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백두산 불로초 草蓯蓉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 :10-07-22 16:32|

본문

  백두산 불로초는 별명으로 생약명은 초종용 草蓯蓉이다 

                             
초종용은 중국·일본 등에도 분포하며 한국에는 같은 속에 초종용 한 종(種)만 있다.

비슷한 식물로 울릉도와 제천에 분포하는 개종용(
Lathraea japonica), 지리산에 있는 가지더부살이(Phacellanthus tubiflorus)가 있다 .
백두산 두메오리나무(Alnus maximowiczii)에 기생하는 오리나무더부살이(Boschniakia rossica)  초종용이 효능이 좋다
.
민간에서 불로초라고 부르는  초종용은 육종용과 효능이 비슷하며 식물 전체를 보정제·강정제로 쓰며 중풍 치료에 사용한다.

 

맛은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불로초에는 스테로이드화합물 3.6%, 플라보노이드 1.5%, 배당체 0.2%, 사포닌 2.0%, 쿠마린 0.8%, 알칼로이드 0.5% 들어있다. 
 
 주효능은 강심작용, 강장강정약, 음위증(양위), 유정, 어지럼증, 허리아픔, 혈붕, 대하, 변비, 신경강장약, 심장활동강화약, 방광염, 피오줌, 신허로 인한 음위증, 허리 무릎의 냉통, 노인의 습관성 변비, 불임증, 방광 출혈, 신장 출혈, 신장을 보하고 성기능을 항하게 하며, 송진으로 고약을 만들어 궤양을 아물 게 하는 데 효험이 있다

중국에서는 오리나무더부살이를 '초종용(草蓯蓉)'이라고 부르고 있는데, 이것이 잘못 와전되어 우리나라에서는 오리나무더부살이가 원래는 '초종용(草蓯蓉)'인데, '육종용(肉蓯蓉)'으로 갯더부살이가 '초종용(草蓯蓉)'으로 부르게 되었다. 아마도 중국에서 나는 육종용이나 쇄양이 한국에 없기 때문에 갯더부살이와 오리나무더부살이를 비교하다 보니 그렇게 불린 것이 아닌가 추측해 본다. 그 효능도 비슷한 것이 많아 그렇게 불릴 수도 있다. 잘못된 것은 바로잡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열당과는 전세계에 약 14속 180여종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약 5속 5종이 분포[한국식물도감 제 2권 219면]되어 있다. 주로 뿌리로 기생하고 엽록소가 없으며 꽃줄기는 대개 1개이고, 흔히 비늘조각 모양의 잎이 기부에 있다. 


꽃은 양성화이고 포가 있으며 대개 밀생하는 이삭화서이며 좌우 상칭이며 꽃받침은 톱니가 4~5개이고 다양하게 갈라진다. 화관은 통 모양이며 끝이 5갈래로 갈라진다. 입술 모양이며 꽃눈 속에서 기와 모양으로 배열되며 결실성 수술은 4개이고 2강 웅예이며 화관통의 밑 쪽에 붙으며 꽃잎의 갈래와 호생한다. 

다섯 번 때 수술은 없거나 헛수술로 퇴화되며 꽃밥은 쌍으로 달리고 세로로 쪼개진다. 씨방은 상위 1실이고 측막태좌이며 배주는 다수이고 열매는 삭과이며 대개 꽃받침에 둘러싸이고 2갈래이며 씨는 다수에 미세형이다. 배유는 다육질이다.

오리나무더부살이속(Boschniakia C. A. Meyer)은 아시와와 북아메리카에 1종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되어 있다. 근경은 단단하고 단일하며 다육질이고 비늘 조각에 싸이고 괴상(壞狀)이며 비늘 조각은 두껍고 삼각형에 노란색이다. 


