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산삼에 대한 문헌기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 :11-12-03 22:45|

본문

산삼에 대한 문헌기록

 

중국 문헌기록


가장 오래된 기록은 중국 문헌으로, 양나라 도홍경(陶弘景)이 지은 의학서적 《신농본초경집주》, 《명의별록》에 한반도 3국의 산삼을 언급하였다.

《양서 梁書》 본기(本記)에 무제(武帝) 때 백제 무령왕이 산삼을 조공으로 바쳤다는 기록이 있다.
[진(陳)의 《국정백록 國政百錄》에는 고구려가 미역과 산삼을 보냈다는 기록이 나온다. 

1123년 송나라 서긍의 《선화봉사고려도경》에도 "고려인삼은 고려 전역에서 나온다."라고 언급이 되어 있으며, 이 때의 인삼은 사람이 키운 것이 아닌 산삼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당나라 《책부원구》에는 627년 신라 진평왕이 고조에게 산삼을 바쳤다는 기록이 있다. 

명나라 이시진이 1578년 쓴 《본초강목》에는 한반도가  삼국 시대 때 자국에서 채취한 산삼을 중국에 수출하였다는 대목이 나온다.


한국 문헌기록

한국측 문헌으로 가장 먼저 산삼이 등장하는 곳은 김부식의 《삼국사기》로, 신라 소성왕 1년 길이가 9척이나 되는 산삼을 당나라에 진상하였으나 덕종이 보고 산삼이 아니라며 받기를 거절했다는 언급이 있다. 

고려 고종 때의 《향약구급방》 중 〈방중향약목〉에 산삼을 한국 고유의 약재로 기록했다

 662년 문무왕 때 나당연합군 편성을 기리는 차원에서 산삼 200근을 당나라에 바쳤다는 기록이 있다. 

1009년 현종 원년 아랍 상인들과 고려인들이 산삼을 거래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전국 329개의 군현 중 113개소가 산삼을 공납물로 바쳤다고 기록되어 있다.


 일본문헌기록

일본측 문헌으로 서기 739년 쇼무천황 11년, 발해 문왕이 국서와 산삼 30근을 도다이사(東大寺)에 보냈다는 기록이 있다.


서구권문헌기록

유럽측의 기록에 처음으로 산삼이 언급되는 곳은 1692년 네덜란드 사람 니콜라스가 쓴 《동북달단기》이다. 이후 1714년 중국에 파견된 프랑스 신부 자톡스는 자신의 수기에 '달단인삼'을 언급하고 있는데, 이 달단인삼을 '당시 조선국에서 40리(16킬로미터)밖에 떨어지지 않은 부락에서 받은 것'이라고 서술했다. 

그는 본인이 산삼 뿌리를 직접 먹어 보았으며 그 효능을 몸으로 확인했다고 기록했다. 

자톡스는 주민들에게 받은 산삼의 효능과 위상을 서술하고 생김새를 그려 첨부, 프랑스 본국에 보냈다.

 

 

 

 

 

 

