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족 기업 현황 파악해 한국 중소·중견기업과 매칭 시킬 것'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5-04-15 10:52|본문
'조선족 기업 현황 파악해 한국 중소·중견기업과 매칭 시킬 것'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중국 진출 문제가 다시 한 번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과거에는 국내에서 중국을 가공무역 활용기지로 삼아 짭짤한 재미를 보기도 했지만, 2000년대 들어 연평균 중국 임금 상승률이 매년 약 15%에 달하면서 주춤해졌다. 또 저금리 기조 등 글로벌 경제 악화가 중소기업에게 큰 타격을 주고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중국 진출 초창기에는 주로 전자, 통신설비 등의 제조업 중심투자가 주를 이뤘다면 현재는 서비스업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다.
이 같은 녹록치 않은 대외적인 악재 속에서도 지난해 한·중 간 부품·소재 교역액이 1437억 달러에 달할 정도로 ‘대륙’은 우리에게 여전히 매력적인 시장인 것은 분명하다.
중소·중견기업들이 중국 내수시장 진출에 주목을 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 “15억 거대 시장과 가장 가까운 한국…중국 내수 시장 진출에 박차 가해야”
김세종 중소기업연구원장(KOSBI)은 14일 아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이제는 중국 내수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지리적으로 15억여명 인구와 가장 가까이 있는 곳이 바로 한국이고 이는 다른 국가들이 절대 따라올 수 없는 이점”이라며 “15억 거대 시장이 열린다는 점은 여러 가지 우려를 상쇄하고도 남을 만큼의 큰 기회”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선 중국 소비자가 어떤 한국 제품을 사고자 하는지 고민해 봐야 한다. 국내 중소기업 제품이 단순히 한·중 FTA로 인해 중국에서 더 팔릴 것이라는 안일한 생각은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김 원장은 “그동안 중국 진출 전략이 너무 일반적인 것들이었다면 앞으로는 지역과 성별, 품목에 맞춰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중국 유통기업과 연계한 밸류체인 구축 △대기업과의 동반 진출 △중국 조선족 기업 유치 △조선족 기업들을 활용한 우회진출 전략 △현지합작법인 통한 진출 등을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했다.
실제로 연구원은 이를 위해 사회과학원, 연구기관, 기업 대표 등 각종 중국단체와의 교류를 넓히고 있다.
김 원장은 “조선족 기업가협의회, 사회과학원, 경제단체들과 국내 기업 간의 매칭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지난해 조선족 기업 현황 파악을 통해 2만여개의 유통 관련 업체 리스트를 확보했고, 이 중 상위 1%인 200~300개 따로 추려서 국내 기업들에게 배포할 가이드북을 만들 생각”이라고 밝혔다.
다만 “중국 기업 사정이 베일에 싸여 있어 얼마나 건실한 기업인지 모른다”면서 “‘사전 스크린’ 작업을 철저히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원장은 또 하반기에는 격변하는 중국 현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중국 대학에 재학 중인 몇 곳의 한국 유학생을 ‘객원연구원’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도 전했다.
장학금 명목으로 일정 비용을 지급하고 중국 현지 정보를 수집하겠다는 취지다.
그는 “중국의 사회과학원이나 연구기관에 서로 연구원을 파견해 정보를 교류할 것”이라며 “필요하다면 중국에 있는 전문가들을 수시로 한국에 불러 한-중 공동연구 위한 포럼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히 “연구원의 중소기업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은 2년 전부터 시작돼 현재 3단계 사업 진행 중”이라며 “내년부터 시스템이 시행되면 모든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현황을 사이트에서 한 눈에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원장은 “필요하다면 중소·중견기업들 대상으로 연구원의 로드맵에 대해 설명회도 개최할 계획”이라며 “연구, 교육, 컨설팅 등 연구원의 기능 중 기업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컨설팅 기능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막연하게 ‘대륙의 꿈’을 꿔서는 안 된다”면서 “스스로의 경쟁력을 높이는 길만이 국내 중소기업의 살 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원장은 “이미 2013년 관계부처합동으로 중국 내수시장 진출을 위해 유통망 진출기반 및 맞춤형 종합지원 체계 구축, 정보제공 및 교육 강화, 중국진출 기업의 현지네트워크 확대 등 큰 카테고리 내에서 다양한 지원을 추진 중”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접근성과 실효성에 대한 일부 비판에도 불구하고 한국 정부는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지원을 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중소기업들은 각종 지원프로그램들을 잘 찾아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중국 진출 문제가 다시 한 번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과거에는 국내에서 중국을 가공무역 활용기지로 삼아 짭짤한 재미를 보기도 했지만, 2000년대 들어 연평균 중국 임금 상승률이 매년 약 15%에 달하면서 주춤해졌다. 또 저금리 기조 등 글로벌 경제 악화가 중소기업에게 큰 타격을 주고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중국 진출 초창기에는 주로 전자, 통신설비 등의 제조업 중심투자가 주를 이뤘다면 현재는 서비스업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다.
