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왜 유대인을 알아야 하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운영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11-06-22 11:38|

본문

 왜 유대인을 알아야 하나?

 

 오늘날 전 세계 인구 69억명 중 유대인은 크게 잡아도 1700만명 정도이다. 이 얼마 되지 않은 숫자의 유대인이 미국과 세계를 실질적으로 지배한다고 말하면 의아해하는 사람이 많다.

 

 엄청난 과장이라는 반론(反論)도 있다. 그리고 때로는 유대인을 음해(陰害)하려는 불순한 의도 또는 반(反)유대주의로 몰아붙인다. 그렇지만 유대인의 국제적 영향력은 경이적이다. 특히 불과 650만명의 미국 유대사회가 미국, 나아가서는 세계무대에서 가장 커다란 영향력을 갖고 있는 공동체(共同體)로 성장했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키 어려운 사실이다. 

 

 유대인 파워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우선 이들은 권력의 생리를 잘 알고 있다. 과거 이 나라 저 나라에서 눈칫밥을 먹으면서 터득한 지혜이다. 그래서 이들은 권력의 길목을 지키고 있다가 권력이 필요로 하는 부분을 보완적으로 도와주면서 이를 그들의 권력기반으로 삼고 장기적인 관리를 한다. 

 

또한 유대인들은 수적으로 열세(劣勢)라는 약점을 잘 알고 있으므로 그들만이 특화(特化)할 수 있는 권력을 집중적으로 개발했다. 즉, 경성(硬性)권력 중에는 경제력과 금융, 연성(軟性)권력 중에는 문화예술, 그리고 20세기 이후부터 특수권력으로 성장한 언론 등을 3개 축(軸)으로 하여 그들의 권력기반을 확대했다.

 

 유대인은 기원 후 70년 제2차 예루살렘 성전(聖殿) 파괴 후 약 2000년간 전(全)세계를 유랑하면서도 인류사 전반에 걸쳐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지리상 발견, 공산주의 창안, 시장경제와 세계화, 그리고 인류의 운명을 바꾼 수많은 발명과 발견 뒤에는 유대인이 있었다.

 

  언제부터인가 우리는 세계화를 부르짖고 있다. 대외(對外)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가 국제사회에서 생존하려면 세계화는 반드시 필요한 과제이다. 그런데 실상 한국인은 세계화에 필요한 의지와 훈련이 부족하다. 

이는 역사적으로는 중국, 그리고 오늘날에는 미국과의 특수관계에 자족하면서 내부지향성만 키웠기 때문이다. 그래서 세계화의 논리를 만들어 내고 또한 국제사회에서 세계화에 가장 성공한 유대인의 경험과 지혜는 우리의 세계화 노력에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는 오늘날 국제무대에서 벌어지고 있는 주요 사건들의 이면(裏面)에는 유대인이 있다는 사실을 유의해야 한다. 미국발(發) 금융위기, 유가(油價)폭등, 곡물파동, 외환(外換)시세의 변동, 국제신용평가, 중동(中東)의 전쟁위험, 이란 핵(核)문제 등 작금(昨今)의 국제적 관심사의 배경을 잘 살펴보면 유대인의 존재를 더욱 크게 느낄 수 있다. 사실 이런 문제들은 직간접으로 우리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우리도 이제는 유대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최근 들어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유대인의 경계대상으로 떠오른 중국이 유대인 연구에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것도 주목할 점이다.

 

마르크스부터 스필버그까지

역사적으로 이름을 떨쳤거나, 떨치고 있는 유대인들은 이루 헤아릴 수 없다. 그들 가운데 우선 생각나는 이들만 꼽아 보아도 다음 같다.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크리스토퍼 콜럼버스(Chistopher Columbus), 

프랑스의 천문학자이자 예언가 미셀 드 노스트라다무스(Michel de Nostradamus), 

네덜란드의 철학자 바루흐 데 스피노자(Baruch de Spinoza), 

국제금융의 시조(始祖) 마이어 암셸 로스차일드(Mayer Amschel Rothschild), 

공산주의의 창시자 카를 마르크스(Karl Marx), 정신분석학의 태두(泰斗)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고전음악과 현대음악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한 작곡가 겸 지휘자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 상대성원리를 내놓은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매독의 특효약인 살바르산을 추출한 파울 에를리히(Paul Ehrlich), 

소아마비 백신을 개발한 요나스 살크(Jonas Salk), <심판> 등의 작품을 남긴 소설가 프란츠 카프카(Franz Kafka),

 화가 아마데오 모딜리아니(Amadeo Modigliani),

 원자폭탄 개발계획인 맨해튼 프로젝트를 지휘했던 로버트 오펜하이머(Julius Robert Oppenheimer), 

‘수소폭탄의 아버지’로 불리는 에드워드 텔러(Edward Teller)와 오이겐 비그너(Eugen Wigner),

 <닥터 지바고>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보리스 파스테르나크(Boris Pasternak),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새뮤얼슨(Paul Samuelson), 

오늘날 세계금융을 지배하는 미국의 중앙은행 FRB(연방준비제도이사회)체제를 만든 파울 바르부르크(Paul Warburg),

 헨리 키신저(Henry Kissinger) 전 미(美)국무장관, 

언어학자이자 대표적 반(反)세계화 지식인 노엄 촘스키(Avram Noam Chomsky),

 ‘자선가’와 ‘악덕투기꾼’이라는 상반된 평판을 갖고 있는 금융투자자 조지 소로스(George Soros), 영화감독 스티븐 스필버그(Steven Spielberg), 

국제통화기금(IMF) 총재인 도미니크 스트로스 칸(Dominique Strauss-Kahn) 등.

