끼를 든 채 간수를 압송하면서 나갔습니다. 간수가 달아나면서 소리치는 바람에 총을 쏘았지요. 총소리가 나니까 다 알게 된 것입니다. 김명주는 다시 도끼를 쥐고 감방으로 뛰여 들어가 다른 감방문도 다 열어놓았습니다. 그러다가 감방에서 권총을 들고 나오는 감옥장과 마주쳤지요. 더없이 긴장한 상태인데 뒤에 있던 사람이 간수의 총으로 감옥장을 쏘아 눕혔지요…"

미구에 탈옥에 성공한 이들은 적들의 추격목표를 줄이기 위해 두 갈래로 나뉘어 각기 다른 방향으로 항일근거지를 찾아가기로 한다.

김명주 일행은 모아산(帽兒山) 고개를 넘을 즈음 일본 수비대의 추격을 받았다. 탈옥 3일째 되던 날, 그들은 적들과 조우하면서 3차례에 달하는 치열한 전투를 벌인다. 이때 김명주는 여러 곳에 부상을 당하며 왕덕발(王德發)과 이영춘 (李英春) 등은 다른 사람들의 철수를 엄호하다가 희생되었다.




( 연길감옥 유지에 세워진 연길감옥항일투쟁기념비 )

예술전당에 세워진 영원한 기념비

김명주가 인솔한 탈옥자들은 마침내 일본군의 추격에서 벗어나 안도(安圖) 차창자(車廠子) 항일근거지에 도착했다. 며칠 후 이태근이 인솔한 다른 한 갈래의 탈옥자들도 근거지에 이르렀다. 이때 두갈래 대오의 인원은 50명 미만으로 탈옥 당시의 절반도 안 되었다고 전한다.

"연길감옥 탈옥투쟁은 동북지역에서 공산당이 영도한 탈옥투쟁 중 유일하게 성공한 탈옥투쟁입니다. 이는 동북지역에 거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동북인민들의 항일투지와 승리신심을 북돋아 주었습니다."

주연휘(周延煇) 연구원은 연길감옥 탈옥투쟁승리가 갖는 의미를 이렇게 말해 주었다.

그제 날 높은 담과 철조망이 둘러섰던 연길감옥 옛터에는 현재 인민의 예술전당으로 불리는 연변예술극장이 들어섰다. 예술극장 주변에는 수양버들이 휘늘어졌고 극장 앞에는 춤을 추는 조선족 여성의 조각상이 자리를 잡았다. 2000년 6월, 이곳에는 "연길감옥 항일투쟁 기념비"가 세워졌다.

"영용무쌍한 투사들을 부각한 이 조각이 바로 '연길감옥 항일투쟁 기념비'입니다. 이곳 연길감옥투쟁 유적지에 기념비를 세웠습니다. 비문은 연길감옥투쟁사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비문 아래에 새겨진 것이 바로 이진이 작사했던 '연길감옥가'입니다."

연길감옥 옛터로 우리를 안내하던 주연휘(周延煇) 연구원은 기념비 앞에 그린 듯 잠깐 서있더니 조용히 "연길감옥가"의 가사를 읽기 시작했다.

"바람 세찬 남북만주 광막한 들에

붉은 기에 폭탄차고 날뛰던 몸이

연길감옥 갇힌 이후 몸은 시들제

혁명에 끓는 피야 언제 식으랴..."

허공에 나지막하게 울려 퍼지는 옛 가사의 낭독 소리, 그리고 예술전당과 나란히 한 연길감옥항일투쟁기념비...

"연길감옥가"가 새겨진 연길감옥항일투쟁기념비는 영원한 역사적 징표로 그제날 인간지옥에 오늘날 예술의 전당이 들어설수 있도록 몸바쳐 싸운 항일 영웅들의 넋을 기리고 있다.



