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가방 인수한 조선족 거부 신동일,'윈-윈'으로 승승장구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5-06-02 07:41|본문
지난해 9월, 한국을 대표하는 유아용품기업 ‘아가방앤컴퍼니’의 최대주주 자리가 중국 기업인으로 바뀌었습니다. 현지 패션기업 랑즈(朗姿ㆍ이하 랑시(LANCY))그룹 창업자 신동일(43) 회장인데요.
랑시그룹은 2010년 한국에 세운 ‘라임패션코리아’를 통해 아가방앤컴퍼니 최대주주였던 김욱 회장 보유지분 17.8% 가운데 15.3%를 320억원에 인수합니다. 주식 인수는 작년 11월 마무리됐습니다. 올 1분기 아가방앤컴퍼니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랑시코리아㈜로 상호를 바꾼 라임패션코리아는 지분 26.6%를 보유한 최대주주입니다.
공동창업자인 여동생 신금화(40) 사장과 함께 랑시그룹 지분 59%를 갖고 있는 신 회장은 중국동포 3세입니다.
동북 헤이룽장(黑龍江)성 출신으로 1998년 베이징에서 의류무역으로 사업을 일으켜 지금의 랑시그룹을 만듭니다. 현재 중국에서 ‘랑시’는 재킷 하나에 우리 돈 200만원을 호가하는 명품급 브랜드라고 합니다.
탄탄한 실적도 명성을 뒷받침합니다. 2012년 기준 랑시의 영업이익은 2110억원(12억위안)으로 전년 대비 34%가량 늘었습니다. 선전증시에도 상장한 랑시의 시가총액은 지난 22일 현재 2조5620억원(145억6000만위안)에 달합니다.
아가방 지분 인수는 고급 이미지가 붙은 한국 브랜드를 앞세워 급성장하는 중국 유아용품 시장을 빠르게 선점하겠다는 신 회장의 의지가 반영됐습니다. 그는 이달 초엔 알리바바의 주요 파트너로 활약 중인 판매대행업체 지분도 인수했습니다. 아가방의 온라인 마케팅에 주력하기 위해섭니다.
그래서 일까요. 신 회장 행보에 힘 입은 아가방은 국내서도 좋은 대우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알리바바의 마 회장이 한국에 머물고 있던 지난 19일, 아가방앤컴퍼니 주가는 가격제한폭까지 올랐습니다.
결국 신 회장의 한국기업 인수는 자신의 사업확장과 아가방의 중국진출에 모두 도움이 되는 윈윈(win win)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5455억원(31억위안ㆍ후룬연구소 집계) 정도였던 그의 개인자산 규모도 이번 사업을 발판 삼아 ‘점프’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랑시그룹은 2010년 한국에 세운 ‘라임패션코리아’를 통해 아가방앤컴퍼니 최대주주였던 김욱 회장 보유지분 17.8% 가운데 15.3%를 320억원에 인수합니다. 주식 인수는 작년 11월 마무리됐습니다. 올 1분기 아가방앤컴퍼니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랑시코리아㈜로 상호를 바꾼 라임패션코리아는 지분 26.6%를 보유한 최대주주입니다.
공동창업자인 여동생 신금화(40) 사장과 함께 랑시그룹 지분 59%를 갖고 있는 신 회장은 중국동포 3세입니다.
동북 헤이룽장(黑龍江)성 출신으로 1998년 베이징에서 의류무역으로 사업을 일으켜 지금의 랑시그룹을 만듭니다. 현재 중국에서 ‘랑시’는 재킷 하나에 우리 돈 200만원을 호가하는 명품급 브랜드라고 합니다.
탄탄한 실적도 명성을 뒷받침합니다. 2012년 기준 랑시의 영업이익은 2110억원(12억위안)으로 전년 대비 34%가량 늘었습니다. 선전증시에도 상장한 랑시의 시가총액은 지난 22일 현재 2조5620억원(145억6000만위안)에 달합니다.
아가방 지분 인수는 고급 이미지가 붙은 한국 브랜드를 앞세워 급성장하는 중국 유아용품 시장을 빠르게 선점하겠다는 신 회장의 의지가 반영됐습니다. 그는 이달 초엔 알리바바의 주요 파트너로 활약 중인 판매대행업체 지분도 인수했습니다. 아가방의 온라인 마케팅에 주력하기 위해섭니다.
그래서 일까요. 신 회장 행보에 힘 입은 아가방은 국내서도 좋은 대우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알리바바의 마 회장이 한국에 머물고 있던 지난 19일, 아가방앤컴퍼니 주가는 가격제한폭까지 올랐습니다.
결국 신 회장의 한국기업 인수는 자신의 사업확장과 아가방의 중국진출에 모두 도움이 되는 윈윈(win win)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5455억원(31억위안ㆍ후룬연구소 집계) 정도였던 그의 개인자산 규모도 이번 사업을 발판 삼아 ‘점프’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