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동포들, 그들이 남북한의 중화제가 될수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09-04-16 09:12|본문
중국동포들은 돈 들여 중개인의 손을 빌리거나 시험을 본 후 한국에 온다. 이 버거운 출발에서 나는 1970년대 독일로 간 우리 광부(鑛夫)와 간호사들을 떠올린다.
중국 동포들은 연대의식이 강하다. 뭉쳐야 살기가 낫기 때문이다. 연길식당, 룡정식당, 도문식당, 매화구식당…. 이들의 고향식당 이름이다. 하지만 이들에게도 나름대로 구별이 있다.
요령성 심양, 길림성 연변, 흑룡강성 하얼빈 동포들의 관계는 우리의 영호남과 비슷하다. 정상 비자 소유자와 불법체류자와의 차별도 있다. 정상 비자 소유자라도 고향을 자주 왕래하는 이와 수년간 다녀오지 못한 이와의 차이도 별것 아닌 것 같지만 이들에겐 자존심이 걸린 문제다.
중국 연변에도 문제는 있다. 우리나라로 인력이 나온 만큼 그 사회는 반대로 감소한 것이다. 얼마 전 연길시에 용정과 도문시를 포함시킨 것을 보면 인구 감소의 심각성을 짐작할 수 있다.
중국동포 가운데 엘리트들이 한국뿐 아니라 베이징, 칭다오, 상하이 같은 대도시나 심지어 러시아, 일본, 사이판, 미국까지 진출하기 때문이다. 이 덕에 작은 연길공항은 매일 북새통을 이룬다. 이런 이별 덕에, 아이로니컬하게도 나귀와 인력거가 다니던 연길시내는 불과 십여년 만에 BMW와 벤츠가 힘차게 달린다. 넘치는 차량으로 주차단속을 철저히 하고 있다. 혹자는 옛 중국과 동포사회를 추억하면서 '설마'라고 할지 모르지만 천만의 말씀이다.
이 사회에도 지금 예기치 못한 바람이 불고 있다. 전에는 느끼지 못했던 차별바람이다. 외지에 돈 벌러 간 이가 있고 없고의 차이, 오래된 집과 이제 갓 나간 집과의 차이, 부부가 함께 나간 집과 혼자 나간 집과의 차이다.
다른 바람은 청소년 문제와 노인 복지 문제이다. 외지에 나간 부모와 많은 이혼 탓에 청소년들은 사랑보다 상처를 안고 있다. 중국의 연금제도가 비교적 잘 돼 있지만 농촌의 중국 동포 노인들에게는 요원할 뿐이다.
중국의 동포사회는 아직 옛정이 있는 탓인지 우리 사회에 대한 관심도 크다. 가족 중 누군가가 이곳에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텔레비전 뉴스도 우리와 같은 시간으로 본다.
그런 중국 동포들이 싫어하는 말이 있다. "중국에서 왔어요?" 우리는 관심을 가지고 하는 말이라지만 듣는 이는 비하조로 들린다고 한다. 특히 "중국 어디서 왔느냐?"며 묻는 것은 결례일 뿐 아니라 경계심만 키워 준다고 한다.
통일을 지향한다면 우리나라에 온 중국동포들을 이렇듯 잘 안음으로써 훗날 북한 동포를 안을 수 있는 '안음'을 연습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저 광활한 만주, 동포자치주의 그 땅에 우리 사업체가 입주한다면 지금의 개성공단처럼 휘둘리지 않을 것이며 우리 동포들이 지금처럼 외지에 돈 벌러 가는 아픔과 슬픔을 겪지 않을 것이다.
연변의 특산물이 사과와 배다. 연변의 한 작가는 중국동포의 정체성을 빗대어 사과도 아니고 배도 아니라고 염려했지만 역설적으로 사과도 되고, 배도 되기에 묘한 맛의 힘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도' 아니면 '모' 가 판치는 시대의 그들은 남북한의 중화제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9-04-18 13:51:36 출국/비자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10-11-27 10:43:54 한민족센터에서 이동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