(연길감옥 유지에 일떠선 연변예술극장)

(글:중국국제방송국 강옥)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0

글로벌한민족 목록

글로벌한민족 목록
그 형님 생각 또 난다 인기글 그 형님 생각 또 난다 8월 5일은 길림대학 제1병원 박운봉교수가 세상을 뜬지 한돐이 되는 날이다. 요즘은 왜선지? 그 형님 생각이 무척 난다.항상 하얀 와이셔츠를 껴입는 름름한 신사풍모, 준엄한 얼굴표정, 툭툭 내쏘는 연변말투와 익살스러운 롱담은 내 눈앞에 선히 떠오른다.내가 제일 처음 박교수를 만났을 때는 1997년도 9월의 어느날 길림대학 제1병원에서였다. 그날 나는 나의 군소속병원 조선족 군의(军医) 의 소개로 소화내과에 가 박교수를 찾아 위병진찰을 받았던것이다.…(2015-08-17 08:52:14)
우린 언제야 당당하게 동포대접 받나? 인기글 우린 언제야 당당하게 동포대접 받나? -"8.15" 70주년 소감"이제 며칠이면 "8.15"기념 70주년이 된다. 2005년에 '8.15' 60주년을 맞아 중국내 조선족사회의 1,300여명이 서명한 청원서를 한국 국회에 내고 기타 나라의 동포들과 마찬가지로 우리를 외국인이 아닌 동포로 대접해달라는 우리의 목소리를 전달한지도 10년이 된다. 검토해서 답장을 준다고 하고나서 10년이 넘도록 가타부타 말이 없으니 어인 영문인지 모르겠다." 전 료녕성민위 문교처 처장 박경옥로인이 일전에 고령으로 병환으…(2015-08-17 08:48:22)
"문무를 겸비한 참된 인간이 되겠다" 인기글 "문무를 겸비한 참된 인간이 되겠다" 지난해 5월 김동광 학생(뒷줄 오른쪽 첫 번째)이 논문 답변에 통과된 후 현재 석사과정을 밟고 있는여학생들과 함께 박승권 석사 지도교수를 모시고 기념사진을 남겼다.다민족대학교에서 문무(文武)를 겸비한 참된 인간으로 성장하기 위해 열심히 뛰는 조선족 젊은이가 있다.주인공은 중국의 수도 베이징에 자리한 중앙민족대학교 평생교육학원의 박승권(44) 원장이다.1992년 7월 중앙민족대학교 조선언어문학부를 졸업한데 이어 1995년 7월 민족학 석사학위를 따낸 박…(2015-08-17 08:47:43)
[열람중](항전승리70주년)"예술극장"에서 일어났던 80년전의 탈옥사… 인기글 (항전승리70주년)"예술극장"에서 일어났던 80년전의 탈옥사건 (연길 도심 남쪽에 위치한 연변예술극장, 80여년전 이곳에 연길감옥이 있었다.)2013년 5월, 연길 도심 남쪽에 위치한 연변예술극장(延邊藝術劇場) 주변이 갑자기 시끌벅적해졌다. 낡은 집 개조공사를 벌이던 현장에서 불현듯 녹이 뻘겋게 쓴 족쇄가 발견된 것이다. 주변의 분위기와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이 섬뜩한 물건은 대뜸 작지 않은 파문을 일으켰다.중공 연길시위 당사연구실 주연휘(周延煇) 연구원은 그때 가슴이 널장 뛰듯 쿵쿵 하던 느낌을…(2015-08-17 08:46:01)
중국 동북에서 뒤늦게야 밝혀진 반일독립운동가 윤낙세 인기글 중국 동북에서 뒤늦게야 밝혀진 반일독립운동가 윤낙세 독립운동가 윤낙세에 대한 고찰윤낙세(1877 ~ 1929)는 조선의 독립을 위해 1910년대와 20년대에 간도와 러시아를 무대로 반일투쟁에 일생을 바친 독립운동가이다. 1910년대 초에는 권업회, 기독교우회 등 단체를 통해 군자금 모집 및 반일선전활동을 하였고 10년대 말에는 무장독립운동 단체인 신민단에서 연락부장으로 활약하였다. 1920년 ‘경신년대토벌’이후에는 러시아 수이푼(秋豊)일대에서 한족공산당 위생부장, 고려혁명군 외교부장에 선임되…(2015-08-17 08:43:47)