꽃은 포겨드랑이에 1송이씩 달린다. 꽃이삭은 퉁퉁하며 많은 꽃으로 되어 있다. 꽃받침은 잔 모양이다. 톱니는 5개이고 서로 길이가 다르다. 화관은 뒤로 젖혀지고 가장자리는 입술 모양이다. 상순 꽃잎은 곧게 서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좁게 2갈래에 볼록하고 하순꽃잎은 얕게 3갈래이며 수술은 4개이고 거의 꽃 밖으로 나와 있다.

 꽃밥은 2실에 서로 같고 거(距)와 돌기가 없다. 태좌는 2개이고 각각 깊게 2갈래이며 암술머리는 팽대하고 좁게 2갈래이며 열매는 삭과이고 난형이다. 씨는 미세형에 구형이고 그물무늬가 있다.


오리나무더부살이(초종용)은 전체가 황갈색이며 다육질이고 키는 15~30cm이다. 비늘잎이 밀생해 껍질 같으며 비늘잎은 삼각형이고 끝이 둔하고 길이 7~210mm이고 털이 없다. 


꽃은 암자색이고 원줄기 끝에 다수가 이삭화로 달리며 화서는 원줄기 길이의 1/2이고 포는 삼각형이고 꽃받침은 잔 모양이다.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으로 깊게 5갈래이며 화관은 길이 15mm 가량이다. 입술 모양에 상순꽃잎은 약간 패였고, 하순꽃잎은 매우 짧으며 3갈래이고 끝이 둥글고 털이 있으며 수술은 2강 웅예이다. 열매는 삭과이고 2갈래이다. 


개화기는 7~8월이고 우리나라 북부, 일본, 중국 동북 지방, 아므로, 우수리, 사할린, 캄차카 반도, 동시베리아, 유렵, 북아메리카, 쿠릴 열도등에 분포되어 있다.
초종용의 다른 이름은 초종용[草蓯蓉(cǎo cōng róng=차오 총 롱): 길림중초약(吉林中草藥)], 오니쿠[オニク, 키무라타케:キムラタケ: 일본], 오리나무더부살이, 오리나무더부사리 등으로 부른다. 


오리나무더부살이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오리나무더부살이(Boschniakia rossica {Chzm. et Schlecht.} B. Fedtsch.)
식물: 높이 약 30cm 되는 한해살이풀이다. 주로 오리나무의 뿌리에 기생한다. 뿌리 줄기는 덩어리 모양이다. 줄기는 살지고 둥근 기둥 모양이다. 잎은 노란 밤색의 비늘 모양이며 기왓장처럼 붙었다. 여름철에 줄기 끝에 가지색을 띤 밤색 꽃이 여러 개 모여 이삭을 이루고 핀다.


함경북도와 양강도의 해발 1,500m의 높은 산지대에 있는 두메오리나무의 뿌리에 많이 기생한다. 소백산, 관모봉 일대에 많다.
전초: 꽃필 때 뿌리채 뜯어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일반 성분은 회분 1~2%, 알코올엑스 약 23%, 물엑스 약 63%이다. 보슈니아킨이라는 염기성 물질과 수증기 증류하여 알로-시스-이소이리도미르메신(1), 알로-시스-이리도미르신(2), 알로-시스-디히드로네페타락톤(3), 알로-시스-이소디히드로네페타락톤(4), 보슈니아락톤(5), 네오-보슈니아락톤(6)이 분리되었다.


작용: 물 추출액은 흰생쥐 실험에서 눈물과 침을 매우 잘 분비시키며 호흡흥분을 일으킨다. 많은 양에서는 간대성 경련을 일으키고 호흡마비를 가져온다. 
흰생쥐에게 피하주사할 때 LD50은 물 추출액이 3g/10g, 알코올 추출액이 0.5g/10g이다.
보슈니아락톤은 고양이에 대하여 마타타비락톤(다래 참고)과 같은 반응이 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강장강정약, 음위증, 유정, 어지럼증, 허리아픔, 혈붕, 대하, 변비 등에 쓴다. 또한 신경강장약, 심장활동강화약으로 쓰며 방광염, 피오줌 등에도 쓴다. 송진으로 고약을 만들어 궤양을 아물 게 하는 데에도 쓴다. 
동의치료에 쓰는 육종은 Cistanche salsa Benth et Hook. fil(중국에서 자라는 육종용)의 전초인데 오리나무더부살이를 초종용이라고 하여 그와 같은 목적에 쓴다.]