 

오바마 백악관의 유대인들

 

 국제 유대권력의 핵심은 역시 미국 유대인들이다. 19세기 중반 미국으로 건너온 30여만명의 독일계 유대인과 19세기말~20세기 초 미국에 정착한 250만명의 동(東)유럽계 유대인이 미국 유대인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오늘날 미국 유대인 인구는 약 650만명으로 유대인들이 건국한 이스라엘보다 100만명 정도 더 많다.

 

 미국 유대인 사회는 총인구 30만명 선일 때부터 이미 연방정부 각료연방대법관을 배출하면서 미국 주류(主流)사회에 두각을 나타냈다. 특히 역대 민주당 정부하에서 유대 인사들의 국정 참여가 두드러졌는데, 케네디를 승계한 린든 존슨(Lyndon B. Johnson)이나 빌 클린턴(William Clinton) 정부하에서 유대인이 각료 또는 각료급 공직에 대거 포진했다.

모계(母系) 쪽으로 유대인의 피를 받았다는 설(說)이 있는 버락 오바마(Barack Obama) 대통령 정부 내에서도 적지 않은 유대인이 국정에 참여하고 있다.

 

최근 시카고 시장 출마를 위해 백악관 비서실장직에서 사임한 람 이매뉴얼(Rahm Israel Emanuel)은 미국 유대 정치인 중 핵심적 인물이다. 그의 부친은 이스라엘 건국 전 대영(對英)항쟁을 벌였던 무장단체 이르군(Irgun)에 참여했던 정통파 유대인이다. 이매뉴얼은 1991년 걸프전 때 이스라엘군에 자원입대하기도 했다.

 

이매뉴얼과 가장 가까운 친구인 데이비드 액설로드(David Axelrod)도 유대인이다. 시카고트리뷴지(紙) 기자 출신의 정치공학 전문가인 그는 지난 2008년 대통령 선거 시 오바마의 선거전략을 맡았다. 오바마 정부 출범 후에는 백악관 특임(特任)보좌관으로 국내정치와 관련한 내밀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모나 서트펜(Mona Sutphen) 백악관 비서실 차장은, 아버지는 흑인이지만 어머니가 유대인이다. 서트펜은 미국 내 강력한 권력체 중 하나인 외교평의회(CFR·Council on Foreign Relations) 회원이기도 하다. 샐리 카첸(Sally Katzen)은 법률학자 겸 교수로 한때 오바마의 법률고문을 지냈다.

 

제임스 스타인버그(James Steinberg) 국무부 차관은 미국 외교정책의 핵심인물로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전략 전문가이다. 스타인버그도 CFR 회원이다. 국무부 기획운영담당 차관으로 있다가 각료급 요직인 연방예산실장을 맡은 제이컵 루(Jacob Lew)는 클린턴 정부 시절에도 예산실장을 지낸 바 있는 인물이다.. 루의 전임자로 2009년부터 1년간 연방예산실장을 맡았던 피터 오르스작(Peter Orszack)도 오바마 정부 초기에 활동한 유대인 중 한 명이다.

 

오바마의 경제팀에도 쟁쟁한 유대인 실력자들이 많다. 오바마 경제팀의 수장(首長) 격인 로버트 루빈(Robert Rubin)은 클린턴 정부 시절 재무장관을 지냈으며, 외교평의회의 부의장이다. 재무장관과 하버드대 총장을 지낸 로런스 서머스(Lawrence Summers)는 루빈의 직계 인맥으로 국가경제위원장에 임명되었다. 뉴욕 FRB의장 출신의 티머시 가이트너(Timothy Geitner)도 유대인이라는 설이 있다.

 

MIT 생물학교수인 에릭 랜더스(Eric Landers)와 노벨의학상 수상자인 해럴드 바머스(Harold Varmus)는 대통령직속 과학기술자문위원회 공동의장이다. 벤 버냉키(Ben Shalom Burnanke) FRB(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장은 우크라이나계 유대인이다.

 

종신직인 9명의 미 연방대법관 가운데는 3명이 유대인이다. 클린턴 정권 시절 임명된 스티븐 브레이어(Stephen Breyer)와 루스 베이더 긴스버그(Ruth Bader Ginsburg), 지난 7월 오바마 대통령에 의해 임명된 엘레나 케이건(Elena Kagan)이 그들이다.

 케이건은 윌슨 대통령 시절인 1916년 유대인으로는 최초로 임명된 루이스 브랜다이스(Louis Brandeis) 이후 여덟 번째 유대인 연방대법관이다.

 

오늘날 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유대인을 뽑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대상자가 넘치기 때문이다. 이들 대부분은 미국 유대인이다. 세계 초(超)강대국인 미국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인물은 결국 국제사회에서도 상당한 영향력을 누릴 수밖에 없다.

 

이 많은 유대인사 중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인물은 단연 헨리 키신저이다. 닉슨-포드 대통령 시절 국가안보보좌관, 국무장관 등을 지낸 그는 정부를 떠난 후에도 강연, 집필, 로비활동 등으로 상당한 영향력을 견지하고 있다.

 

키신저와 리처드 펄  

특히 키신저는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권력결사체로 불리는 미국의 외교평의회(CFR), 유럽과 북미(北美)지역의 유력인사 모임인 빌더버그그룹(Bilderberg Group), 북미·유럽·아시아의 엘리트로 구성된 삼변회(TC·Trilateral Commission) 등 3개 기구 모두 참여하는 몇 안되는 인물 중 하나다. 그는 국제판도의 큰 흐름을 주도적으로 기획·설계하는 국제엘리트의 수장 격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금융은 물론 세계경제 전반에 걸쳐 절대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는 미국 중앙은행 FRB는 초대(初代) 의장인 찰스 해믈린(Charles Hamlin)을 비롯해 역대 의장의 절반 가량이 유대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 의장인 벤 버냉키, 그의 전임자로 18년간 FRB의장을 지낸 앨런 그린스펀(Alan Greenspan)도 유대인이다.

