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한의학과 음양오행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09-03-27 14:35|

본문

음양(陰陽)학설은 모든 자연은 음(陰)과 양(陽)의 배합으로 이루어지고 음양이 생성하면서 천지만물이 변화한다는 동양사상의 기본이 되는자연철학(自然哲學)이다. 인간은 우리들을 에워싸고 있는 기후, 계절, 토양 등 생활여건에 따른 환경의 지배를 받고 있다. 즉 우주 속에서 살고 있으며 우주의 자극을 받으며 살고 있는 것이다. 그러한 환경에서 살고 있는 인체의 활동기전도 우주의 그것과 같으므로 인체를 소우주(小宇宙)라고 부른다. 자연철학의 원리와 원칙에 따르는 한의학(韓醫學)은 우리 선조들의 지혜에 의해 계승되고 발전된 것으로, 우리들의 인체도 우주와 같은 유기체로 보아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며, 인체기관의 모든 활동과 작용을 자연의 섭리인 음양의 조화로서 파악하고 또 인식하고 있다.


■ 음양에 대한 이해

우주에 있는 모든 사물은 하나이면서도 모두 상대되는 두개의 면이 포함되어 있다. 즉 동전은 하나이지만 앞면과 뒷면은 각각 상대되는 두 면인 것과 같이, 이 두 면을 각각 음과 양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하늘과 땅, 해와 달, 바다와 육지, 낮과 밤, 추위와 더위, 남자와 여자, 육체와 정신, 삶과 죽음, 위와 아래, 내부와 외부, 움직임과 안정, 물과 불, 내쉬는 숨과 들여 마시는 숨, 밝음과 어둠, 허와 실 등이다. 앞면이라는 것이 있어야만 뒷면이라는 것이 있듯이 이러한 음과 양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항상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이 음과 양이 항상 대립과 통일, 소장(消長)과 전화(轉化)되면서 사물이 발전되고 변화된다는 것이다.

절대적인 것이 아닌 상대적인 음양을 좀더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몇 가지 예를 통해 알아보자. 인간은 하나이면서 남자와 여자로 구성되어 있다. 남자는 여자와 비교해서는 양이다. 그러나 양의 남자인 경우에도 상체는 양이며, 하체는 음이다. 앞가슴과 배가 있는 앞쪽은 음이요, 뒤쪽에 있는 등은 양이다. 또 앞의 위인 앞가슴은 양이고, 아랫배는 음이다. 그러므로 앞가슴은 음중의 양(陰中之陽)인 셈이며, 아랫배는 음중의 음(陰中之陰)이 되는 것이다. 이런 까닭으로 어떤 사물도 절대적, 대립적으로 존재하는 음이나 양은 없으며 서로가 상대의 존재에 의하여 음 또는 양으로 존재한다.

체내의 생리적인 면에서 예를 들어보면, 음으로 대표되는 물질의 생성은 양으로 대표되는 에너지 양에 의존하는 것이고, 양으로 대표되는 에너지 양은 음으로 대표되는 물질의 기초에 의존하는 것이다. 여기서 물질과 에너지는 궁극적으로는 같은 것이지만 어느 한 쪽만을 부각시키면 물질(理)과 에너지(氣)는 별개의 것으로 취급되는 것이다. 이처럼 서로가 상대의 존재에 의존하기 때문에 늘 상호제약과 협조작용이 일어나게 되며 이를 통해서 음양의 평형이 유지된다. 이를 "음양의 소장(陰陽消長)"이라고 한다.

■ 한의학과 음양

음양의 기본철학을 바탕으로 신체의 질병치료와 예방, 진단등에 적용한 것이 바로 한의학이다.
병리적인 면에서 음양을 구별하는 예를 들어보면, 인체 내에 음이 넘치게 되면 음에 해당되는 몸 속이 차가워지고, 부족하면 체내에 미열이 발생한다. 반대로 양이 넘치면 양에 해당되는 몸의 겉으로 열이 나고, 부족하면 체외가 차가워진다.
이러한 논리에 의하면 다른 사람에 비해 손발이 항상 차가운 사람은 극도로 양이 부족한 까닭이며, 폐결핵 환자가 오후만 되면 조열(潮熱)이 생기는 것은 음이 극도로 부족한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러한 사람에게는 식품 중에서도 신체의 양, 또는 음을 북돋우는 식품이 현재상태에서는 가장 필요하며, 그러한 약재들의 성분을 공급하여 신체의 음양의 균형을 맞추고자 하는 것이 한의학의 기본철학이다.

