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족은 "한국의 중국시장 진출 열쇠·남북통일 역군"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4-04-03 21:16|본문
재중동포, 중국시장 진출 열쇠·남북통일 역군
김민달 상하이 조선족기업가협회 명예회장 … 상하이에 10만명 거주
재중 조선족 동포는 한중관계의 자산이고 통일 과정과 이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김민달 상하이 조선족기업가협회 명예회장 >
상하이 조선족 동포들은 개혁개방의 중심지에 살고 있어 가장 깨어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과 연계된 사업을 많이 해 상대적으로 친한 성향이 강하다. 한중관계가 잘 돼야 사업도 발전한다는 점 때문에 한국의 미래와 통일에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상하이에 거주하는 주중 동포는 10만명 가량 된다. 1980년대 초반 270여명이 거주했지만 개혁개방 이후 10만명까지 크게 늘었다.
김민달 상하이 조선족기업가협회 고문(명예회장)은 1960년대 초반 대학졸업 후 상하이 푸단대의 중국과학원에 소속돼 제1호 인공위성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문화혁명의 광풍 속에 간첩으로 몰려 11년 동안 고초를 겪은 뒤 명예 회복이 되고 복직했다.
김민달 고문은 상하이 동포 사회에서 맏형 역할을 하고 있다.
김 고문은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이 200만 조선족을 너무나 잘못 보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중수교 직후 한국에서 불법 체류자를 보는 시각으로 동포들을 바라보고 있다는 불만이다.
주중 동포들에 대한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노력도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북한은 김정일 위원장 추모 행사 등 주요 행사 때면 조선족 기업가협회에 초청장 보낸다. 김 고문은 "박근혜 대통령 취임식 등 주요 행사에 참석해달라고 초청장을 보내면 얼마나 좋겠느냐"고 말했다.
최근 재중 동포들의 경제적 위상이 높아져 한국인과 역전 현상이 나타하고 있다. IT, 제조업 등 어느 업종이든 동포 기업가들을 찾아볼 수가 있다. 김 고문에 따르면 지난해 상하이 조선족 동포기업인들 매출액이 15억달러 정도나 됐다. 지난해 LCD용 필름 업체, 반도체용 접착제 생산 공장,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시키는 전환기(Convert) 회사 등이 상하이시가 선정한 선진기업에 포함됐다.
김 고문은 "조선족과 좋은 관계를 맺고 친하게 지낸 한국 사람들은 대부분 성공했다"고 말했다. 주중 동포는 개혁개방 이전에는 200만명 정도였지만 한중 수교 이후 35만~40만명이 해외로 빠져 나갔다. 그 중 60%는 한국에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중국에서 거주하는 동포는 150만~160만명 정도이다.
주중 동포들은 소수민족 중 교육 수준이 가장 높고 상당수가 대도시에 정착해 있다. 최근 연매출 1억위안 이상의 기업들이 각지에서 등장하고 있다. 중국시장에 진출하는 우리 기업들에게 전략적 파트너가 될 수가 있다.
주중 동포는 중국 사회에 한국의 분단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한 여론을 환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소중한 존재이기도 하다. 중국의 학계, 언론계 등과 네트워크를 형성해 한반도 통일에 대한 긍정적 여론 형성에 일조할 수 있다.
김 고문은 "중국에 있는 동포들이 모국에 대한 애국심이 대단하다"며 "특히 남북통일에 관심이 많다"고 말했다. 주중 동포들의 북한에 대한 관심이 크다. 김 고문에 따르면 행사가 있어 초청 받으면 돈도 기부하고 나진 등에 투자도 하고 있다. 상하이 동포 중 나진 지역에 수산업, 부동산, 은행업에 투자하고 있다.
김 고문은 "김정은 정권 이후 중국 정부의 북한에 대한 태도가 변한 것이 사실"이라며 "북한을 무조건 지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독일 통일 당시 구 소련의 역할을 중국이 할 수 있는지 묻는 질문에 "통일 문제를 제3국에 의지해서 해결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당사자가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고문은 "자기민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사람은 자본주의, 사회주의에 대해 말할 자격이 없다"며 민족 통일을 가장 우선 순위에 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고문은 미국, 캐나다 심지어 아프리카를 가도 화교가 잘 사는데, 그 비결은 똘똘 뭉쳤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화교처럼 남북도 중국에 와서 뭉쳐야 서로 잘 살게 된다고 역설했다.