 

네오콘의 대표적 이론가인 리처드 펄(Richard Perle)은 레이건 대통령 시절 국방차관을, 1987~2004년 국방정책자문위원단장을 지냈다. 

 

그는 대(對)중동 강경정책을 주도하면서 아프간전쟁, 이라크전쟁의 분위기를 띄운 인물이다. 정부기구뿐 아니라 각종 민간연구소 활동에도 열성적으로 참여하면서 네오콘의 저변을 확대시키고 있는 그는 외교평의회, 빌더버그그룹, 삼변회 등 3개 기구 모두에 회원으로 참가하고 있다.

  

역시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미국 유대인 중 국제적으로 영향력 있는 인물이 있다. 바로 헨리 크라비스(Henry Kravis)이다. 

 

그는 컬럼비아대 MBA과정을 마치고 지난 2007년 미국 금융위기 때 도산한 투자회사 베어스턴스(Bear Stearns)에 입사(入社)해 투자전문가로서의 경력을 쌓았다. 1970년대 중반 크라비스는 사촌인 조지 로버츠(George Roberts), 베어스턴스 시절 동료인 유대인 제롬 콜버그(Jerome Kohlberg) 등 3인 동업(同業)으로 자신들의 이름 첫 글자를 딴 KKR이라는 투자회사를 설립했다. KKR은 경영상태가 어려운 기업을 헐값에 매입하여 자금을 투입해 회생시킨 후 높은 가격으로 다시 매각하는 M&A(인수합병)전문의 ‘기업사냥꾼’이다. 

이들이 인수한 기업 중에는 미국의 유명한 과자업체 나비스코, 완구체인점 토이스러스, 건전지 제조사 듀라셸 등이 포함되어 있다. 크라비스는 록펠러 가문과도 절친한 사이다. 그는 외교평의회, 빌더버그, 삼변회 그리고 다보스포럼 등에 참여하면서 국제적인 지위를 높이고 있다.

 

구글·페이스북 설립자도 유대인

 

전 세계 검색 사이트 중 랭킹 1위인 구글(Google)의 창업자는 유대인 청년 두 명이다. 구(舊)소련 태생인 세르게이 브린(Sergei Brin)과 전자학도 래리 페이지(Larry Page)는 25세이던 1998년 구글을 설립, 불과 10여년 만에 세계 제1의 인터넷 기업으로 키웠다.

 

마크 주커버그(Mark Zukerberg)는 2004년 2월, 만 20세의 나이에 하버드대 기숙사 룸메이트인 유대인 더스틴 모스코비츠(Dustin Moskovitz)와 함께 페이스북(Facebook)을 만들었다. 그는 앞으로 미국 각계에서 지도층으로 성장할 미국 명문사학(Ivy League) 학생들 간의 소셜 네트워크를 만들어 장기적인 인맥관리를 하겠다는 생각에서 페이스북을 만들었는데, 이후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전 세계에 확산됐다.

 

 우크라이나계 유대인 노엄 촘스키도 세계여론을 주도하는 인물이다. 50년간 MIT대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그는 세계 최고의 언어학자이자, 국제주의와 신자유주의, 패권주의에 반대하는 진보적 지식인으로 이름을 떨치고 있다. 

그는 다른 유대 지식인들과는 달리 이스라엘을 일방적으로 옹호하지 않고, 팔레스타인 측과의 대화와 타협을 통한 평화적 해결을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다.

 

  미국의 할리우드 영화계는 전통적으로 유대인들의 독무대지만, 그들 중에도 ‘미다스의 손’으로 불리는 제작자 제리 브룩하이머(Jerry Bruckheimer)는 단연 돋보인다. 독일계 유대인인 그는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와 TV 수사극 시리즈 등으로 이름을 떨치고 있다. ‘할리우드에서 가장 강력한 권력을 갖고 있는 인물’로 꼽히는 그는 <포브스>지(誌)가 매년 선정하는 세계의 100대 부호 명단에도 자주 이름을 올리고 있다.

 

  영향력 있는 많은 미국 유대 언론인 중 단 한 명을 꼽으라면 토머스 프리드먼(Thomas Friedman)을 들 수 있다. ‘세계화의 전도서’로 알려져 있는 <렉서스와 올리브나무>를 지은 그는 한 번도 타기 어렵다는 퓰리처상을 세 번(1983, 1988, 2002년)이나 수상했다.

 

한국과 유대인

  1950~70년대 한국경제에 큰 영향을 끼쳤던 유대인 거상 사울 아이젠버그. 

 

바깥세상과는 오랫동안 담을 쌓고 지냈던 한국인은 유대인과 접촉할 기회가 그다지 많지 않았다.

아마 근세 이후 한국과 최초로 인연을 맺은 유대인은 1950년대 자유당 시절부터 제3공화국 말기까지 약 25년간 한국의 외국차관(借款) 도입 중개에 깊이 간여했다고 알려진 독일·스위스계 유대인 거상(巨商) 사울 아이젠버그(Saul Eisenberg·1921~1997년)일 것이다. 독일 뮌헨 태생인 그는 타고난 상재(商才)로 유럽과 이스라엘을 연결하는 대형 사업을 벌여 거부가 됐다. 

그는 오스트리아계 유대인인 프란체스카 여사를 통해 한국과 인연을 맺었다고 한다. 이스라엘 정보기관인 모사드와도 협조관계를 맺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 그는 월남패망 후 공산베트남에 억류됐던 이대용(李大鎔) 공사 석방을 위해 막후에서 활동했으며, 중국-이스라엘 간 관계개선 교섭에도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1950년 한국전쟁 때 이스라엘은 약 17만 달러 상당의 의약품을 우리에게 원조했다. 약 200여명의 미국 유대인 장병이 한국전쟁에 참전했는데, 이들의 랍비였던 차임 포톡(Chaim Potok)은 귀국 후 철학자이자 문인으로 명성을 날렸다.