이처럼 어느 것의 과잉과 부족이라는 것에 의해 체내의 음양의 평형이 깨어지면 그에 따라 동적(動的)인 변화가 오는데, 서로가 상대의 존재에 의해서 존재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음양이므로, 계속해서 음이 부족하면 결국은 양도 부족하게 되고, 마지막에는 음양이 모두 부족하게 되어 음과 양의 능동적 상호관계가 유지되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유기체인 생명체가 활동을 정지하여야 하는 치명적인 상태에 이르고 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음과 양이 늘 평형이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 이것이 한의학에서 말하는 예방의학의 기본이며, 양생(養生)의 기본조건이 된다.

이상과 같은 음양이론은 비단 생리적인 면과 치료법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해부, 병리, 진단 등 모든 한방의학에서 기초적인 이론에 속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한방에서 약을 처방 하는 예를 하나 들어보자. 같은 결과를 나타내는 질병에도 양증(陽症)을 나타내는 것과 음증(陰症)을 나타내는 것이 있고, 여기에 처방 되는 약에도 음약과 양약이 따로 있다. 설사를 하는 증세에도 양증 설사에는 음약(맛이 쓰고 성질이 찬 설사약)을 써야 하고, 음증설사에는 양약(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한 설사약)을 사용하여야 된다는 것이다. 만일 이것이 뒤바뀌게 되면 설사는 치료가 가능할지는 몰라도 상당한 부작용이 따르게 된다. 서양의학에서는 위장이 아프면 위장에 약을 직접 투약하고, 설사라면 어떤 설사이든 투약하는 약이 단순한, 직접적인 치료를 하지만, 동양의학인 한의학은 신체의 평형을 맞추어 줌으로서 질병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여 치료하는 간접적인 치료 의학이다.


■ 한의학과 오행

한의학에서의 오행이론(五行理論)은 이와 같은 자연철학의 개념이 좀더 확대되어 의학적인 실천개념과 결합된 것이다. 즉 물질의 속성(屬性)을 다섯 가지의 추상적인 개념으로 나누고 이것의 상호관계와 그 생성변화를 설명하는 일종의 사상체계를 의학에 적용한 것이다. 음양이론은 음과 양이라고 하는 두개의 현상이 대립과 통일, 소장되는 것으로서 우주의 현상을 관찰하는 이론이고, 오행 이론은 다섯 가지의 연쇄적 상호관계로 우주의 유기적인 순환, 즉 우주의 움직임과 계절의 변화, 생물의 성쇠와 같은 만물의 변화를 통일적으로 설명하려는 이론이다.

오행의 오(五)는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의 다섯 가지 개념이다. 이 다섯 가지 중에서는 서로 지원하고, 협조, 촉진, 조장관계를 갖는 것이 있는데 이를 상생(相生)관계라고 부른다. 알기 쉽게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물은 나무를 키우므로 수생목(水生木)이요, 나무는 불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목생화(木生火)이며, 불이 사그라지면 흙이 되는 것이므로 화생토(火生土)요, 흙 속에서 쇠(금)가 나오므로 토생금(土生金)이요, 금에서 물이 생성되므로 금생수(金生水)가 되는데 이를 소위 상생의 관계라고 한다.

반면에 서로간에 돕고 협조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제약하고 저지하는 관계로 존재하는 것이 있으니 이를 상극(相克)관계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나무가 흙보다 강하므로 목극토(木克土)이고, 쇠가 나무보다 강하니까 금극목(金克木)이며, 물에 의해 불은 꺼지게 되니 수극화(水克火)이고, 불로서 쇠를 녹이니까 화극금(火克金)이며, 흙으로 물은 막혀버리니까 토극수(土克水)가 된다. 아래 그림은 이와 같은 관계를 알기 쉽게 도표로 나타낸 것으로 원을 그리는 화살표는 상생의 관계를 나타내며, 별 모양을 그리면서 직선으로 된 화살표는 상극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 오행과 신체의 기관

이상과 같은 오행의 상생과 상극의 개념을 확장하여 오장육부의 관계에 적용하는 지혜를 한의학에서는 일찍이 발휘하여 질병의 치료에 적용하여 왔다. 이와 같은 오행의 속성을 인체의 내장기관과 관련시켜 서로 돕고, 억제하여 일어나는 생리현상과 병리현상을 설명하는 예를 들어보자.
오장육부라는 용어에서, 장(臟)에 해당되는 기관은 인간의 생명이 잉태되어서 그 활동이 정지될 때까지 끊임없이 그 활동을 자동적으로 유지하는 장기를 이르며, 부(腑)에 해당되는 기관은 필요할 때만 그들의 활동이 있는 기관을 일컫는다.