오리나무 더부살이에 대해 중국에서 펴낸 <중약대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초종용(草蓯蓉) [<길림중초약(吉林中草藥)>]
기원: 열당과(列當과)의 식물인 초종용(草蓯蓉)의 전초이다.


원식물: 초종용(草蓯蓉: Boschniakia rossica Fedtsch. et Flerov.)
기생 초본 식물로 털은 없다. 줄기는 하나이고 직립하며 비후하고 높이는 15~25cm이고 지름은 1.5~2cm이며 다갈색이다. 비늘 같은 잎이 많고 삼각형 또는 달걀 모양 삼각형이며 끝은 뾰족하다. 수상 화서(수상 화서)는 길이가 8~14cm이고 지름은 2~2.5cm이다. 꽃받침은 매끄럽고 술잔 모양이며 고르지 않게 5개의 톱니로 갈라진다.

 꽃부리는 암홍자색이고 통부(통부)는 주머니 모양으로 부풀어 있으며 상순(상순)은 약간 오그라들었고 하순(하순)은 3개로 갈라져 있다. 수술은 4개인데 2개가 크다. 암술머리는 모두 꽃부통(통)밖에 까지 뻗는다. 삭과는 달걀 모양이다. 개화기는 7~8월이다. 대개는 자작나무과 적양속(적양속: Alnus)의 뿌리에 기생한다. 
중국의 길림(吉林), 흑룡강(黑龍江) 등지에 분포한다.


성분: 지상 부분에는 boschniakine과 boschnialactone을 함유한다. 또 C9, C10, C11의 테르케네락톤을 함유하고 있다. 뿌리 줄기는 mannitol, 알칼로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약효와 주치: 신(腎)을 보하고 성기능을 강하게 하며 장(腸)을 촉촉하게 하고 지혈한다. 신허(腎虛)로 인한 음위, 요슬(腰膝)의 냉통, 노인의 습관성 변비, 방광염을 치료한다.


1, <장백산약용식물조사(長白山藥用植物調査)>: "음(陰)을 자양하고 양기(陽氣)를 보하고 지혈한다. 방광염, 방광 출혈, 신장 출혈을 치료한다."
2, <길림중초약(吉林中草藥)>: "신(腎)을 보하고 성기능을 강하게 하며 양(陽)을 촉촉하게 하고 변(便)을 통하게 한다. 신허(腎虛)로 인한 음위, 요슬냉통(腰膝冷痛), 장조(腸燥)로 인한 변비, 방광염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내복: 19~37.5g을 물로 달이거나 술에 담가서 우려내어 먹는다.
[처방예] 
1, 노인의 습관성 변비
오리나무더부살이 37.5g, 대마인(大麻仁) 19g을 물로 달여서 1일 2회 복용한다. [길림중초약(吉林中草藥)]
2, 양위(陽萎)
오리나무더불살이 37.5g, 창포(菖蒲) 15g, 토사자(菟絲子: 새삼씨) 28g을 물로 달여서 1일 2회 복용한다. [길림중초약(吉林中草藥)]


3, 불임증의 치료와 강심 작용
오리나무더부살이 75g을 백주(白酒) 600g에 담갔다가 복용한다. [장백산약용식물조사(長白山藥用植物調査)]] 
두메오리나무뿌리에 기생하는 오리나무더부살이가 신장의 기능을 강하게 해주고 장의 변비를 다스려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함으로 오장육부에 큰 도움을 준다는 사실은 실로 놀랍기만 하다. 