 

한국과 이스라엘은 1962년 외교관계를 수립하였으며, 1964년에는 주한 이스라엘대사관이 개설되었다. 

 

이스라엘공관은 제1차 석유파동 이후 박정희(朴正熙) 정부가 이스라엘과 거리를 두면서 1978년 2월 ‘기술적인 이유’로 잠정 철수했다가 1992년 다시 복귀했다. 이스라엘의 집단농장 키부츠는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모델이 됐다고 한다.

 

러시아 태생으로 한국에 귀화한 후 활발한 기고 및 저술 활동을 하고 있는 좌파성향 역사학자 박노자(朴露子·본명 블라디미르 티호노프)는 부계(父系)가 유대인이다.

 

IMF사태와 유대자본

 

1997년 12월 한국은 혹독한 IMF 사태를 겪었다. 마하티르 말레이시아 총리는 아시아 외환(外換)위기 당시 “외환위기는 동남아를 위시한 신흥공업국의 경제를 국제 유대자본에 예속시키려는 국제 유대자본의 음모”라고 주장하면서 유대계 금융투자가인 소로스를 이 음모수행의 주범으로 몰아세웠다. 때문에 그는 반유대주의자 또는 인종주의자로 몰리기도 했다. 

 

 

이런 비난에도 불구하고 그는 IMF가 내놓은 처방과는 정반대로 변동환율제를 고정환율제로 바꾸고 이를 밀고나가 성공을 거둠으로써IMF 방식만이 최선의 해결책이 아님을 입증했다. 반대로 한국과 태국은 모두 IMF가 제시한 강압적이고 불평등한 처방을 전면수락하고 말았다.

 

IMF사태 이후 한국의 시중은행 거의 모두가 평균 50%가 넘는 외국자본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이것은 IMF 사태 당시 국제 금융자본의 한국 금융시장 개방압력을 전폭 수용한 결과이다.

 

현재 한국 금융기관에 투자한 국제자본의 주류는 전통적으로 건실한 대형 국제 금융기관이 아닌 게릴라성 사모(私募)펀드나 단기 투기자금이다. 여기에는 골드만삭스 등 유대계 자본이 커다란 비중을 차지한다. 외국인이 우리 주식을 소유하는 비중도 거의 50%선에 육박한다. 이들 자금 모두는 설비투자가 아닌 은행, 보험, 증권에 집중되어 있다. 

 

 

이런 현상은 기업활동의 목표가 생산증대나 고용확대라는 사회적 책무에서 오직 단기 고수익으로 전환되는 반사회적 현상을 야기하게 된다. 

 

 

만약 한국이 이들의 이해에 반하는 정책을 펴서 국제자본의 불만을 사게 되면 이들은 일시에 투자자금을 모두 회수해서 다른 국제 투기시장으로 이동할 것이다. 이렇게 될 경우 한국은 과거 1997년 IMF사태보다 더욱 심각한 위기를 겪어야 할지도 모른다.

 

물론 한국에 투자한 외국자본이 모두 유대자본이라고는 할 수 없다. 대형 투자컨소시엄의 경우 투자주체의 세부적인 분류도 쉽지 않다. 유대자본이 국제 자본시장에서 가장 커다란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므로 우리는 이러한 잠재적 위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미리 개발해 두어야 할 것이다.

 

한국인과 유대인의 공통점  

 

유대계 연방대법관들. 왼쪽부터 긴스버그, 브레이어, 케이건. 

 

지난날 필자가 미국서 근무할 때 우리 동포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질문을 자주 받았다. “한국인과 유대인 사이에는 여러 가지로 공통점이 많은 것 같은데, 어째서 우리는 유대인들처럼 미국에서 빨리 성공하지 못하는가” 하는 질문이었다.

이들의 말처럼 한국인과 유대인은 신기할 정도로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한국인과 유대인은 모두 평균적으로 머리가 좋고 영리하며 부지런하다.

 

둘째, 머리와 직결되는 것이 바로 교육이다. 우리나 유대인 모두 광적인 교육열을 보인다. 20세기 초 러시아와 동유럽에서 미국으로 건너간 가난한 유대인이나, 우리나 모두 교육이라면 만사를 제쳐 놓고 최우선순위를 부여했다.

 

 셋째, 한국이나 유대인 모두 여성의 주도적인 역할이 매우 크다. 결혼 후에도 여자가 배우자의 성(姓)으로 바꾸지 않고 처녀 때의 성을 그대로 쓰는 민족은 한국인과 유대인밖에 없다. 또한 교육과 가정경제를 이끌어 나가는 주체가 여성인 점도 한국과 유대인 사회에서만 볼 수 있는 현상이다.

 

특히 유대인의 경우, 유대인의 정체성을 말할 때 유대인 어머니나 할머니가 기준이지, 부계(父系)는 비중이 작다. 가령 유대인 어머니와 비유대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은 자동적으로 유대인이 되는 반면, 아버지만 유대인인 경우는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조건부로 인정받는다.

반면에 한국인과 유대인 간에는 차이점도 적지 않다.

 

우선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다. 바로 시공(時空)개념의 차이이다. 아마도 신토불이(身土不二)의 영향인지는 모르지만 한국인은 유독 공간에 집착한다. 우리는 토지와 집에 유난히 애착을 느낀다. 이는 민족주의적 배타성만 키우게 된다. 이런 정서는 국제무대로 뻗어 나가는 데 분명 장애가 된다.