오장을 오행의 속성으로 분별하면 간(肝臟)은 목, 비(脾臟과 胃)는 토, 폐(허파)는 금, 신(生殖器官과 膀胱)은 수, 심(心臟)은 화이다. 이런 까닭에 상생관계에서는 목생화(木生火)이므로, 목에 속하는 간의 활발한 활동은 화에 속하는 심장의 활동을 돕지만, 반면에 상극관계에서는 목극토(木克土)이므로 토에 속하는 비장의 활동, 즉 소화기관의 활동은 도리어 제약한다. 한편 간장의 제약을 받는 비장(토)은 토생금의 관계에서 금에 속하는 폐를 지원하며, 폐는 금극목이므로 간을 제약하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 신체내의 오장의 생리활동이 서로 도와 협조하는 것이 있는가 하면 억제하고 저지하는 것으로, 이것이 궁극적으로는 전 기관이 물고 물리는 식으로 서로 조장과 억제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우리 신체의 각 부분이 이와 같이 통일적으로 서로 관련되어 있는 것처럼, 인체와 자연환경과의 상응관계도 이와 비슷하다. 이를 보다 알기 쉽게 관찰하고 설명하기 위해서 그 속성이나, 형태, 현상등이 비슷한 것끼리 묶어 오행의 각각에 속하도록 다섯으로 나누어 놓았다. 현대의 시각(視覺)으로 보면 약간은 무리가 따른 면도 없지는 않지만, 전체적인 측면에서 보면 상당히 합리적인 분류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옛날부터 우리들이 사용한 생활용어에 오장(五臟), 오관(五官), 오지(五志), 오색(五色), 오곡(五穀)등 다섯이란 숫자가 들어 있는 낱말이 많은 것도 이런 연유에서 비롯된 것이다.
구분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오장(五臟) 간(肝) 심(心) 비(脾) 폐(肺) 신(腎)
육부(六腑) 담(膽) 소장(小腸) 위(胃) 대장(大腸) 방광(膀胱)
오관(五官) 눈 혀 입 코 귀
오체(五體) 근육 맥 살 피부,털 뼈
오지(五志) 화냄 기쁨 근심 슬픔 무서움
오기(五氣) 바람 더위 습기 건조 추위
오색(五色) 파랑 빨강 노랑 흰색 검정
오미(五味)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오성(五星) 호(呼) 말(言) 노래(歌) 곡(哭) 신음(呻吟)
분비물 눈물 땀 침 콧물 

[오행과 사물의 속성]

이 표를 보면 목(木)에 속하는 간은 담낭, 눈, 근육, 화내는 일, 바람, 푸른색, 신맛, 내쉬는 숨, 눈물과 같은 칸에 있으므로, 이들은 같은 속성을 지닌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을 알기 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간에서 분비되는 소화액인 담즙은 담낭에서 보관되며, 만일 간이 좋지 않으면 목의 속성을 가진 눈이 충혈 되거나 노랗게 되든지 시력이 감퇴되기도 한다. 또 근육의 경련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 간의 기능이 나빠지면 화를 내기 쉽고, 간이 좋은 상태에 있다가도 너무 화를 자주 내면 혈당치가 높아지면서 간의 기능이 나빠진다. 같은 속성을 지닌 푸른 색깔을 가진 야채나 과일 및 곡식(껍질의 색깔)은 간을 보(補)해 주며, 맛 중에서도 신맛은 간을 보할 수 있다.

임신부가 임신 초기에 살구와 같은 신 것이 먹고 싶은 것은 태아의 발육으로 간기능이 허약해져 있으므로 본능적으로 신맛이 있는 음식을 먹어서 간의 기능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자연의 섭리이다. 그러나 지나치게 신 것을 많이 먹으면 목극토이니까 토에 해당되는 비장(脾臟)의 기능이 저하된다. 또 간의 기능이 좋지 않으면 얼굴 색이 검거나 누렇게 될 수도 있고 눈물이 많아진다. 이 얼굴에 종종 청색을 띄게 되면 질병의 정도가 심한 징조이다. 사람들의 얼굴 색을 보고 그 사람의 건강, 나아가서는 내장의 건강정도를 짐작하는 것은 이와 같은 오행의 속성으로 판별하는 것이다.


