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로 흉포해지는 잔혹범죄, 중국동포 삶 어떻길래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5-04-09 16:36|본문
날로 흉포해지는 잔혹범죄, 중국동포 삶 어떻길래…
중국 동포가 증가하면서 건강이나 경제적인 문제, 때로는 범죄에 연루돼 노숙인 신세로 전락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서울을 떠돌며 노숙 생활을 하던 중국 동포 진용남(37)씨는 지난해 9월 영등포구에 있는 노숙인 쉼터인 옹달샘드롭인센터를 찾았다. 진씨는 심각한 신체마비 증상을 호소했다.
인근 병원으로 후송된 진씨의 검사 결과는 뇌경색. 신분이 불확실한 탓에 센터 직원이 임시보호자로 등록했고 치료비는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사회안전망 기금을 활용했다.
권경윤 옹달샘센터 생활지원팀장은 “다행히 진씨는 중국 대사관을 통해 가족과 연락이 닿아 중국으로 돌아갔지만, 가족 등이 없어 중국으로 돌아갈 수도 없고 한국에 정착하지도 못한 채 노숙 생활을 계속하는 이들도 상당히 많다”고 했다.
중국 동포 장경환(41)씨는 취업비자로 한국에 들어와 공장에서 취직했지만 비자 만료된 뒤 불법체류자 신분으로 계속 일을 했다. 그러다 임금체불 문제가 발생해 공장을 그만두었고 현재 서울역, 구로, 영등포에서 노숙인 생활을 하고 있다.
장씨는 “이제 가족들까지 한국에 들어와 뿔뿔이 흩어져 일을 하는 상황인데 다시 중국으로 돌아갈 수도 없다”고 말했다.
중국 동포 A씨는 보이스피싱 조직의 인출책으로 일하다가 경찰 수사선상에 오르자 노숙인 생활을 시작하게 된 경우다. A씨는 마땅한 일을 구하지 못하고 파지, 고철을 주워팔며 노숙생활을 하고 있다.
법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거주 중국 동포 수는 60만6694명이다. 지난해 한국 국적을 취득한 중국 동포 7만 6921명을 합치면 약 70만명에 달한다. 2007년(32만8000여명)의 2배로 증가한 것이다.
영등포역에서 노숙인에 무료 진료를 해주는 요셉의원 관계자는 “과거에는 2달에 1명꼴이었던 중국 동포 환자들이 최근에는 1달에 2명꼴로 늘어났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시설 관계자들은 외국인 노숙인이 늘어나는 만큼 재정적, 절차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요셉의원은 간경화로 지난해 사망한 중국 동포 B씨의 시신인과 관련해 중국 대사관에 협조를 요청했지만 결국 요셉의원이 도맡아 한국에 거주 중인 B씨의 먼 친척을 찾아 장례를 치뤘다.
요셉의원은 연간 서울시로부터 받아 쓸 수 있는 돈인 사회안전망기금 1억3000만원 중 900만원을 B씨 치료에 썼다.
송은숙 복지사는 “그 돈은 일반환자 7∼8명을 치료할 수 있는 돈이다. 조선족 노숙인을 비롯한 무보험자가 방문할 경우 상당히 중병인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럴 때마다 현실적으로 재정적 문제가 생긴다”고 했다.
경찰 등에 따르면 영등포 일대에만 약 30∼40명의 중국계, 대만계 외국인이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김동혁 옹달샘센터 행정실장은 “신분노출을 꺼려 거처를 자주 옮기는 것을 고려하면 외국인 노숙자 숫자는 파악된 것보다 훨씬 더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동포가 증가하면서 건강이나 경제적인 문제, 때로는 범죄에 연루돼 노숙인 신세로 전락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서울을 떠돌며 노숙 생활을 하던 중국 동포 진용남(37)씨는 지난해 9월 영등포구에 있는 노숙인 쉼터인 옹달샘드롭인센터를 찾았다. 진씨는 심각한 신체마비 증상을 호소했다.
인근 병원으로 후송된 진씨의 검사 결과는 뇌경색. 신분이 불확실한 탓에 센터 직원이 임시보호자로 등록했고 치료비는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사회안전망 기금을 활용했다.
권경윤 옹달샘센터 생활지원팀장은 “다행히 진씨는 중국 대사관을 통해 가족과 연락이 닿아 중국으로 돌아갔지만, 가족 등이 없어 중국으로 돌아갈 수도 없고 한국에 정착하지도 못한 채 노숙 생활을 계속하는 이들도 상당히 많다”고 했다.
중국 동포 장경환(41)씨는 취업비자로 한국에 들어와 공장에서 취직했지만 비자 만료된 뒤 불법체류자 신분으로 계속 일을 했다. 그러다 임금체불 문제가 발생해 공장을 그만두었고 현재 서울역, 구로, 영등포에서 노숙인 생활을 하고 있다.
장씨는 “이제 가족들까지 한국에 들어와 뿔뿔이 흩어져 일을 하는 상황인데 다시 중국으로 돌아갈 수도 없다”고 말했다.
중국 동포 A씨는 보이스피싱 조직의 인출책으로 일하다가 경찰 수사선상에 오르자 노숙인 생활을 시작하게 된 경우다. A씨는 마땅한 일을 구하지 못하고 파지, 고철을 주워팔며 노숙생활을 하고 있다.
법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거주 중국 동포 수는 60만6694명이다. 지난해 한국 국적을 취득한 중국 동포 7만 6921명을 합치면 약 70만명에 달한다. 2007년(32만8000여명)의 2배로 증가한 것이다.
영등포역에서 노숙인에 무료 진료를 해주는 요셉의원 관계자는 “과거에는 2달에 1명꼴이었던 중국 동포 환자들이 최근에는 1달에 2명꼴로 늘어났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시설 관계자들은 외국인 노숙인이 늘어나는 만큼 재정적, 절차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요셉의원은 간경화로 지난해 사망한 중국 동포 B씨의 시신인과 관련해 중국 대사관에 협조를 요청했지만 결국 요셉의원이 도맡아 한국에 거주 중인 B씨의 먼 친척을 찾아 장례를 치뤘다.
요셉의원은 연간 서울시로부터 받아 쓸 수 있는 돈인 사회안전망기금 1억3000만원 중 900만원을 B씨 치료에 썼다.
송은숙 복지사는 “그 돈은 일반환자 7∼8명을 치료할 수 있는 돈이다. 조선족 노숙인을 비롯한 무보험자가 방문할 경우 상당히 중병인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럴 때마다 현실적으로 재정적 문제가 생긴다”고 했다.
경찰 등에 따르면 영등포 일대에만 약 30∼40명의 중국계, 대만계 외국인이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김동혁 옹달샘센터 행정실장은 “신분노출을 꺼려 거처를 자주 옮기는 것을 고려하면 외국인 노숙자 숫자는 파악된 것보다 훨씬 더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