 

반면, 유대인은 나라 없이 2000여년 간 세계를 떠돌다 보니 공간보다는 ‘시간’과 ‘기회’에 더욱 커다란 비중을 둔다. 

 

유대인들에게는 국적(國籍)이 큰 의미가 없다. 유대인 중 이중 삼중 국적자가 많은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이다.

대신 시간과 기회를 활용하는 데는 유대인을 따라갈 수 없다. 유대인이 개발한 시간차를 이용한 금융소득이나 재(財)테크, 그리고 미국정착을 그들의 마지막 기회로 여기고 분투하여 오늘날 커다란 성취를 이룬 것 모두 유대인들의 시간과 기회를 극대화한 좋은 예이다.

 

둘째, 교육에서도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교육에 대한 열정이라는 점에서만 공통점이 있을 뿐 교육의 진정한 목표와 교육의 질에 있어서는 커다란 차이점이 있다.

 

우리의 교육은 한마디로 경쟁, 전투형이다. 많은 인구 중에서 경쟁자를 물리치고 학교에 들어가고 직장에도 들어가야 한다. 그러므로 지식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보다는 각종 시험을 통과해서 승리하기 위한 기술을 터득하는 것이 교육의 목표로 변질되고 있다. 

우리의 유교식 교육전통은 일방적인 지식의 주입에만 치우치고 지적호기심과 상상력을 허황한 것으로 규정해 왔다. 그렇다고 실용성을 중시한 것도 아니다. 이래서는 지식을 응용하여 실생활에 필요한 지혜를 만들기 어렵다.

 

유대인은 다르다. 유대인들은 우리와 같이 맹목적으로 지식을 주입시키는 것을 교육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그들은 우선 지식에 대한 근본적인 개념을 이해시킨다. 

 

 이 개념이 구체화되어야 새로운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풍부한 상상력과 창의력이 배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유대인을 만나 무엇을 물어보면 이들 대부분은 즉답을 피하고 질문자에게 다른 각도에서 반문한다. 즉, 일문일답식이 아닌 토론이 양자 간 대화에도 적용된다. 이 토론은 교육방식에도 그대로 나타난다.

 

즉, 교수의 일방적인 주입식 강의를 지양(止揚)하고 학생 간 토론, 학생과 교수 간 토론 등으로 다양한 사고와 접근방법을 유도하여 각자가 항상 새로운 것을 찾아내게 한다.

바로 이 유대인의 창의력 교육이 인구에 비해 많은 노벨상 수상자와 국제적인 석학을 배출케 만든 원동력이다.

 

유대인, 기부문화 중시

 

셋째, 세계화의 경험이다. 한국인이 집단으로 해외에 나간 것은 1960년대 브라질 등 남미 농업이민과 1970년대 미국으로 건너간 대규모 이민이 전부이다. 

그리고 우리는 역사적으로 외국을 침략하거나 지배해 본 경험이 없어서 외국서 정착하여 무엇을 이루어 보겠다는 선의의 모험정신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세계화의 필요성은 절감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세계화가 체질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비해 유대인들은 오랫동안 많은 나라를 전전하면서 국제화를 체험적으로 익혔다. 그리고 최근에는 세계화의 제반 조류를 그들의 페이스로 끌고갈 수 있는 기반까지 마련했다.

 

넷째, 유대인은 논리적이고 이지적(理智的)인 데 반해 우리는 감성이 보다 앞선다는 점이다. 유럽으로 말하면 라틴계 민족이나 아일랜드인의 기질과 비슷하다. 한국인은 인정이 많은 반면 때로는 격정적이기도 하다. 즉, 우리에게는 ‘기분’이라는 것이 있다. 바로 이 기분과 신바람이 과거 경이적인 경제성장을 이룬 한국형 역동성(力動性)을 만들어냈다. 그래서인지 모르나 우리는 논리적인 것을 피하는 경향이 있다. 누가 이론을 들먹이며 따지고 들면 편협한 사람으로 치부한다.

 

그러나 유대인은 사려 깊고 논리적이다. 논리적인 사람을 만나면 피곤하게 느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논리적인 사람일수록 정확한 판단을 하며, 따라서 ‘기분’에 근거한 오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에게는 자선이나 기부의 전통이 부족하다. 아마도 오랜 기간 어렵게 살다 보니 남에게 베푸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웠는지도 모른다.

 

유대인들도 미국 정착 초기에는 모진 고생을 한 뒤 안정된 기반과 재력을 쌓았다. 이렇듯 어렵게 이룬 부(富)임에도 불구하고 유대인은 자선과 기부활동에 매우 적극적이다. 그들은 자선을 장기적 관점의 투자로 여긴다.

 

현대사회는 기부를 부의 사회환원과 분배라는 차원에서 선행(善行)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기부를 많이 하는 사람은 존경도 받고 사회적인 영향력도 커진다. 

 

특히 미국의 경우 유대인의 적극적인 자선활동은 이들의 지위를 크게 향상시키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0