■ 음양오행과 자연건강

자연생활요법 역시 한의학과 마찬가지로 음양오행의 철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원칙적으로 우리들의 건강한 신체는 인체내의 모든 장기의 활동과 기능은 서로 보완, 협조, 지원 및 대립과 억제의 균형이 잡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균형을 확보하는 것이 바로 자신의 건강을 확보하는 지름길이 된다는 것이 기본철학이다.

자연식과 적절한 운동, 조화로운 마음가짐을 기본으로 하는 자연생활요법에서 어느 한 쪽이 부족함이 없도록 균형 있는 식생활을 강조하고, 운동요법과 특수요법을 통해서 장기의 생리를 조절하여, 장기의 활동에 이상이 없도록 한다는 의미에서 한의학과 뿌리를 같이하는 건강요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조건을 늘 유지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우리의 신체가 자연계의 음양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우리의 평소생활에서 내적소인(內的素因)과 외적요인(外的要因)과의 인과관계에 남거나 모자람이 없도록 항상 노력해야 한다.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10-11-28 09:35:30 벼륙시장에서 이동 됨]
0

身心건강 목록

身心건강 목록
[열람중]한의학과 음양오행 인기글 음양(陰陽)학설은 모든 자연은 음(陰)과 양(陽)의 배합으로 이루어지고 음양이 생성하면서 천지만물이 변화한다는 동양사상의 기본이 되는자연철학(自然哲學)이다. 인간은 우리들을 에워싸고 있는 기후, 계절, 토양 등 생활여건에 따른 환경의 지배를 받고 있다. 즉 우주 속에서 살고 있으며 우주의 자극을 받으며 살고 있는 것이다. 그러한 환경에서 살고 있는 인체의 활동기전도 우주의 그것과 같으므로 인체를 소우주(小宇宙)라고 부른다. 자연철학의 원리와 원칙에 따르는 한의학(韓醫學)은 우리 선조들의 지혜에 의…(2009-03-27 14:35:24)
얼굴에 나타나는 건강상식 인기글 이마 한방에서 이마는 폐와 관련이 있다고 본다. 폐는 인체의 오장 중 가장 위쪽에 있는데, 얼굴에서도 마찬가지로 이마가 제일 위에 있기 때문. 이마에 뾰루지가 난 경우에는 폐를 보호해주는 우유가 좋다. 단 소화가 잘 안 되는 사람은 피할 것. 또 매실이나 케일 주스를 마시는 것도 효과적. 음식이나 운동으로 땀을 내는 것도 좋다. 볼 얼굴의 볼 부분에는 위장 경락이 흐른다. 그래서 소화가 제대로 안 되면 경락이 막혀 볼에 뾰루지가 나게 된다. 볼에 뾰루지가 난 사람은 과식은 절대 금…(2009-03-27 14:33:32)
홍경천 -백두산에서 자생하는 신비의약초 인기글 홍 경 천 (紅景天) Rhodiola rosea 백두산, 중국 티베트 및 한국 강원도 일원 고산에서 자생하는 “홍경천”은 전 세계적으로 알려진 약용식물로 알려진 시기는 80년 정도이며 한국에서는 1990년부터 아세아민간교류협회를 통하여 포천에 재배를 시작하였다. 중국은 정부차원에서 본초강목에 없던 식물을 "현대본초"로 수정판을 만들어 학술화학성분: 홍경천은 주로 뿌리를 약용으로 하며 중요한 유효 성분은 사리드로시드(Salidroside) 및 배당체 티로솔(Tyrosol)이다. 이외에 또…(2009-03-27 14:30:42)
아침밥을 먹어야 하는 이유 5가지 인기글 첫 번째. 피로를 업고 산다.눈 뜨기 무섭게 출근 전쟁이 시작되면 흔들리는 버스 안이나 비좁은 지하철 안에서 온갖 진 풍경이 연출됩니다. 학창 시절 선생님 눈을 피해 졸던 실력 발휘해서 서서 자는 사람들, 반쯤 눈뜨고 자는 사람들, 입 벌리고 유리창에 머리 찢어가며 조는 사람들, 아예 코까지 골아가며 옆사람에게 온몸을 맡기고 조는 사람들. 다양한 생김새 만큼이나 조는 모양새도 제각각이죠. 그렇게 조는 사람들 보고, 누군가는 도 대체 지난 밤에 잠 안자고 뭘 했길래 출근길, 등교길에 이렇게 조느냐고…(2009-03-27 14:28:35)