기생 식물들이 대부분 우리 몸에 보약이되는 식물들이 많은 것은 그들이 생존을 위해 필사적으로 악전고투하여 살아가고 있기 때문에 그 끈질긴 생명력 또한 놀란운 것은 사실이다. 서부살이와 같은 기생식물들을 깊이 연구하여 사람에게 활력을 불어넣어 주는 좋은 신약이 탄생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1949237853_GInFvChE_anigif.gif                

 

 

 

0

약초스토리 목록

약초스토리 목록
적하수오 무엇인가 인기글 적하수오 무엇인가? 쌍둥이로 붙어서 자라고 있는 적하수오 무게 1킬로 50그램의 뿌리이다.​​​산속 메마르고 척박한 땅에서 자라느라 굵은 줄기에 비해 크기가 그다지 크지 않았다. 보혈 강장 강정 흰머리 검게 하는 약초 황제 적하수오 효능 ▶ 강심작용, 장윤운동강화작용, 장에서의 콜레스테롤흡수억제작용, 억균작용, 늙지 않고 오래살게 하며 보혈, 강장, 강정, 간과 신을 보하고 피와 정을 보하며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함, 대변을 통하…(2010-06-11 10:17:16)
쇄양이란 녀석은 생김새가 너무나 남성의 그것과 흡사할 뿐만 … 인기글 이른바 강정(强精)에 쓰이는 약물들은 그 생김새부터가 특이하다.예컨대 남성의 생식기를 꼭 닮은 사티리온이란 기이한 풀이 있다. 그 뿌리가 고환과 매후 흡사한 이 식물은 난의 일종인데, 뿌리를 으깨어 즙을 내어서 질이나 그 주변에 도포하면 잠시 후에 그곳이 화끈거려 도저히 제어할 수 없는 정욕에 불타게 된다고 한다.​교접 …(2011-10-07 01:52:18)
송라 (가락지 송라 )가 자생하는 모습입니다 인기글 송라과(Usneaceae) 학명Usnea diffracta Wain 생약명송라(松蘿)1, 구분 송라과의 지의류로 가는 실 같고 연한 누런 색, 또는 흰 녹색을 띠며 길이 15~50정도로 뒤엉키듯 쳐져서 자란다.​2. 서식지깊은 산 1,000~1,500m 고지 고원지대 중에서 습하여 안개가 잘 끼…(2017-02-02 17:27:11)
백하수오란 무엇인가 ? 인기글 백하수오 무엇인가? 백발 검게하며 무병장수의 선약 ▶ 강장작용, 허약체질, 보혈, 사지관절무력동통, 빈혈, 수염과 머리카락이 일찍 희어지는 증세, 만성풍비, 장출혈, 궤양으로 상처가 아물지 않는 증세, 병후회복, 가슴두근거림, 불면증, 신경쇠약, 학질, 치질, 결핵, 혈허증, 간신허로 허리와 무릎에 맥이 없는데, 피로…(2010-07-09 20:37:19)
이비인후과 약초 인기글 만성중이염귀에서 고름이 나오고 귀에서 소리가 나면서 차츰 들리지 않게 된다. 급성 중이염을 제때에 치료하지 못했거나 저항력이 약하고 당뇨병이나 신염을 심하게 앓았을 때 생긴다.귀에서 고름이 나왔다 멎었다 하면서 오래 지나면 냄새가난다.그리고 귀가 잘 들리지 않으면서 이명이 있고 머리가 가끔 무겁게 아프다. ① 황련 3…(2009-03-16 11:42:09)
오로지 한번 射情을 위해 살아가는 육종용 인기글 오로지 한번 射精하기 위한 일념으로 살아가는 육종용 ​야생 정력제 약초 육종용 산행기 사막의 땅속 1m 깊이에서 자라기 시작한 육종용의 싹은 연약한 아이보리색 비늘을 덮은 채 땅 표면을 향해 자라기 시작한…(2013-05-16 09:55:38)
죽는 사람도 살린다는 단약 陰陽子 ! 인기글 도교의 창시자 老子의 음양자 이야기 죽는 사람도 살린다는 단약 陰陽子!  음양자(陰陽子)는 송나라때 자연을 숭배하는 도가(道家)의 노자(老子) 신도들이 장생불로(長生不老)를 추구하면서 많이 먹었다고 한다. ​어느날 노자가 …(2013-02-01 07:16:13)