CEO인생노트 목록

CEO인생노트 목록
알리바바 CEO 마윈의 명언 40선 인기글 알리바바 CEO 마윈의 명언 40선 “很多人失败的原因不是钱太少,而是钱太多”“많은 사람들이 실패하는 이유는 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돈이 많아서이다.”알리바바가 미국 시장에 상장했다. 상장과 동시에 구글, 애플, MS에 이어 시가총액이 IT업계 4위로 등극하면서 사람들은 알리바바에 대해, 특히…(2017-02-27 15:29:44)
마크 주커버그 페이스북 CEO 經營 指針 8가지 인기글 마크 주커버그 페이스북 CEO 經營 指針 8가지 마크 주커버그는 소셜네트워킹서비스회사 페이스북의 창업자이자 CEO입니다. 컴퓨터 프로그래머인 그는 하버드대학교를 중퇴하고 CEO로서 회사 경영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그는 2004년 더페이스북닷컴(2005년 페이스북으로 이름을 바꿈)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이 검색서비스를 통해 하버드생들이 자신의 정보와 사진을 그가 고안한 템플릿에 올렸으며 불과 2주 만에 전체 학생의 절반이 가입하는 기록을 세웠다고 합니다. 그 후 룸메이트인 더스틴 모스코비츠와 …(2017-02-27 15:55:35)
마윈과 손정의…그들은 어떻게 최고 기업인이 됐을까 인기글 마윈과 손정의…그들은 어떻게 최고 기업인이 됐을까​평범한 삶을 살던 그들은 어떻게 최고 기업인이 됐을까.대중의 이런 궁금증에 대한 답변이 될만한 최고경영자(CEO) 평전이 잇따라 출간됐다. ​ ​24일 출간된 '마윈'(열린책들)은 최근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인 '광군제(光棍節)'에서 매출 신기록을 세워 다시 한번 주목…(2017-02-27 16:33:30)
당신이 부자가 되려면 알아야 할 40가지 인기글 당신이 부자가 되려면 알아야 할 40가지 1. 스스로 돕는 것만이 성공과 부를 얻는 길이다2. 탁월한 존재가 되겠다는 열망을 품어라3. 무엇을 하든 최고가 되어라4. 일할 의욕이 일한 시간을 만든다5. 병졸 신분에서도 장군의 꿈을 가져라 6. 지식과 경험을 총동원하여 집중하라7. 실패한 경험이 없다면 결과물도 없다8. 세심한 전문성이 승패를 좌우한다9. 인덕을 쌓는 것도 성공의 자질 중 하나이다10. 개인적인 비극을 발상 전환의 계기로 삼아라 11. 개인적인 이득을 떠나야 위대한 성과가 나온다…(2017-04-06 22:14:18)
인생이 끝나는 날까지 .. 인기글 우리는 모두 인생이라는 경기를 뛰는 선수다. 돈을 많이 벌었다는 것이 명예를 높이 쌓았다는 것이 공부를 많이 했다는 것이 인생에서의 승리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중요한 것은 내 안의 가능성과 잠재력으로 인생이라는 경기에서 성실히 임했다는 자부심이다. ​아직 원하는 곳에 도달하지 못했더라도 아직 되고자하는 사람이 되지 못했더라도 계속 전진하는 법만은 잊지 말아라. ​아직 그대 안에 깊이 잠자는 잠재력과 가능성을 인생의 끝나는 마지막 날까지 개발하라(2018-08-03 17:18:46)
한계라고 인정하는 것 외에는 한계란 없다. 인기글 자신감의 한계는당신을 두 갈래 길로 데려가,대단히 의미심장한 양자택일을 강요한다.당신은 두려움이 깊어지는 길로 갈 수도 있고, 용기가 태동하는 길로도 갈 수 있다.가장 쉽고 가장 유혹적인 길은더 이상의 실패를 피하는 것이다.자신감을 잃으면,더 이상 모험을 하지 않는 편이한결 안전해보인다.​다른 길은 더 어려운 반면그만큼 삶을 새롭게 해준다.그 두려움이야 이루 말할 수 없지만,한 인간으로서 성장하려는 사람에게는정말 이길 밖에 없다.어쨌거나 전진하는 것이다.- 도널드 맥컬로우, 모자람의 위안 중에서 …(2018-06-16 01:52:37)
시간에 관한 명언을 잘 보고 실행하라 인기글 1. 시간을 지배할 줄 아는 사람은 인생을 지배할 줄 아는 사람이다.-에센 바흐-​2. 시간의 걸음걸이에는 세 가지가 있다.미래는 주저하면서 다가오고, 현재는 화살처럼 날아가고, 과거는 영원히 정지하고 있다.-F. 실러-​3. 짧은 인생은 시간낭비에 의해 더욱 짧아진다.-S. 존슨-4.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활동이요, …(2017-10-16 18:28:14)
인생팔미(人生八味)란 ?. 인기글 인생팔미(人生八味)가 중용에 나온다.인생의 참맛을 아는 사람은 인생의 즐거움을 누리는 사람이라고 하니 팔미를 살펴봅니다.​一味,배를 채우기 위해 먹는 음식이 아닌, 맛을 느끼기 위해 먹는 음식의 맛.二味,돈을 벌기 위해 일하는 것이 아닌,삶의 의미를 찾기 위해 일하는 직업의 맛.​三味,남들이 노니까 노는 것이 아닌,진정…(2017-10-16 18:24:24)
영향력 있는 사람은 결코 하지 않는 4가지 인기글 영향력 있는 사람은 결코 하지 않는 4가지남에게 책임 전가 안하고...​영향력 있는 사람들은 그들의 성공에 기여한 몇 가지 습관들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그들은 끊임없이 자신의 한계에 도전하고 성실한 업무 자세를 갖고 있다.​이와 함께 영향력 있는 사람들은 결코 하지 않는 몇 가지 것들이 있는데 이야말로 그들의 장기적인 성공에 있어 중요한 것들이다. 미국의 경제매체 ‘비지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가 영향력 있는 사람들은 결코 하지 않는 것 4가지를 소개했다.​◆남을 탓한다…(2017-10-16 17:30:40)