내일신문 김기수 기자 kskim@naeil.com
김민달 상하이 조선족기업가협회 명예회장 … 상하이에 10만명 거주
재중 조선족 동포는 한중관계의 자산이고 통일 과정과 이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김민달 상하이 조선족기업가협회 명예회장 >
상하이 조선족 동포들은 개혁개방의 중심지에 살고 있어 가장 깨어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과 연계된 사업을 많이 해 상대적으로 친한 성향이 강하다. 한중관계가 잘 돼야 사업도 발전한다는 점 때문에 한국의 미래와 통일에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상하이에 거주하는 주중 동포는 10만명 가량 된다. 1980년대 초반 270여명이 거주했지만 개혁개방 이후 10만명까지 크게 늘었다.
김민달 상하이 조선족기업가협회 고문(명예회장)은 1960년대 초반 대학졸업 후 상하이 푸단대의 중국과학원에 소속돼 제1호 인공위성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문화혁명의 광풍 속에 간첩으로 몰려 11년 동안 고초를 겪은 뒤 명예 회복이 되고 복직했다.
김민달 고문은 상하이 동포 사회에서 맏형 역할을 하고 있다.
김 고문은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이 200만 조선족을 너무나 잘못 보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중수교 직후 한국에서 불법 체류자를 보는 시각으로 동포들을 바라보고 있다는 불만이다.
주중 동포들에 대한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노력도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북한은 김정일 위원장 추모 행사 등 주요 행사 때면 조선족 기업가협회에 초청장 보낸다. 김 고문은 "박근혜 대통령 취임식 등 주요 행사에 참석해달라고 초청장을 보내면 얼마나 좋겠느냐"고 말했다.
최근 재중 동포들의 경제적 위상이 높아져 한국인과 역전 현상이 나타하고 있다. IT, 제조업 등 어느 업종이든 동포 기업가들을 찾아볼 수가 있다. 김 고문에 따르면 지난해 상하이 조선족 동포기업인들 매출액이 15억달러 정도나 됐다. 지난해 LCD용 필름 업체, 반도체용 접착제 생산 공장,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시키는 전환기(Convert) 회사 등이 상하이시가 선정한 선진기업에 포함됐다.
김 고문은 "조선족과 좋은 관계를 맺고 친하게 지낸 한국 사람들은 대부분 성공했다"고 말했다. 주중 동포는 개혁개방 이전에는 200만명 정도였지만 한중 수교 이후 35만~40만명이 해외로 빠져 나갔다. 그 중 60%는 한국에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중국에서 거주하는 동포는 150만~160만명 정도이다.
주중 동포들은 소수민족 중 교육 수준이 가장 높고 상당수가 대도시에 정착해 있다. 최근 연매출 1억위안 이상의 기업들이 각지에서 등장하고 있다. 중국시장에 진출하는 우리 기업들에게 전략적 파트너가 될 수가 있다.
주중 동포는 중국 사회에 한국의 분단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한 여론을 환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소중한 존재이기도 하다. 중국의 학계, 언론계 등과 네트워크를 형성해 한반도 통일에 대한 긍정적 여론 형성에 일조할 수 있다.
김 고문은 "중국에 있는 동포들이 모국에 대한 애국심이 대단하다"며 "특히 남북통일에 관심이 많다"고 말했다. 주중 동포들의 북한에 대한 관심이 크다. 김 고문에 따르면 행사가 있어 초청 받으면 돈도 기부하고 나진 등에 투자도 하고 있다. 상하이 동포 중 나진 지역에 수산업, 부동산, 은행업에 투자하고 있다.
김 고문은 "김정은 정권 이후 중국 정부의 북한에 대한 태도가 변한 것이 사실"이라며 "북한을 무조건 지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독일 통일 당시 구 소련의 역할을 중국이 할 수 있는지 묻는 질문에 "통일 문제를 제3국에 의지해서 해결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당사자가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고문은 "자기민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사람은 자본주의, 사회주의에 대해 말할 자격이 없다"며 민족 통일을 가장 우선 순위에 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고문은 미국, 캐나다 심지어 아프리카를 가도 화교가 잘 사는데, 그 비결은 똘똘 뭉쳤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화교처럼 남북도 중국에 와서 뭉쳐야 서로 잘 살게 된다고 역설했다.
내일신문 김기수 기자 kskim@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