(항전승리70주년)봇나무 껍질에 숨은 70년 전의 비사 인기글 (항전승리70주년)봇나무 껍질에 숨은 70년 전의 비사 1940년, 홍기하(紅旗河)의 기슭에서 역사에 회자되는 큰 전투가 발생했다. 일본 마에다(前田) 토벌대가 항일부대의 매복습격을 당해 많은 사상자를 내는 것이다. 홍기하는 두만강 상류에 있는 작은 지류이다.연변박물관 김철수(金哲洙) 전 부관장은 연변지역의 항일투쟁사에 연구가 깊은 사학자다. 그는 홍기하전투는 아주 성공적인 매복전이었다고 힘을 주어 말했다."(동북항일연군 제1로군 제2방면군은) 일본토벌대가 추격한다는 정보를 얻고 24일 홍기하에 …(2015-08-17 08:41:37)
'급변하는 中 조선족사회' ③조선족 이끄는 새로운 축(끝) 인기글 '급변하는 中 조선족사회' ③조선족 이끄는 새로운 축(끝) 과거 조선족 사회는 농촌 등 마을에 기반을 둔 '밀집형 지역공동체'였으나 최근에는 탈농촌과 도시화, 내륙 도시 및 해외 진출 등의 추세에 따라 '네트워크 공동체'로 바뀌고 있다.지린(吉林)성의 옌볜조선족자치주가 여전히 조선족 공동체를 대표하고 있음에도 거주지의 글로벌화로 유기적인 네트워킹이 중요해진 상황이다.이런 가운데 모래알처럼 흩어져 사는 조선족 사회를 하나로 뭉치고 한민족 간의 교류에도 앞장서도록 기업인들이 발벗고 나섰다.이들은 중국…(2015-08-17 08:39:26)
학생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는 원예사 인기글 학생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는 원예사 "한사람의 량호한 행위습관과 고상한 사상품덕은 어릴때부터 양성되여야 합니다. 특히 우리 학생들의 량호한 행위습관과 사상품덕은 일조일석에 형성되는것이 아니라 매 하나의 사건, 매 하나의 활동, 매 하나의 수업 등 작은 교육들이 모아져서 형성되는것입니다."이는 연길시 건공소학교 5학년4학급의 담임인 김춘화교원(46세)이 23년간의 교육사업 종사과정에서 더듬어낸 색다른 교육비결이라고 할수있다.김춘화교원은 사랑스런 제자들에게 언제나 사랑으로 빛이 되여주고 단…(2015-08-13 08:30:24)
세계탑 저널에 논문 게재한 30대 교수 인기글 세계탑 저널에 논문 게재한 30대 교수 중산대학교 화학및화학공정학원 고분자공학과의 황철강(36)교수는 세계탑 저널인 ‘과학(Science)’ 에 논문을 게재해 세계 유명저널과 언론과학, 자연, 화학공정, 화학세계, 중국과학기술원으로부터 주목과 각광을 받고있다.32살에 교수로 파격 승진한 황 교수는 박사지도교수로 활약하고 있다.연길시 출신인 황 교수는 2002년7월 연변대학교 화학과 학사를 졸업, 2005년 7월에는 연변대학교 유기화학과 석사를 졸업했다.2010년8월에 한국 연세대학교 화학과에서 박…(2015-08-13 08:28:57)
"젊은이들이 독립운동력사 잘 알수 있도록" 인기글 "젊은이들이 독립운동력사 잘 알수 있도록" 한국 겨레얼살리기 국민운동본부가 한국광복 70주년을 맞아 8일 안중근 등 독립지사들이 독립투쟁을 전개한 할빈에서 항일독립운동의 뜻을 기리는 ‘흑룡강지역 항일독립운동 학술발표회’를 열었다.할빈시조선민족사업촉진회 주관으로 할빈조1중에서 열린 이번 대회에 할빈과 목단강지역 조선족간부들과 27명 한국 고등학생을 비롯한 70여명이 참석했다.한양원(91) 한국 겨레얼살리기 국민운동본부 리사장은 “현재 우리 젊은이들은 외래 력사 문화 사상리념을 우리것으로 착각하고 살…(2015-08-13 08:27:20)