이 같은 녹록치 않은 대외적인 악재 속에서도 지난해 한·중 간 부품·소재 교역액이 1437억 달러에 달할 정도로 ‘대륙’은 우리에게 여전히 매력적인 시장인 것은 분명하다.
중소·중견기업들이 중국 내수시장 진출에 주목을 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 “15억 거대 시장과 가장 가까운 한국…중국 내수 시장 진출에 박차 가해야”
김세종 중소기업연구원장(KOSBI)은 14일 아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이제는 중국 내수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지리적으로 15억여명 인구와 가장 가까이 있는 곳이 바로 한국이고 이는 다른 국가들이 절대 따라올 수 없는 이점”이라며 “15억 거대 시장이 열린다는 점은 여러 가지 우려를 상쇄하고도 남을 만큼의 큰 기회”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선 중국 소비자가 어떤 한국 제품을 사고자 하는지 고민해 봐야 한다. 국내 중소기업 제품이 단순히 한·중 FTA로 인해 중국에서 더 팔릴 것이라는 안일한 생각은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김 원장은 “그동안 중국 진출 전략이 너무 일반적인 것들이었다면 앞으로는 지역과 성별, 품목에 맞춰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중국 유통기업과 연계한 밸류체인 구축 △대기업과의 동반 진출 △중국 조선족 기업 유치 △조선족 기업들을 활용한 우회진출 전략 △현지합작법인 통한 진출 등을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했다.
실제로 연구원은 이를 위해 사회과학원, 연구기관, 기업 대표 등 각종 중국단체와의 교류를 넓히고 있다.
김 원장은 “조선족 기업가협의회, 사회과학원, 경제단체들과 국내 기업 간의 매칭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지난해 조선족 기업 현황 파악을 통해 2만여개의 유통 관련 업체 리스트를 확보했고, 이 중 상위 1%인 200~300개 따로 추려서 국내 기업들에게 배포할 가이드북을 만들 생각”이라고 밝혔다.
다만 “중국 기업 사정이 베일에 싸여 있어 얼마나 건실한 기업인지 모른다”면서 “‘사전 스크린’ 작업을 철저히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원장은 또 하반기에는 격변하는 중국 현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중국 대학에 재학 중인 몇 곳의 한국 유학생을 ‘객원연구원’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도 전했다.
장학금 명목으로 일정 비용을 지급하고 중국 현지 정보를 수집하겠다는 취지다.
그는 “중국의 사회과학원이나 연구기관에 서로 연구원을 파견해 정보를 교류할 것”이라며 “필요하다면 중국에 있는 전문가들을 수시로 한국에 불러 한-중 공동연구 위한 포럼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히 “연구원의 중소기업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은 2년 전부터 시작돼 현재 3단계 사업 진행 중”이라며 “내년부터 시스템이 시행되면 모든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현황을 사이트에서 한 눈에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원장은 “필요하다면 중소·중견기업들 대상으로 연구원의 로드맵에 대해 설명회도 개최할 계획”이라며 “연구, 교육, 컨설팅 등 연구원의 기능 중 기업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컨설팅 기능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막연하게 ‘대륙의 꿈’을 꿔서는 안 된다”면서 “스스로의 경쟁력을 높이는 길만이 국내 중소기업의 살 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원장은 “이미 2013년 관계부처합동으로 중국 내수시장 진출을 위해 유통망 진출기반 및 맞춤형 종합지원 체계 구축, 정보제공 및 교육 강화, 중국진출 기업의 현지네트워크 확대 등 큰 카테고리 내에서 다양한 지원을 추진 중”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접근성과 실효성에 대한 일부 비판에도 불구하고 한국 정부는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지원을 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중소기업들은 각종 지원프로그램들을 잘 찾아봐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