결혼 잘하려면 연애를 많이 하라! 인기글 결혼 잘하려면 연애를 많이 하라!사는 건 다 똑 같다는 걸 알려면? 사람이 연애를 하다가 결혼을 결정하는 것은, 그 사람과 평생 살고 싶기 때문이다. 그런데 연애도 잘 못하는 사람이 있다. 아예 연애를 하려고 하지 않는 사람도 많다. 결혼을 잘 하고 싶으면 먼저 연애를 잘 해야 한다. 우리가 옷을 사다보면 자기에게 맞는 옷을 잘 사게 되는 것처럼, 공부를 하다보면 요령이 생기는 것처럼, 연애를 하다보면 여자나 남자를 보는 눈도 생긴다. 헤어지고 가슴 아파하면서 사랑에 대해서 시행착오를 거치게 된다…(2017-10-16 17:02:08)
인생과 시간 인기글 인생과 시간시간은 모든 원료와 같은 것이다. 시간이 있으면 모든 것이 가능해지고, 시간이 없으면 모든 것이 또 불가능해진다. 사람은 누구나 하루 24시간을 산다. 시간의 세계에서는 천재라고 해서 1분 1초 더 받는 것도 아니고, 바보라고 해서 덜 받는 것도 아니다. 또한 미래의 시간을 앞당겨서 쓸 수도 없다. 단지…(2017-08-29 21:34:33)
인생에서 핵심적인 것들 인기글 * 인간의 3가지 좋은습관1. 일하는습관 2. 운동하는습관 3. 공부하는습관​* 인간을 감동시키는 3가지 액체1. 땀 2. 눈물 3. 피* 3가지 만남의 복1.부모 2.스승 3.배우자* 남에게 주어야 할 3가지1. 필요한이에게 도움2. 슬퍼하는 이에게 위안3. 가치있는 이에게 올바른 평가​* 내가 진정 사랑해야할 세사람1. 현명한 사람 2. 덕있는사람 3. 순수한사람​* 반드시 소유해야할 3가지1. 건강 2. 재산 3. 친구* …(2017-08-29 20:44:28)
당신은 퓨처마킹을 하고 있는가? 인기글 당신은 퓨처마킹을 하고 있는가? “이제 벤치마킹의 시대는 끝났다. ‘퓨처마킹’의 시대가 왔다!”- 톰피터스​2006 년 9월 방한했던 세계적인 경영 구루(guru) 톰 피터스는 ‘퓨처마킹(future marking)이라는 조금은 낯설지만 중요해 보이는 단어 하나를 우리에게 던져주고 갔다. ​퓨처마킹이란 무슨 뜻일까? 모든 것이 너무나 고도화된 결과, 지난 50년 동안 잘 굴러갔던 제품과 서비스, 그리고 그것을 만들었던 성공방식들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시대가 왔기에, 이제는 최고를 베끼던 ‘따…(2017-08-29 21:10:59)
벤치마킹를 넘어 푸처마킹 생각을 열자 인기글 세상은 끊임없이 바뀌어 간다. 예전에 당연하다고 생각하던 것은 사라지고, 예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던 일들이 주변을 채우고 있다. 이제 벤치마킹의 시대는 갔다. 이제는 퓨처마킹의 시대다.성공 사례를 벤치마킹 할 것이 아니라미래 사람들의 생각과 생활을 미리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은 당연하지 않지만 미래에 당연해질 것들을 찾아내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뜻이다.지금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부정하는 특별한 생각이 미래를 바꾼다. ​사람들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던 정서를 뚫고 일…(2017-08-29 21:09:40)
단순해서 단순치 않는, 삶에 대한 명언 10개 인기글 단순해서 단순치 않는, 삶에 대한 명언 10개 ○아름다움을 아는 영혼은 때때로 혼자서 걸을 것이다.○재능은 고독 속에서 이루어지며, 인격은 세파 속에서 이루어진다.○과거를 잊는 자는 결국 과거 속에서 살게 된다.​○마법은 스스로를 믿는 것이다. 그럴 수만 있다면 어떤 일도 일어나게 할 수 있다.○아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적용해야 한다. 의도로만 충분치 않다. 실천해야 한다.○행동은 심상을 보여주는 거울이다.​○고쳐주면 많은 것이 이뤄진다. 그러나 북돋우면 그 이상이다.○사람은 오로지 자신이 이해…(2017-08-29 20:27:21)
大器晩成큰 그릇은 더디게 만들어진다. 인기글 큰 그릇은 더디게 만들어진다.大器晩成(대기만성)​ 이 유명한 사자성어는 『도덕경』의 다음 대목에서 나왔다. “가장 큰 네모에는 모서리가 없고, 가장 큰 그릇은 더디게 만들어지며(만들어지지 않고), 가장 큰 소리는 들리지 않고, 가장 큰 형상은 형태가 없다.”(大方無隅, 大器晚成, 大音希聲, 大象無形) 동한 말, 최염(崔琰)은 원소(袁紹)와 조조(曹操)의 문객을 지냈다. 조조 밑에서 상서 벼슬을 하고 있을 때 조조는 큰아들 대신 작은아들 조식(曹植)을 후계자로 삼고자 했다. ​최염은 강력하게 반…(2017-07-30 15:19:15)
<나를 강자로 만드는 몸관리비법 10가지> 인기글 &lt;나를 강자로 만드는 몸관리비법 10가지&gt; ​1.정신이 먼저라고 생각하지마라 대부분의 현대인은 머리쓰는일에만 많은시간을 할애한다. 나는 반대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몸을 관리하면 정신과 마음까지 관리할수있기때문이다. 반대로 정신적인부분만 관리하면 몸이서서히 망가진다. 기억하자. 몸이먼저다. 2.일찍자고 일찍일어나라 숙면을취하려면밝을때 일어나고 어두우면자는것이 좋다. 전문가들은 잠자리에 드는시간에 따라 잠의품질이 달라지니 너무 늦게 자는것은 피하라고 조언한다. 낮에 몸을 최대한 많이…(2017-05-06 19:15:09)