할빈 제8회 조선족민속절 열린다 인기글 할빈 제8회 조선족민속절 열린다 할빈시 문화신문출판국에서 주최하는 할빈제8회조선족민속절 및 할빈제9회조선족 가요무대 활동이 오는 8월 29일-30일까지 할빈시 도리구 인민광장(경위가와 우의로 교차지)에서 열린다.널뛰기,태권도,민족복장쇼 등우리민족 관련 각종 활동이 펼쳐지는 가운데 그중 비즈니스 내용도 있는 바 조선민족 관련 비즈니스인들은 자기의 상품을 무료로 전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는다.조선민족(한국) 음식,화장품,의류,전자 등 경영업자들에게 진열대(길이 2미터)를 제공하는데 전화(13936…(2015-08-13 08:26:24)
고려성의 머리없는 장군 인기글 고려성의 머리없는 장군 양세봉(梁瑞鳳)은 약 80년 전 남만주 일대를 주름 잡았던 항일장령이다. 그가 희생했을 때 조선인들은 다들 “별”이 하늘에서 떨어졌다고 한탄했다고 한다. 약간은 이상하게 비쳐질지 모르지만, 현지에서 이 “별”을 만나기 위해 우리가 찾은 사람은 심양의 길씨 성의 사업가였다.사실상 양세봉의 발자취를 찾는 사람들은 거개 이 사업가를 현지 안내인으로 삼고 있었다.그럴 법 했다. 양세봉은 예전에 료녕성 흥경현(興京縣) 일대에서 항일투쟁을 벌였다. 흥경현은 훗날 신빈현(新賓縣)으로 개…(2015-08-13 08:25:33)
일본 건축설계업계의 조선족거두—허영수 인기글 일본 건축설계업계의 조선족거두—허영수 이번 취재에서 제일 걱정되는 인물이 허영수사장이였다. 왜냐하면 이번 《재일 제1세 조선족류학생》에 대한 취재기획을 적극 협조한 《일본 조선족연구학회》리강철회장은 이번 기획에 허영수(許永洙)사장이 빠지면 안되는데 하면서 허사장은 언론에 나서기 싫어한다고 했다.그러던차 지난 7월 18일, 세계한인무역협회 (월드옥타) 일본치바지회《2015년 제13기 재외동포차세대무역스쿨》에서 허영수사장을 만나게 되였다. 그 자리에서 월드옥타 일본치바지회는 재일조선족으로 …(2015-08-13 08:23:16)
산동성 청도시 조선족사회에 띠동갑모임 류행 인기글 산동성 청도시 조선족사회에 띠동갑모임 류행 띠동갑모임이라는 이색적인 단체가 청도에서 맹활약하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연변일보에 따르면 띠동갑모임의 원조는 “봉황모임”이라 할수 있는데 1969년생 닭띠생 녀성위주로 모였고 이들은 회장 김정금씨의 조률하에 각종 협회와의 관계도 원활히 하는 한편 사회복지사업에도 적극 참여해 칭찬을 받았다.1961년생 소띠모임은 “소”답게 조용한 형태로 움직이는것이 특징이고 “양말모임”은 양띠와 말띠의 모임으로 이색적이며 1970년생 개띠로 무어진 “멍멍이”모임은 기업인…(2015-08-13 08:21:56)
연길시 시조창인들 한·중·일 시조창합동공연에 참가키로 인기글 연길시 시조창인들 한·중·일 시조창합동공연에 참가키로 항일전쟁승리 70주년과 반파시스전쟁승리 70주년을 맞이하면서 사단법인 연길시중국조선족시조협회에서는 한국대한시조협회함안지회의 후원으로 8월 4일과 5일 이틀동안 연변군중예술관에서 “제6회중국조선족시조경창대회”를 진행했다.대회는 을부, 갑부, 명창부 등 세개부로 나누어 진행되였는데 을부에서는 평시조 “진달래”(허련순 작사), “청산은 어찌하여”(리황 작사), 갑부에서는 사설시조 “팔만대장”,특부에서는 남창, 녀창질음, 명창부에서는 중허리시조 “산촌…(2015-08-10 08:54:57)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