건강약초에 속하는 마늘의 효능 인기글 마늘의 효능 마늘은 비린내를 없애고 음식의 맛을 더해주는 양념으로 사용되지만 약초이며 기운을 북돋우고 암을 예방하는 건강식품으로 유명하다. 5월이 제철인 마늘의 효능과 건강법을 알아보았다. 마늘은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양념이다. . 마늘의 원산지는 중앙아시아나 이집트로 추정되는데, 특히 이집트에서는…(2009-04-17 20:00:18)
홍화씨 인기글 / 뼈에 관한 한 지상에서 가장 뛰어난 약성지닌 홍화씨 / 예부터 홍화는 통경이나 어혈을 다스리는 약으로 써왔는데, 인산 선생은 "옛사람들이 이것 저것 경험해보고 난 뒤 '아 잇꽃이 이런데 좋구나'하고 발견한 것이지 별의 기운을 보고 알아낸 것은 아니로구나"하고 말하기도 했다. 옛사람들은 잇꽃의 꽃만 …(2009-04-08 11:43:04)
홍경천이란 ? 인기글 홍경천 무엇인가? ▶ 인삼을 능가하는 강장제, 노인성 심장병,음위증,당뇨병,관절염,폐결핵,빈혈,저혈압,두통,간염,산후풍에 효험있는 홍경천 홍경천은 중국의 티벳 , 백두산, 포태산, 낭림산의 산꼭대기 부근 바위틈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특히 백두산의 해발 1천8백 미터에서 2천3백 미터 사이의 이끼 낀 원시림 속 자…(2009-03-13 16:46:58)
음양곽의 강정 최음작용은 주로 에피메딘 이카린 인기글 음양곽(Epimedium koreanum)은 매자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약초로 가지가 셋 잎이 아홉으로 되어있다고 하여 삼지구엽초라고 불리기도 한다. ‘동의보감’에는 허리와 무릎 쑤시는 것을 보(補)하고 남자의 양기부족 여자의 음기부족으로 인한 불임에 이것을 오래 먹으면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쓰여 있다. 또 노인의 치매 …(2011-02-23 22:31:28)
파극천- 巴戟天 -상세 설명 인기글 파극천 다른이름 : 巴吉天(파길천),巴戟肉(파극육),巴戟(파극),三蔓草,不凋草,猫腸筋(묘장근),免兒腸(면아장),戟天(극천),鷄腸風(계장풍) 약 맛 : 감(甘) 신(辛) 귀 경 : 간(肝) 신(腎) 주 치 : 宮冷不孕,頭暈,少腹冷痛,腎虛陽痿,腎虛腰痛,腰膝軟弱無力,腰膝…(2010-12-26 19:05:41)
웅담분채취방법 인기글 우루사을 함유하여 간에 최고인 웅담분 !!! 웅담액 채취방법 살아있는 곰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전신을 마취 시킨후 배를 절개하여 쓸개에 비닐…(2015-01-27 13:23:41)
한국식약청이 인정한 자연식품 "홍경천" 인기글 한국식약청이 인정한 자연식품 "홍경천" ▲ ©최희남 기자 지난 11월 식약청이 신비의 약초로 불리는 홍경천을 개별인정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하면서 스트레스와 피로회복제관련 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사실 그 동안 피로관련 제품들은 많았지만, 스트레스와 관련된 피로에 관한 제품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는 처음이라 업계와 …(2011-07-21 16:33:05)
한라산서 발견된 '송라'…한약재 효능·가격… 인기글 한라산서 발견된 '송라'…한약재 효능·가격 봤더니 기사입력 2016-08-17 20:44 ↑ 송라/사진=연합뉴스 한약재로 사용되는 희귀 지의류 '송라'가 한라산에서 발견됐습니다.산림청 국립수목원은 17일 …(2017-02-03 13:20:24)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4년 龍의 힘찬 기운을 받아 건강부자가 되세요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