인생 명언 26가지 인기글 1. 진짜 비밀은 차라리 개에게 털어 놓아라.2. 때로는 알면서 속아 주어라.3. 잘난 척하면 적만 생긴다.4. 지적은 간단하게 칭찬은 길게~5. 말은 입을 떠나면 책임이라는 추가 기다린다. 6. 사랑이라는 이름으로도 잔소리는 용서가 안된다.7. 표정의 파워를 놓치지 말라.8. 소소한 변화에 찬사를 보내면 큰 것을 얻는다.9. 말을 하기 쉽게 하지 말고 알아 듣기 쉽게 하라.10. 덕담은 많이 할수록 좋다. 11. 흥분한 목소리 보다 낮은 목소리가 더 위력있다.12. 두고두고 괴씸한 생각이 드는…(2017-04-24 09:26:22)
몇장의 사진에서 인생을 많이 배우기 인기글 1, 사장과 리더의 구별점 2,방향이 틀리면 노력할수록 궁지에 몰린다 3, 독서을 하는 이유 4,자기 잠재력개발은 과정이 힘들지만 인생은 잠재력 개발에서 자기을 발견하며 성장한다5,자원이 많은 사람보다 자원을 활용할줄 아는 사람이 성공한다6,당신을 도와주려는 사람이 진심이 아닐수도 있다…(2017-04-19 22:38:09)
서정주의 「만주에서」 인기글 시 「만주에서」​참 이것은 너무 많은 하늘입니다. 내가 달린들 어데를 가겠습니까. 홍포(红布)와 같이 미치기는 쉽습니다. 몇 천년을, 오 - 천년을 혼자서 놀고 온 사람들이겠습니까. 종보다는 차라리 북이 있습니다. 이는 멀리도 안 들리는 어쩔 수도 없는 사치입니까. 마지막 부를 이름이 사실은 없었습니다. 어찌하여 자네는…(2017-04-06 23:18:46)
상위 3%에 속하고 싶다면 반드시 해야 할 8가지 인기글 상위 3%에 속하고 싶다면 반드시 해야 할 8가지1 . 뚜렷한 목표를 설정하라.​당신을 일직선으로 나가게 만들어 준다.당신이 사용할 시간은 당신이 생각하는 것만큼 많지가 않음을 명심하라.닥치는 일들을 잘 처리하면 되는 것 같지만 사실은 그렇지 못하다.​문제는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더 많은 문제를 직면하게 될 것이다."피그말리온 효과" 간절히 원하는 일은 반드시 이뤄진다는 효과이다.​뚜렷한 목표는 목표달성을 이루게 하고 나아가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뚜렷한 목표는 간절히 원하는 일들이 있어야만 …(2017-02-27 14:10:54)
[朱子十悔訓 - 주자십회훈] 인기글 [朱子十悔訓 - 주자십회훈] (사람이 평생을 살아가면서 하기 쉬운 후회 가운데, 중국 송대(宋代)의 유학자 주자가 제시한 열 가지 해서는 안 될 후회.) 01. 不孝父母, 死後悔(불효부모 사후회) - 부모님에게 효도하지 않으면 돌아가신 뒤에 후회한다. 02. 不親家族, 疎後悔(불친가족 소후회) - 가족에게 친절히 대하지 않으면 멀어진 뒤에 후회한다. 03. 少不勤學, 老後悔(소불근학 노후회) - 젊었을 때 부지런히 배우지 않으면 나이 먹은 뒤에 후회한다. 04. 安不思難, 敗後悔(안불사난 패후회)…(2017-01-20 17:13:38)
인맥관리 성공학 인기글 &lt;인맥 만들기 성공학&gt;1. 생명의 은인처럼 만나라.만나는 사람마다 생명의 은인처럼 대하라. 항상 감사하고 어떻게 보답할 것인지 고민하라. 그사람으로 인하여 운명이 바뀌었고 또 앞으로도 바뀔 것이라 생각하고 대하라. 언젠가 그럴 순간이 생기면 기꺼이 너의 생명을 구해 줄 것이다.2. 적을 만들지 말라친구는 성공을 가져오나 적은 위기를 가져오고 성공을 무너뜨린다. 조직이 무너지는 것은 3%의 반대자 때문이며 10명의 친구가 한 명의 적을 당하지 못한다. 쓸데없이 남을 비난하지 말고 항상 악…(2016-11-28 13:28:41)
인생에는 정답이 없다 인기글 인생에는 정답이 없다​인생에는 정답이 없다자기가 선택한 대로 사는것뿐이다.그런데 우리가 이럴가 저럴가 망설이는것은 선택에 대한 책임을지고싶지 않기때문이다.​젊어서는재력이 있어야 살기 편안하나늙어서는 건강이 있어야살기가 편안하다.​젊어서는 재력을 쌓느라 건겅을 해치고늙어서는 재력을 허물어건강을 지키려 한다.​재산이 많을수록죽는것이 더욱 억울하고인물이 좋을수록 늙는것이 더욱 억울하다.​아파봐야건강의 가치를 알수 있고늙어봐야 시간의 가치를알수 있다.​권력이 너무 커서철창 신세가 되기도 하고재산이 너무 …(2016-11-14 18:18:20)
자기조절 능력 인기글 자기조절 능력 비인지 능력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그릿(grit)이다. 그릿은 자신이 세운 목표를 위해 꾸준히 노력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그릿은 자신이 세운 목표를 위해 열정을 갖고 온갖 어려움을 극복하며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수 있는 마음의 근력이다. ​그릿은 스스로에게 동기와 에너지를 부여할 수 있는 힘, 즉 '자기동기력'과 목표를 향해끈기 있게 전진할 수 있도록 스스로를 조절하는 힘, 즉 '자기조절력'으로 이루어진다.(2014-09-15 10:47:32)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