0

산삼스토리 목록

산삼스토리 목록
산삼전시장 -11 인기글 (2013-04-16 09:08:05)
산삼전시장 -12 인기글 (2013-04-16 09:05:37)
산삼에 대한 상세한 이해 인기글 산삼의 최초의 싹(3행) 인위적 개갑과정을 거치지 않고 발아된 싹은 3엽으로 나오며 씨가 땅에 떨어져 자연발아까지는 약 3년정도 걸린다. 이때는 딸의 외피가 뿌리에 붙어있다. 인삼은 인위적 개갑을 통하여 그 이듬해에 싹을 틔운다. 5행 (5엽) 3엽에서 1~2년이…(2018-05-08 19:06:32)
산삼 장기 보관법 인기글 산삼 장기 보관법 산삼은 바로 드시는 것이 좋으나 부득이 보관을 하고자 할때에는 잎과 줄기가 있는 경우 바람이 통하는 선선한 곳에 잎과 뿌리는 뇌두고 뿌리부분만을 이끼로 싸서 스프레이로 물을 촉촉히 뿌려두어 약 10-20일이 지나면 잎과 줄기의 자양분이 뿌리로 내려가고 잎과 줄기가 마르게 되는데 충분히 말랐으면 잎과 줄기는 떼어내고 뿌리만을 보관합니다. 산삼 뿌리는 이끼로 싼 다음 촉촉히 물을 적셔두고 냉장고에 보관합니다. 더 좋은 방법은 진공상태로 밀봉하여 김치냉장고에 보관하면 더…(2013-08-14 14:00:13)
산삼의 생장에 대한 고찰  인기글 산삼의 생장에 대한 고찰 새가 자연 산삼 또는 인삼의 열매를 먹은 뒤, 근처 삼림 지대에서 배설물을 뿌리면 나무 아래서 뿌리가 내리고 발아하게 된다. 새가 먹느냐 짐승이 먹느냐에 따라 산삼의 평가에 차등을 두기도 하는데, 새의 위장을 통과하면서 장 속의 화학적 작용으로 씨앗이 발아하기에 적합한 조건이 되기 때문이…(2011-12-03 23:39:04)
산삼을 분류하면 인기글 산삼을 분류하면 자연생 산삼: 다른 이름으로 조복삼(鳥腹蔘)으로도 부른다. 이는 사람이 아닌 새가 열매를 먹은 뒤 소화가 되지 않은 씨를 배설하고, 여기에서 싹이 돋아 자라는 경우를 말한다. 여기에도 구별이 있는데, 새가 자연생 산삼의 열매를 먹고 배설한 경우와 인삼 열매를 먹고 배설한 경우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자연생 산삼을 천종(天種)으로 최상급으로 치며 그 다음 지종(地種)산삼과 야생산삼, 산양삼이다 산양삼은 장뇌삼과 밭장뇌삼으로 분류한다 산장뇌삼 : 산장뇌삼은 야생삼을 말하는데 사람이…(2011-12-03 23:11:55)
산삼의 특징 인기글 산삼의 특징산삼은 기본적으로 여러해살이풀이기 때문에 해를 거듭하면서 조금씩 자란다. 크게 지상부(줄기, 잎)와 뿌리로 나뉜다. 지상부와 뿌리를 노두가 나누고 있다. 노두 아래를 뿌리로 부르는데, 이 뿌리는 땅속줄기로 볼 수 있으며 약용으로 쓰는 부위이다. ​ 뿌리는 수령이 찰수록 조금씩 성장하나 그 속도는 매우 느리다. 뿌리에는 보통 가락지로 부르는, 마디 비슷하게 생긴 횡추라는 구조가 형성이 된다.산삼은 열보다는 냉기에 강하다. 보통 영하 15도 정도에도 버틸 수 있는데, 이는 산삼 뿌리…(2011-12-03 23:00:31)
산삼의 개념에 대해  인기글 산삼의 개념에 대해  인삼 재배가 활성화되기 전 기록물에 나타난 인삼은 산삼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 용어이다. 그러나 인삼이 조선 후기 상품 작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은 자연산 인삼은 산삼이라는 이름으로 독립적인 개념을 얻게 된다. 자연산 인삼은 동북아시아의 고려인삼, 중국 일부 지역의 인삼, 북아메리카 일부 지방의 미국인삼 등으로 나뉘어진다. 한반도에서 산삼이라고 부르는 대상은 위 셋 중 자연산 고려인삼만을 가리키기 때문에 본 백두넷에도 자연산 고려인삼…(2011-12-03 22:29:12)
01-백두넷 산삼은? 인기글 (2011-12-01 12:49:17)
백두넷 산삼 바로 알기 7가지 인기글 01 백두넷 산삼은 ?백두넷 산삼은 우주간의 원기 오행정기가 차넘치는 백두산에서 자생한 天種(천종산삼), 地種(지종산삼), 長腦(장뇌산삼--산장뇌삼 ,밭장뇌삼)입니다 백두넷 산삼에서 대표 산삼은 산장뇌삼과 지종산삼입니다 산장뇌삼은 각종 산삼씨나 ,묘를 산에 심은 후 ,성장과정은 사람의 손길이 전혀 …(2011-11-30 23:07:30)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