몸 짱 되는 5가지 방법 인기글 1. 매일 15분씩 낮잠을 자라 피로는 쌓인 즉시 풀어야지 조금씩 쌓아두면 병이 된다. 눈이 감기면 몸이 피곤하다는 얘기. 억지로 잠을 쫓지 말고 잠깐이라도 눈을 붙인다. 15분간의 낮잠으로도 오전 중에 쌓인 피로를 말끔히 풀고 오후를 활기차게 보낼 수 있다. 2. 아침식사를 하고 나서 화장실에 가라 현대인의 불치병, 특히 학생들의 고민거리인 변비를 고치려면 아침식사 후 무조건 화장실에 갈 것. 화장실에 가라는 ‘신호’가 없더라도 잠깐 앉아 배를 마사지하면서 3분 정도 기다리자. 아침에 화장실에 …(2009-03-27 14:27:18)
색갈속에 건강이 숨어있다 인기글 붉은색 과일중 도마도, 수박, 딸기에 많이 들어있는 색이다. 심장병, 뇌졸증, 시력감퇴 및 몇가지 암을 예방하는것으로 알려져있다. 로화를 지연시키는 작용을 하며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페의 기능을 증진시킨다. 보라색 포도, 가지, 자두에 많이 들어있는 색이다. 일반적으로 지방의 섭취는 심장병과 혈관질환의 발병과 밀접한 련관을 가지고있다. 그런데 프랑스사람들의 경우 지방의 섭취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심장병발병률은 그다지 높지않은것으로 나타나고있다. 그 리유는 포도주에 있다. 포도…(2009-03-27 14:26:14)
건강하게 살 수 있는 13가지 지혜 인기글 ★ 머리를 두들겨라!손가락 끝으로 약간 아플 정도로 머리 이곳 저곳을 두들기라는 겁니다. 두피가 자극되어 머리도 맑아지고 기억력이 좋아져 학업성적이 향상되며, 빠지던 머리카락이 새로 생겨나고 스폰지 머리(두피가 떠 있는 상태)가 치유되며 머리카락에 산소와 영양분이 원활히 공급되므로 윤기가 흐르며 아름답게 됩니다. ★ 눈알을 사방으로 자주 움직여라!눈알을 좌우로 20번, 상하로 20번 대각선으로 20번,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20번, 시계 반대 방향으로 20번, 손을 부벼서 눈동자를 지그시 눌렀다…(2009-03-27 14:25:01)
性와 건강 --- 가벼운 바람은 건강에 더 좋다 인기글 당신의 애인과 파티에 갔다.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와중, 당신의 애인이 다른 이성과 웃고 떠들고 있는 것을 목격했다. 혹시 바람을 피우고 있는 것일까? 이 상황에서 당신은 어떻게 할 것인가?1. 다가간다. 그 사람과 애인 사이에 끼어들어 자신을 소개한다. 2. 애인을 믿는다. 이런 곳까지 와서 상식에 어긋나는 행동은 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주의 깊게 살펴는 본다. 3. 애인에게 웃어 보이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라 암시한다. 왜 이런 것을 물어 보느냐고?미국에서 파티 뒤에 연인끼리 싸움이 종종 벌…(2009-03-27 14:23:21)
뚱뚱한 사람 효과짱 귤 껍데기 다이어트 방법 인기글 겨울에 가장 인기 있는 과일은 귤이다. 귤은 감기예방과 피로회복에 효과적이며 흔하게 구할 수 있어 서민들의 대표적인 과일이라 할 수 있다. 한방에서 보는 은 잎, 껍질, 씨를 모두 약재로 쓰고 꽃을 차의 재료로 이용할 만큼 하나도 버릴 것이 없는 과일이다. 특히 귤 껍질은 한방에서 중요한 약재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귤껍질은 좋다는 걸 알면서도 농약오염의 불안감으로 인해 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잘만 관리해서 활용하면 훌륭한 보약이 된다. ◇ 뚱뚱한 이에게 귤은 ‘독’일수도 귤…(2009-03-27 14:21:29)
