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독감의 모든 정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09-05-12 13:58|본문
돼지독감(Swine Flu)은 무엇인가요?
사람과 마찬가지로 돼지도 인플루엔자, 즉 독감에 걸리게 되는데 사람과 감염되는 바이러스의 종류는 다르다.
따라서 원칙대로라면 사람과 돼지는 서로 다른 바이러스에 의해 독감에 걸리게 되고 사람의 독감 바이러스는 돼지에게 돼지의 독감 바이러스는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다.
하지만 매우 드물게 이번의 돼지독감처럼 사람과 돼지에 동시에 감염되는 바이러스가 등장해, 감염된 돼지와 직접적으로 접촉한 사람에게 병을 옮기기도 한다.
특히 이번 돼지독감의 경우 매우 특이하게도 돼지와 직접 접촉하지 않은 사람에게도 감염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사람 대 사람 감염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전세계가 두려워하는 것도 바로 이 사람 대 사람 감염 때문이다.
돼지독감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돼지독감의 증상은 열, 기침, 인후통, 몸살, 두통, 오한, 피로 등 일반 독감과 비슷하다. 이외에도 간혹 설사, 구토 등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들은 여러 가지 많은 질환에서 동반하는 증상이기 때문에 이런 증상이 있다고 해서 돼지독감은 아닐까? 라며 심각하게 고민할 필요는 없다.
돼지독감의 증상이 나타났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최근 멕시코나 미국을 다녀온 사람들이 위의 돼지독감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밖으로 나오지 말고 보건소 등 보건당국에 전화를 걸어 자신의 증상에 대해 설명해야 한다. 돼지독감으로 진단을 받더라도 우리나라는 이미 충분한 량의 타미플루와 의료기술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치료 가능성이 높아 큰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돼지독감은 어떻게 전파되나요?
지금 유행하는 돼지독감은 확실히 일반 독감처럼 전파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감염된 사람의 몸이나 분비물을 통해 직접적으로 감염되기도 하고 기침 등을 통해 방출된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이 일어나기도 한다.
돼지독감의 치료는?
이번 돼지독감은 타미플루 등 항 바이러스 제제에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한다. 미국 질병관리통제센터(CDC)는 돼지독감의 증상이 있은 48시간 안에 치료를 시작할 것을 권고했다. 우리나라는 현재 전 국민의 5%인 250만 명 분의 타미플루를 확보하고 있으며 10%로 늘릴 계획이라고 한다.
예방백신은 있나요?
없음. CDC와 WHO에 따르면 현재 개발 중이라고 한다.
독감 예방접종을 받았는데 혹시 돼지독감에도 효과가 있나요?
없음. 이번 시즌 독감 바이러스 균주와 지금 유행하는 돼지독감은 전혀 다른 것으로 서로 연관이 없다. 게다가 이번 돼지독감은 지금껏 나타나지 않은 전혀 새로운 종류의 바이러스로 보인다고 한다.
돼지독감을 예방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나요?
CDC는 다음과 같은 예방 수칙을 발표했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돼지도 인플루엔자, 즉 독감에 걸리게 되는데 사람과 감염되는 바이러스의 종류는 다르다.
따라서 원칙대로라면 사람과 돼지는 서로 다른 바이러스에 의해 독감에 걸리게 되고 사람의 독감 바이러스는 돼지에게 돼지의 독감 바이러스는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다.
하지만 매우 드물게 이번의 돼지독감처럼 사람과 돼지에 동시에 감염되는 바이러스가 등장해, 감염된 돼지와 직접적으로 접촉한 사람에게 병을 옮기기도 한다.
특히 이번 돼지독감의 경우 매우 특이하게도 돼지와 직접 접촉하지 않은 사람에게도 감염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사람 대 사람 감염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전세계가 두려워하는 것도 바로 이 사람 대 사람 감염 때문이다.
돼지독감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돼지독감의 증상은 열, 기침, 인후통, 몸살, 두통, 오한, 피로 등 일반 독감과 비슷하다. 이외에도 간혹 설사, 구토 등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들은 여러 가지 많은 질환에서 동반하는 증상이기 때문에 이런 증상이 있다고 해서 돼지독감은 아닐까? 라며 심각하게 고민할 필요는 없다.
돼지독감의 증상이 나타났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최근 멕시코나 미국을 다녀온 사람들이 위의 돼지독감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밖으로 나오지 말고 보건소 등 보건당국에 전화를 걸어 자신의 증상에 대해 설명해야 한다. 돼지독감으로 진단을 받더라도 우리나라는 이미 충분한 량의 타미플루와 의료기술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치료 가능성이 높아 큰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돼지독감은 어떻게 전파되나요?
지금 유행하는 돼지독감은 확실히 일반 독감처럼 전파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감염된 사람의 몸이나 분비물을 통해 직접적으로 감염되기도 하고 기침 등을 통해 방출된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이 일어나기도 한다.
돼지독감의 치료는?
이번 돼지독감은 타미플루 등 항 바이러스 제제에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한다. 미국 질병관리통제센터(CDC)는 돼지독감의 증상이 있은 48시간 안에 치료를 시작할 것을 권고했다. 우리나라는 현재 전 국민의 5%인 250만 명 분의 타미플루를 확보하고 있으며 10%로 늘릴 계획이라고 한다.
예방백신은 있나요?
없음. CDC와 WHO에 따르면 현재 개발 중이라고 한다.
독감 예방접종을 받았는데 혹시 돼지독감에도 효과가 있나요?
없음. 이번 시즌 독감 바이러스 균주와 지금 유행하는 돼지독감은 전혀 다른 것으로 서로 연관이 없다. 게다가 이번 돼지독감은 지금껏 나타나지 않은 전혀 새로운 종류의 바이러스로 보인다고 한다.
돼지독감을 예방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나요?
CDC는 다음과 같은 예방 수칙을 발표했다.
▷ 비누와 물을 이용해 손을 자주 씻어라. 알코올 소독제가 있다면 가장 좋다.
▷ 아픈 사람과 접촉하지 말 것.
▷ 입, 코, 눈에 손을 가져다 대지 말 것.
돼지고기를 먹어도 되나요?
아무 문제없다. 돼지독감은 절대 돼지고기 요리를 통해 감염되지 않는다.
왜 미국은 멕시코보다 돼지독감의 강도가 낮나요?
100명이 넘는 사람이 죽은 멕시코에 비해 약 20명의 최초 감염자 중 1명 만이 입원치료가 필요했던 미국의 경우 훨씬 강도가 약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미국이 멕시코에 비해 돼지독감의 강도가 낮은 이유에 대해서는 현재 명확히 알 수 없어 조사 중이라고 한다.
이전에도 돼지독감의 인체 감염 사례가 있었나요?
1976년 미국 뉴저지의 ‘포트 딕스’ 신병훈련소에서 240명에게 돼지독감 감염이 일어나 이 중 한 명이 사망한 적이 있다.
당시 감염을 일으켰던 균주는 유전자형 H1N1으로 1918~1919년 수천 만 명의 목숨을 앗아갔던 스페인 독감과 동일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