샤워·세안할 때 바른 ‘물 사용법’ 인기글 우리의 피부는 수분, 단백질, 지질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중 수분이 약 70%를 차지한다. 피부의 표피는 10~20%의 수분을, 진피는 70~70.5%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을 때 가장 맑고 건강해 보인다. 하지만 나이 들거나 건조하고 오염된 환경에서 오래 지내다 보면 피부의 수분 함유량은 점점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수분 부족은 바로 피부 노화의 주범이다. 세안할 때는 미지근한 물너무 뜨거운 물을 사용하면 잔주름이 생기기 쉽다. 피부의 단백질과 수분을 빼앗기기 때문. 반대로 너무 차가운…(2009-03-27 14:20:05)
혈액형ㆍ체질로 본 건강 관리법 인기글 ▶태음인, 폐(肺)小 간(肝)大=내성적이고 내것을 지키는 것을 좋아하는 성격이 많다. 과묵하고 말수가 적고 움직이는 것을 싫어한다. 살찌고 아랫배가 많이 나온 경우가 많다. 태음인은 체내 독소를 땀으로 빼내야 하기 때문에 조깅이나 스쿼시, 헬스 등 지구력을 키울 수 있는 운동을 꾸준히 해줘야 한다. 술을 잘 먹거나 음식 소화력이 뛰어나지만 큰(大) 간(肝)을 맹신해 술을 많이 마셔 지방간 등을 일으킬 수 있다.▶소양인, 비(脾)大 신(腎)小=급하고 신조가 강한 성격. 소양인은 근력을 키우는 운동으…(2009-03-27 14:19:04)
젊게 사는 비법 78가지 인기글 젊게 사는 비법 78가지 美 로이진 교수가 쓴 ‘생체나이 고치기’ 친구와 매일 통화땐 8년 젊어져미국 뉴욕주립대(SUNY) 의대 학장인 마이클 로이진 교수는 ‘달력나이’보다 젊어지는 78가지 방법들과 이 방법을 실천했을 때 젊어질 수 있는 연수(年數)를 제시했다. 최근 출간한 그의 저서 ‘생체나이 고치기(The Real Age Makeover)’를 통해서다. 그는 생물학적 건강 상태가 주민등록상 ‘달력나이’와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생체(生體·몸)나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그가 개발한…(2009-03-27 14:18:12)
50세 넘으면 아스피린 매일 복용해야 인기글 50세 넘으면 아스피린 매일 복용해야50대 이상의 나이에 심장마비와 뇌졸중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저단위 아스피린을 매일 복용해야 한다고 영국의 전문가가 주장했다고 텔레그래프 인터넷판이 13일 보도했다. 심혈관 질환과 아스피린에 관한 연구의 선구자인 카디프대학 의과대의 피터 엘우드 교수는 최근 런던에서 아스피린재단 주최로 열린 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그에 따르면 아스피린 복용시 뇌줄중 및 심장마비를 약 3분의 1까지 줄일 수 있으며 소량의 아스피린을 매일 복용하면 암과 알츠하이머 예방에…(2009-03-27 14:15:02)
80세 넘도록 장수하는 9가지 비결 인기글 80세 넘도록 장수하는 9가지 비결미국 호놀룰루 소재 태평양건강연구소 연구팀은 하와이 거주 일본계 미국인 약 6천명에 대한 약 40년 간에 걸친 연구에서 80세 이상 건강하게 장수하기를 바라는 중년 남성들에게는 9가지 요소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이 9가지 요소는 ▲낮은 혈압 ▲낮은 혈당 ▲낮은 악성 콜레스테롤 수치 ▲강한 악력(握力) ▲높은 교육 수준 ▲과음하지 않기 ▲금연 ▲결혼 ▲과체중 피하기 등이다. 검사를 통해 측정되는 악력은 상체의 힘을 잘 보여준다.이번 연구에 포함된 남성들…(2009-03-27 14:11:18)
무병장수의 비밀 `삼쾌(三快)`의 조건 인기글 무병장수의 비밀 `삼쾌(三快)`의 조건잘 먹고, 잘 자고, 잘 배설하는 것이 장수의 비결`예로부터 전해 오는 무병장수의 핵심요소는 바로 `삼쾌(三快)`이다. 쾌식(快食), 쾌면(快眠), 쾌변(快便)이 가장 중요한 건강 열쇠라는 것. 간단해 보이지만 실천은 어려운 일이기도 하다. 먼저 쾌식의 조건. 전문가들은 "쾌식은 `좋은 음식`과 `유쾌하고 만족스럽게 식사한다`는 조건이 필수" 라고 전했다. 이 때 `좋은 음식`은 바로 순창 지방의 식단과 같은 전통적인 식단을 뜻한다. "잡곡밥과 온갖 채소, 나…(2009-03-27 14:10:04)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